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여성의 시간사용 유형에 관한 연구
Typology of Time Use of Married Working Women with the Preschool Child(ren) in Korea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5, 2016년, pp.541 - 550  

이선명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  여정성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a typology (or time allocation), investigated personal and work characteristic differences among time allocation types, and identified determinants of time allocation types of married working women with a preschool child. The data source for this research was the 2014 Time Use S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여성이 평일과 주말에 시간을 어떻게 배분하여 사용하는지를 밝히고 시간사용 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시간사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여성이 평일과 주말에 시간을 어떻게 배분하여 사용하는지를 밝히고 시간사용 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시간사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 한다.
  •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여성의 시간사용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간 사용량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통계청[27]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원자료를 이용하였다. 생활시간 조사는 1999년부터 5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으며, 개인의 시간 활용과 의식을 파악하여 국민의 생활방식과 삶의 질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만 10세 이상 가구원이 10분 간격으로 설계된 시간일지에 자신이 한 행동을 2일 동안 직접 기입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 통계청의 9개 대분류는 (1) 개인유지, (2) 일, (3) 학습, (4) 가정 관리, (5) 가족 및 가구원 돌보기, (6) 참여 및 봉사활동, (7) 교제 및 여가활동, (8) 이동, (9) 기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량이 너무 적은 분류를 제외하고 개인유지, 일, 가정관리, 가족 및 가구원 돌보기, 교제 및 여가활동에 사용하는 시간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여성의 시간사용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여성의 시간일지 368부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간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시간은 모두에게 하루 24시간씩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주어진 다. 시간은 하루에 24시간씩만 주어진다는 점에서 유한하고 저장 불가능하며 사람의 의지나 상황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진행 되는 연속성을 가지고 다른 자원과 함께 사용된다는 점에서 결합 성이라는 특성을 가진다[8]. 이와 같은 특성들로 인하여 시간은 자원으로서 여러 한계점을 가진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증가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보다 낮으며,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여성가족부와 통계청[21]에 따르면 여성의 경력단절의 주요 사유는 결혼, 육아, 임신·출산, 가족돌봄, 자녀교육 순이었으며, 미취학 자녀가 있는 여성의 취업 장애요인은 통계청과 여성가족부 [28]에 따르면 육아부담(72.
교육수준이 시장노동시간, 가사노동, 여가시간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교육수준 역시 시장노동시간, 가사노동, 여가시간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에 따라 영향력의 방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을 분석한 Sung [29]에 의하면 학력이 높을수록 시장노동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Kim과 Kim [15]에 의하면 중졸 이하인 경우 시장노동시간이 감소한다. 여가시간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 18, 29]. 또한 자녀 돌보기 시간도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한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ai, L., & Lee, K. Y. (2004). A study of dual-earner couple's household work time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 (5), 265-281. 

  2. Cha, S. E., Eun, K. S., Jun, J. W., & Fisher, K. (2015). Time allocation and work-life balance among Korean married women: Comparison with 7 nations in MTUS (Multinational Time Use Studies) data.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20 (1), 24-48. 

  3. Chang, Y. E., Park, J. Y., Lee, S. M., & Kwon, B. R. (2011).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women with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 (2), 63-72. 

  4. Chun, J. (2015). Working mothers' time use and time crunch: A comparison between employed and self-employed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5. Han, K. M. (1991). Time use of employed wiv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i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9 (2), 171-190. 

  6. Han, Y. S., & Yoon, S. Y. (2009). The analysis of leisure time use of urban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 (2), 81-95. 

  7. Heo, G. O. (1997). The influence of employment of married women on time use of married couple. Sungshin Journal, (35), 333-358. 

  8. Hong, S. H., Kim, H. Y., Kim, S. H., Yoon, S. Y., & Koh, S. K. (2008). Family resource management. Seoul: Shinjeong. 

  9. Joo, I. H. (2012). The study on determinants of housework time of the dual-earner couples in Korea: Focusing on wives' economic reliance on husbands and husbands' housework participation.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2012 Former Socioloy Symposium, 6, 1099-1113. 

  10. KBS Institute of Broadcasting Culture,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Communication Research. (2011). 2010 National timeuse survey. Seoul: KBS. 

  11. Kim, E. (2013). Do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recognize and intend to us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ime support policy and service provision policy.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 (2), 617-642. 

  12. Kim, H. (2004). Comparison of the time use between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and on-sit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 (2), 99-116. 

  13. Kim, J. W. (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Testifying the adaptive partnership, dual burden and lagged adaptation hypothes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 (3), 51-72. 

  14. Kim, K., & Kong, J. (2014). A study on time use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Family and Culture, 26 (4), 139-165. 

  15. Kim, S. J., & Kim, E. J. (2007). Housework and economic dependency among dual-earner couples in Korea: Economic exchange or gender compensa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1 (2), 147-174. 

  16. Lee, J., & Son, S. (2013). Mothers' work-family conflict in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The role of resour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work.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8 (1), 93-114. 

  17. Lee, S., & Lee, H. (2011). Analysis of time use of double income paid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 (5), 81-96. http://dx.doi.org/10.6115/khea.2011.49.5.081 

  18. Lee, S. M. (1996). A study on the amount and determinants of leisure time in the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4 (3), 63-75. 

  19. Lee, S. M., Kim, S. M., & Koo, H. R. (2014). A study on intention to use of parental leave of married employed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8 (2), 85-106. http://dx.doi.org/10.18398/kjlgas.2014.28.2.85 

  20. Lee, Y. H., & Lee, S. J. (2007). Analysis of the time use of working women and housewives having preschool children: Centering on the data of the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4.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0 (1), 19-25. 

  2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 Statistics Korea. (2015). 2015 Work-family balance index. Daejeon: Statistics Korea. 

  22. Nam, S. J., & Yoo, H. J. (2006). Analysis of working wives' time according to market incom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 (6), 985-997. 

  23. Park, E. J., & Lee, S. L. (2013). Differences in time deficit and tim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 care time of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 (4), 97-111. http://dx.doi.org/10.7466/jkhma.2013.31.4.097 

  24. Son, M. G. (2005). Women's dual burd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aid work time: Focusing on dual earner coupl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8 (1), 277-311. 

  25. Song, H. R. (2014). A study for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of married working women: Focused on the families with the child(ren) of lower grade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8 (3), 41-59. 

  26. Song, Y. J. (2011). Changes in parental time spent with childre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4 (2), 45-64. 

  27. Statistics Korea. (2014). 2014 Time use survey. Daejeon: Statistics Korea. 

  28. Statistics Korea,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4). Women's life by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29. Sung, J. M. (2006). Time alloca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6 (4), 1-29. 

  30. Yoon, J. W., Hwang, R. I., & Cho, H. H. (2009).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4), 294-302.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4.294 

  31. You, S. Y., & Choi, Y. J. (2002). An analysis of time use of adults and influencing factors on it: Paid work, house work, child caring, leisure.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3 (3), 53-6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