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합리적 안전교육을 통한 재해예방 연구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reasonable safety through education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8 no.2, 2016년, pp.9 - 17  

지준석 ((사)한국안전교육기술원) ,  강경식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ddition to improving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advanced production technology brings many benefits to our society, but if the growth of this still has the shadow of accidents exists.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site has seen a significantly higher accident rate figures despite ef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안전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안전교육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기존의 연구 자료와 효과적인 안전교육시스템에 대하여 제시된 연구 분석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합리적인 안전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현장의 재해원인을 분류하면? 산업재해를 감소시키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안전교육의 필요성은 많은 연구 자료를 통해 그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건설현장의 재해원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기술적 원인, 관리적 원인, 교육적 원인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중 안전의식이나 안전지식 등의 부족에 기인된 교육적 원인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의한 산업재해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재해라 함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등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이환(罹患)되는 것”을 말하며,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에서는 산업재해란 “근로자가 물질 또는 타인과 접촉하였거나 여러 가지 물체나 작업조건하에 몸을 두었을 때 또는 노동자의 작업행동 때문에 사람에게 상해를 수반하는 일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일본의 노동안전 위생법에서 정의한 산업재해는? 일본의 노동안전 위생법에는 노동자가 취업에 관련해서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거하거나 또는 작업 활동 그 이외의 작업에 기인하여 노동자가 부상하고 질병에 걸리거나 또는 사망하는 것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산업재해의 의미를 정리해보면, 산업 활동을 통해서 발생하는 사고를 통칭하며, 인적, 물적 상해와 손해를 유발하게 하는 것으로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n, Tae-Woo.(2010), "A Study on the Improved Practice of a Safety Educational System for Ckonstruction Projec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 Lee, Seung-Ho.(2011),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Plan of Safety and Health Eduction for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 Ahn, Yong-Sun.(2008), "Study on the Analysis of Pres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Construction Satety Empirical Education",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4(12):125-132. 

  4. Paul B. and John M.(2004), "Impacts of health and safety education : Comparison of worker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raining",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5(1):63-70. 

  5. Heinrich.(1931),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6. Moon, Myoung-Wan.(1997),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Accid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Construction", Arche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4):205-213. 

  7. Son, Chang-Baek.(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Safety Mangement Level of Construction Companie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17(4):160-167. 

  8. Park, Tae-Hwan.(2013), "An analyzing safety education contents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3(1):197-198. 

  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ttp://www.moleg.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