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개선을 통한 앙상블 기반 확률론적 가뭄전망
The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 based on ensemble using improvement of the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10, 2016년, pp.835 - 849  

장석환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이재경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오지환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조준원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피해가 점차 심해지고 있는 가뭄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가뭄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정확한 가뭄전망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존 MSWSI의 한계점을 개선하였으며, 개선된 MSWSI를 이용하여 앙상블기반 확률론적 가뭄전망을 수행하였다. 우선 금강유역 내 존재하는 모든 수문기상인자를 조사하여 각 유역별로 기존 MSWSI에서 적용한 4개 인자(하천유량, 지하수, 강수, 댐유입량)와 적합한 인자(댐저수위, 댐방류량)를 추가 선정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에는 정규분포만을 적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각 수문기상인자들에 적합한 확률분포를 추정하였다. 강수와 하천은 대부분 Gumbel 분포, 댐유입량, 방류량, 저수위는 2 매개변수 대수정규분포, 지하수는 3 매개변수 대수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MSWSI를 과거 실측강수, 하천유량 등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기존 MSWSI보다 개선된 MSWSI가 과거 발생한 가뭄현상을 더 잘 나타내어 개선된 MSWSI가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MSWSI를 이용하여 앙상블기반 확률론적 가뭄전망을 극심한 가뭄이 발생한 2006년과 2014년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검증하였으며, 기존보다 개선된 MSWSI를 이용한 가뭄전망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대부분의 소유역에서 실제 가뭄의 가뭄지수가 개선된 MSWSI를 이용한 가뭄전망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urate drought outlook and drought monitoring have been preceded recently to mitigate drought damages that further deepen. This study improved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MSWSI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used in Korea and carried out probabilistic drought forecasts based on ensem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가뭄전망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개선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는 활용가능한 모든 수문기상인자를 조사하고 각 유역별로 적합한 인자를 선정하였으며, 두 번째는 각 수문기상인자별로 적합한 확률분포를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실제적으로 자료길이, 도심지역, 댐상·하류 등 유역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인자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가용한 인자를 폭넓게 살펴보아야 한다. 두 번째로 단계(4)에서 MSWSI는 각 인자들의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비초과확률값을 가뭄지수식에 적용하는데, 기존 MSWSI에서는 모든 인자의 확률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인자별로 적합한 확률분포를 추정해야 정확한 비초과확률값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에 가까운 가뭄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 다음으로 단계(4)를 수정하였으며, 각 수문기상인자에 적합한 확률분포를 추정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 MSWSI (K-water, 2005)에서는 모든 수문기상인자를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을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여 비초과확률을 추정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각 수문기상인자별로 적용가능한 확률분포(GEV, 정규분포, 2-매개변수 대수정규분포, 3-매개변수 대수정규분포)를 적용하고 매개변수 추정을 위해 최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 확률가중모멘트법(probability weighted moment method), 모멘트법(method of moment)을 이용하였으며, 적합도 검정(goodness of fit test)을 위해 log-likelihood 검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SI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SWSI는 대표적인 수문학적 가뭄지수로서 적용지역에 따라 다양한 수문기상인자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WSI는 기본적으로 강수, 강설, 하천유량, 저수지 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눈이 많은 산악지형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뭄심도는 PDSI와 동일하게 7단계(-4.
MSWSI의 산정과정은? 단계(1) 유역별 활용가능한 수문기상인자 분석 단계(2) 가능한 수문기상인자의 선정과 관측자료 수집 단계(3) 각 수문기상인자의 가중치 산정 단계(4) 각 수문기상인자의 확률분포 추정 단계(5) MSWSI식을 이용하여 가뭄지수 산정
SWSI의 장점은?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가뭄지수로 SWSI (Shafer and Dezman, 1982)를 선정하였다. SWSI는 대표적인 수문학적 가뭄지수로서 적용지역에 따라 다양한 수문기상인자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WSI는 기본적으로 강수, 강설, 하천유량, 저수지 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눈이 많은 산악지형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K.-H., and Kim, Y.-O. (2010). "A study on improving drought indices and developing their outlook technique for Korea." Proceeding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6-12. 

  2. Belayneh, A., and Adamowski, J. (2013). "Drought forecasting using new machine learning methods." Journal of Water and Land Development, Vol. 18, pp. 3-12. 

  3. Choi, Y. (2002). "Trends in daily precipitation events and their extre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Korea So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11, pp. 189-203. 

  4. Doesken, N. J., Mckee, T. B., and Kleist, J. (1991). Development of a surface water supply index for the Western United States. Colorado Climate Center,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Colorado State University. Climatology Report #91-3. 

  5. Dogan, S., Berktay, A., and Singh, V. P. (2012). "Comparison of multi-monthly rainfallbased drought severity indices, with application to semi-arid Konya closed basin, Turkey." Journal of Hydrology. Vol. 470, pp. 255-268. 

  6. Ghoshi, S., and Mujumdar, P. P. (2007). "Nonparametric method for modeling GCM and scenarios uncertainty in drought assessmen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3, W07405. 

  7. Karamouz, M., Rasouli, K., and Nazif, S. (2009). "Development of a hybrid index for drought prediction: Case Stud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10.1061/(ASCE) HE.1943-5584.0000022, pp. 617-627. 

  8. Kim, Y.-O., Lee, J.-K., and Richard, N. P. (2012). "A drought outlook study in Korea."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57, No. 6, pp. 1141-1153. 

  9. KMA (2014). 2013 The abnormal climate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0. K-water (2005). Develop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for the drought management. 

  11. Kwon, H. J., and Kim, S. J. (2006). "Evaluation of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drought using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48, No. 2, pp. 37-43. 

  12. Kwon, H. J., Park, H. J., Hong, D. O., and Kim, S. J. (2006). "A study on semi-distributed hydrologic drought assessment modifying SWSI."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8, pp. 645-658. 

  13. Lee, B.-R., Sung, J. H., and Chung, E.-S. (2015).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drought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1, pp. 69-78. 

  14. NEMA (2009). Performance report for the progress to overcome drought.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5. Park, M. J., Shin, H. J., Choi, Y. D., Park, J. Y., and Kim, S. J. (2011). "Developing of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Jo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35, No. 6, pp. 165-170. 

  16. Seo, H. D., Jeong, S. M., Kim, S. J., and Lee, J. H. (2008). "A study on the optimal water supply using virtual drought exercise with hydrological drought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10, pp. 1045-1058. 

  17. Shafer, B. A., and Dezman, L. E. (1982).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supply index-A drought severity indicator for Colorado." Proceeding of Western Snow Conference, pp. 164-175. 

  18. Shukla, S., and Wood, A. W. (2008). "Use of a standardized runoff index for characterizing hydrologic dough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doi:10.1029/2007GL032487. 

  19. Son, K. H., and Bae, D. H. (2015). "Applicability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using ESP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7, pp. 581-593. 

  20. White, W. B., Gershunov, A., Anns, J. L., Mckeon, G., and Syktus, J. (2004). "Forecasting Australian drought using south hemisphere modes of sea-surface temperature vari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4, pp. 1911-19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