$\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외식관련 전공자의 노동시장 이행 영향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affecting School to Work Transition in Foodservice-related Major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4 = no.79, 2016년, pp.81 - 94  

장상준 (계명문화대학교 식품영양조리학부) ,  나태균 (두원공과대학교 호텔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관련 전공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식관련 전공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개인배경, 학력, 노동시장 이행 준비노력 요인 등을 계층 2로 설정하였으며, 계층에 있는 요소들에 대한 상대 평가를 통해 각 요소들이 가지는 중요도를 산출해 내는 기법인 계층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 2의 경우 노동시장 이행 준비노력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4년제 대학의 외식관련 전공자의 경우, 학력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층 3 중 개인배경요인의 경우 성별의 상대적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 요인의 경우, 대학유형의 상대적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동시장 이행 준비노력 요인의 경우, 재학 중 국외 근로경험과 구직경로의 상대적 가중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훈련 경험의 상대적 가중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복합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유형의 복합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외식관련 산업체의 업종과 업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공자의 진로분야별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that affect school to work transition that food service-related majors and workers recognize. To this end, this study composed such factors into a second hierarchy level of individual background, educational background,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외식관련 전공자의 진로결정 및 준비과정에서 그 결정 사항을 실행하기 위해 행하는 여러 가지 노력 행위를 확인하고, 둘째, 노동시장 이행 시 이러한 노력 행위의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전공자와 업계 종사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는 대학 및 전공 교수의 진로지도 및 외식관련 전공자의 진로준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전공자의 원활한 노동시장 이행을 돕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외식관련 전공자의 진로결정 및 준비과정에서 그 결정 사항을 실행하기 위해 행하는 여러 가지 노력 행위를 확인하고, 둘째, 노동시장 이행 시 이러한 노력 행위의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전공자와 업계 종사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는 대학 및 전공 교수의 진로지도 및 외식관련 전공자의 진로준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전공자의 원활한 노동시장 이행을 돕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으로의 이행과 관련하여 개인주의적 관점, 구조주의적 관점,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영향 요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외식관련 전공자와 업계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평가 영역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외식관련 전공자의 노동시장 이행 영향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밝힘으로써 현재 노동시장의 진입을 준비하는 외식관련 전공자들의 진로준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관련 전공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식관련 전공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개인배경, 학력, 노동시장 이행 준비노력 요인 등을 계층 2로 설정하였으며, 계층에 있는 요소들에 대한 상대 평가를 통해 각 요소들이 가지는 중요도를 산출해 내는 기법인계층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에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것은 어떤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가? 대학생 시기에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일은 발달적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최근 고등교육의 팽창과 함께 대졸자의 실업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 문제는 청년실업 등 구조적인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Lee JE 2012).
청년실업의 주원인은? 그러나 최근 고등교육의 팽창과 함께 대졸자의 실업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 문제는 청년실업 등 구조적인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Lee JE 2012). 이러한 청년실업의 주원인은 학력과잉, 안정적 직장 선호 등 청년 구직자의 눈높이와 현실간의 괴리에서 기인한다는 주장과 산업구조의 변화, 경력직 선호 등 기업의 노동수요 변화에 기인한다(김용성 2010).
외식관련 전공자의 식품연구소, 외식컨설팅업체, 대학원 진학 및 유학, 교사, 공무원 등으로의 취업성과가 미비하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그러나 국내 일부 대학의 외식관련 학과의 홈페이지에 제시되어 있는 취업분야를 살펴보면 대다수의 외식관련 전공자의 진로방향으로 국내외 호텔 및 외식업체, 제과제빵관련 업체, 단체급식, 식품연구소, 외식컨설팅업체, 학원, 편입 또는 대학원 진학 및 유학, 교사, 공무원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조리실습 위주의 전공 교육과정, 전공자의 짧은 현장실무능력, 조리 관련 공립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채용 빈도 등을 고려하였을 때 식품연구소, 외식컨설팅업체, 대학원 진학 및 유학, 교사, 공무원 등의 취업분야는 그 취업성과가 미비하다고 생각된다. 더욱이 외환위기 이후 호텔경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비용 절감, 경영합리화 및 효율성 재고 등의 압력이 가중되면서(Kim HJ 2013) 비정규직의 선호, 노동환경에서 임금과 고용불안 유발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Park K Y․Jun JH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용성 (2010). 청년실업의 원인과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시리즈 2008-09), 10-11. 

