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기상자료를 활용한 황사에 따른 한반도 국민 건강영향평가
Effects of morbidity in Korean peninsula due to sand dust using satellite aerosol observation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5, 2016년, pp.499 - 509  

최민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형록 (성균관대학교 수자원대학원) ,  김상만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최민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90년대 이후 황사의 발생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전반의 피해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까지 진행된 황사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지점관측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시간적/공간적 변동성이 강한 황사를 정확히 해석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성에어로졸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연구의 시공간적인 한계성을 극복하여 황사 발생 기간 동안의 호흡기질환과 안질, 심혈관계질환자 수의 변동양상에 관한 건강영향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위성에어로졸 수치는 봄철에 높게 나타났으며, 공간적으로 동쪽 지역보다는 서해안과 인근한 서쪽 지역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황사와 관련성이 높은 질병인 안구질환, 순환계통의 질환, 호흡기계질환과의 상관분석은 비교적 4월에서 7월사이에 높게 나타났는데, 지체기간 3개월에서 0.6 정도의 높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위성 에어로졸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지점자료기반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건강영향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함으로서 황사피해에 대비한 의약품의 원활한 공급과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예방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ccurrence of sand dust has been steadily increased since 1990 and the amount of damage was also increased. In most of previous studies, ground based observations were used for sand dust analyses, but its high spatio-temporal variability has not been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satellite a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하여 위성에어로졸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지점 자료기반 연구의 한계성, 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관측소의 공간분포에서의 제약성과 관측소가 대표할 수 있는 데이터의 공간해상도의 모호성을 극복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건강영향 평가에 대한 가능성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민영향을 분석하고 위성 데이터와 보건 데이터를 연결 시킨 의미 있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성에어로졸 자료를 이용하여 황사 발생기간 동안의 호흡기질환과 안구, 심혈관계질환자 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위성에어로졸과 지점기반 미세먼지와의 비교적 양호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위성에어로졸 자료의 유용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위성에어로졸은 시간적으로 봄철을 위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봄철의 대기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 ,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성 에어로졸 자료를 이용하여 황사 발생 기간 동안의 호흡기질환과 안질, 심혈관계질환자 수의 변동양상에 관한 건강영향을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사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1). 황사는 여러가지 지표로 평가 될 수 있는데, 그 중 특히 황사는 황사의 입자크기 Total Suspended Particle(TSP), Particular Matter lessthan 10 μm in diameter(PM10), Particular Matter in the 2.5-10 μm range(PM10-2.5), Particular Matter less than 2.5 μm in diameter(PM2.5)로 구분 할 수 있다. 주로 환경부와 서울시의 대기 질 측정망에서 입자 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Querol et al.
황사는 어떤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가? , 2002). 하지만, 대기혼탁도의 증가로 인하여 시정의 악화와 더불어 호흡기계질환 및 안구질환, 그리고, 혈관 기능 장애를 포함한 심혈관계 관련 질환 등에 영향을 미친다(Kwon et al., 2002).
황사란 무엇인가? 황사는 중국내륙과 몽골지방의 건조한 지역에서 작은 모래나 황토입자들이 바람에 의해 부유하여 상층기류로 인해 멀리 다른 지역으로 확산 되어 강하하는 현상이다(Satoshi 1978; Iwasaka et al., 1979; Ch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health risk assessment due to the sand dust, Environmental Research, 90: 1-5. 

  2. Chung, Y.S., 1992. On the observations of yellow sand (dust storms)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Part A. General Topics, 26(15): 2743-2749. 

  3. Seungsik, Hwang, 2007. Epidemiologic study of the effects of Asian dust on health,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Savtchenko, A., Ouzounov, D., Ahmad, S., Acker, J., Leptoukh, G., Koziana, J., and Nickless, D., 2004. Terra and Aqua MODIS products available from NASA GES DAAC, Advances in Space Research, 34(4): 710-714. 

  5. Brodzik, M.J., and K.W. Knowles, 2002. EASE-Grid: A versatile set of equal-area projections and grids, Discrete global grids 5: 110-125. 

  6. Chen, Y.S., P.C. Sheen, E.R. Chen, Y.K. Liu, T.N. Wu, and C.Y. Yang, 2004. Effects of Asian dust storm events on daily mortality in Taipei, Taiwan. Environmental research, 95(2): 151-155. 

  7. Ginoux, P., J.M. Prospero, T.E. Gill, N.C. Hsu and M. Zhao, 2012. "Global-scale attribution of anthropogenic and natural dust sources and their emission rates based on MODIS Deep Blue aerosol products," Reviews of Geophysics, 50(3). 

  8. Hsu, N.C., S.C. Tsay, M.D. King and J.R. Herman, 2004. Aerosol properties over bright-reflecting source region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IEEE Transactions on, 42(3): 557-569. 

  9. Iwasaka, Y., H. Minoura and K. Nagaya, 1983. The transport and spacial scale of Asian dust-storm clouds: a case study of the dust-storm event of April 1979. Tellus B, 35(3): 189-196. 

  10. Kim, H., and M. Choi, 2015. Impact of soil moisture on dust outbreaks in East Asia: Using satellite and assimilation dat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2(8): 2789-2796. 

  11. Kwon, H.J., S.H. Cho, Y. Chun, F. Lagarde and G. Pershagen, 2002. Effects of the Asian dust events on daily mortality in Seoul, Korea. Environmental Research, 90(1): 1-5. 

  12. Lee, H., H. Kim, Y. Honda, Y.H. Lim and S. Yi, 2013. Effect of Asian dust storms on daily mortality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79: 510-517. 

  13. Liu, Q., Y. Liu, J. Yin, M. Zhang and T. Zhang, 2014.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M10 during Asian dust storm and non-dust storm days in Beijing. Atmospheric Environment, 91: 85-94. 

  14. Okada, K., H. Naruse, T. Tanaka, O. Nemoto, Y. Iwasaka, P.M. Wu, A.O.R.A. Duce, M. Uematsu, J.T. Merril and K. Arao, 1990. X-ray spectrometry of individual Asian dust-storm particles over the Japanese islands and the North Pacific Ocean. Atmospheric Environment. Part A. General Topics, 24(6): 1369-1378. 

  15. Park, S.S., J. Kim, J. Lee, S. Lee, J.S. Kim, L.S. Chang and S. Ou, Combined dust detection algorithm by using MODIS infrared channels over East Asi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41: 24-39. 

  16. Querol, X., A. Alastuey, S. Rodriguez, F. Plana, C.R. Ruiz, N. Cots, G. Massague and O. Puig, 2001. PM10 and PM2. 5 source apportionment in the Barcelona Metropolitan area, Catalonia, Spain. Atmospheric Environment, 35(36): 6407-6419. 

  17. Qian, Z.A., M.H. SHONG, and W.Y. LI, 2002. Analyses on distributive variation and forecast of sand-dust storms in recent 50 years in North China. Journal of Desert Research, 2, 106-111. 

  18. Wang, J., and S.A. Christopher, 2003. Intercomparison between satellite-derived aerosol optical thickness and PM 2.5 mass: implications for air quality studi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0(21). 

  19. Zhang, D. and Y. Iwasaka, 1999. Nitrate and sulfate in individual Asian dust-storm particles in Beijing, China in spring of 1995 and 1996. Atmospheric Environment, 33(19): 3213-32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