  2.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 (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4-89, 서울. 

  3. Ahn SK (2009).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internship training on job pursuit intentions: J university in Jeonbuk and C university in Chungnam. The Korean J of Culinary Res 15(2):31-44. 

  4. Chang SS (1999). Educational credentials and labor market entry in Korea: Transition form school to work. Korean J of Sociology 22(4):751-787. 

  5. Cho MR (2005). The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Entry and Status for the Youth of University Graduate. Master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77, Chonbuk. 

  6. Cho MS (2009). An Empirical Study on the School to Work Transition of College Graduates: Determinants of Success Rate, Duration, and Wage Differential.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1-104, Incheon. 

  7. Cho SH (2005).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reparation Behaviors for the Labor Market.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1-99, Seoul. 

  8. Choi JH (2007). Social Capital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of High School Graduate Youth in Korea. Doctoral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155, Chonbuk. 

  9. Chong YK, Hwang HJ, Huh KS (2006). The effects of internship program satisfaction on the career decisions of culinary major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702-711. 

  10. Han YJ, Lee JH (2013). A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valu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 management and culinary arts. The Korean J of Culinary Res 19(2):76-92. 

  11. Im HW, Oh ST (2014). A study on gender and certification wi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university culinary art students. J of Foodservice Management 17(3):199-216. 

  12. Jang KY (2008). Determinants of the First Job Attainment for College Graduates in Korea: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reparedness. Doctoral Thesis, Hanyang University 1-168, Seoul. 

  13. Jung HS, Seo KH, Yoon HH (2004). Present situation of internship program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studies. J of Foodservice Management 7(3):65-86. 

  14. Kim HJ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downsizing kitchen employees in hotels on job attitude: Focusing on the individual behavior types(DISC) of kitchen employees in the hotels in the Seoul and Daejeon regions. The Korean J of Culinary Res 19(3):1-17. 

  15. Kim JH (2005). A comparative study of the career choices of culinary department students at the junior college level. J of Foodservice Management 8(3):165-183. 

  16. Kim YY (2016).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Networking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1-101, Seoul. 

  17. Lee HR, Park SG (2010).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J of Foodservice Management 13(1):79-105. 

  18. Lee HW (2011). Investigating factors of successful overseas internship program for nurturing global talent. The Korean J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3(1):139-162. 

  19. Lee JE (2012). Factors Affecting Job Opportunities of University Graduates in Korea.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77, Seoul. 

  20. Lee KE (2006). A Study on Youth's Labor Market Participation.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1-81, Seoul. 

  21. Lee KE, Kim TH (2005).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making of students in foodservice management and culinary arts program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3):311-318. 

  22. Lim CK, Lee JS (2007). An analysis on the success factors of CRM by AHP: Focus on deluxe hotel in Busan. J of the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8(1):137-159. 

  23. Lim JY(2008). School to Work Transition Analysis of Female Students in Science & Engineering Fields of Majors in 4-year University.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3, Seoul. 

  24. Na TK, Moon SW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professo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oodservice and culinary art majors: Focus on the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The Korean J of Culinary Res 18(2):106-117. 

  25. Park JJ, Moon GP (2011).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n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 of cook on th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lifelong study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food industry. Korean J of Tourism Res 25(5):409-433. 

  26. Park KY, Jun JH (2007). The effect of part-time hotel cuisiniers' labor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Korean J of Culinary Res 13(2):69-80. 

  27. Park SJ (2005). School-to-work transition and labor market performances of local university graduates: Focusing on their first job in life. Quarterly J of Labor Policy 5(4):65-99. 

  28. Ryu JS (2003). A study o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of provincial college graduates. Korean J of Labor Studies 9(1):171-196. 

  29. Saaty TL (1982).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 new approach to deal with fuzziness in architecture. Architect Sci Review 25(3):64-69. 

  30. Yoo YJ, Yun JY (2001). Study on the turnover reason of family restaurant cook part employee. Korean J Soc Food Sci 17(1):13-22. 

  31. Won JY (2011). The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sources for career information on wages and job-education match in the first job among young people. Korean J of Youth Studies 18(12):1-2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