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산릉공역의 철물 조달과 철제품 제작 -산릉의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urement of Iron Materials and the Production of Ironwork in Constructions of Royal Tombs in the Later Joseon Period -Focused on Sanneung-uigwes-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5, 2016년, pp.27 - 40  

이상명 (명지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procurement system of iron materials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ironwork in royal tombs constructions in the later Joseon period. For this purpose, sixteen Sanneung-uigwe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철의 종류는 어떻게 구분되었습니까? 조선시대 철의 종류는 생철(生鐵)과 숙철(熟鐵)로 구분되었는데, 생철은 수철이라 하는 무쇠이며, 숙철은 정철이라 하는 시우쇠였다.8)생철은 주로 농기구 제작에 쓰였고, 숙철은 병기류나 단단하고 정밀을 요하는 각종 도구의 제작에 사용되었다.
산릉도감의궤는 무엇입니까?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 이하 산릉의궤)는 조선시대 산릉(왕릉)의 봉분과 각종 건축 시설물을 조성하는 과정을 기록한 준공보고서이다. 영건의궤는 궁궐, 왕실사묘, 성곽 등 다양한 유형에 대한 건축 정보를 파악하는 데에는 적합한 사료이지만, 공사의 유형과 범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세부적인 변화과정을 도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
산릉의궤 중 노야소에 기록된 철인 신철, 정철, 강철, 납철, 동철은 무엇이며 어디에 쓰였나? 신철은 처음으로 생산된 숙철의 일종이다.9)산릉의궤 노야소 내용 중 철탄식(鐵炭式)10)에는 철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철과 숯의 양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신철 100근(斤)11)으로 정철 50근을 생산할 수 있었다.12)그러므로 신철은 불순물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원철임을 알 수 있다. 정철은 산릉공역에서 가장 많은 쓰이는 원철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철이고, 정련하여 최종 철제품을 생산할 때사용되었다. 강철(强鐵)은 영건의궤에서는 강철(鋼鐵)로 표기되어 표기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강철은 연장이 상한 곳에 첨철하여 개조용으로 쓰였고,13)야장의 연장을 벼릴 때 첨철용 및 주장(乼匠)의 연장용14)으로 쓰이기도 하였으며, 대부석소 연장으로는 작은 곶정(小串釘)과 각도(刻刀) 등을 제작15)할 때 사용되었다. 납철은 유랍(鍮鑞) 또는 유철(鍮鐵)이라고도 표기하였는데, 동철과 함께 장식철물을 납염(鑞染)하기 위해 사용한 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V, 2013 

  2.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 2013 

  3.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 2014 

  4.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I, 2014 

  5.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II, 2015 

  6.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X, 2015 

  7.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2007 

  8. 김권일, 영남지역 조선시대 제철문화의 기초적 연구: 석축형 제철로의 설정, 영남고고학, 50호, 2009 

  9. 김권일, 제철유적 조사연구법 시론, 문화재, 43권, 3호, 2010 

  10. 김왕직,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건축경제사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11. 박성훈, 單位語辭典, 민중서림, 1998 

  12. 신경환.김권일.최영민, 석축형제철로의 조업방식 연구, 야외고고학, 22호, 2015 

  13. 유승주, 조선시대 광업사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94 

  14. 이규경, 최주 역, 쇠부리에 대하여 연철변증설(鍊鐵辯證說), 대한금속학회회보, 12권, 1호, 1999 

  15. 이권영.김왕직,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에 있어서 철물과 철제 연장의 공급체계에 관한 연구 -영건의궤 기록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16권, 3호, 2007 

  16. 이상명, 산릉의궤 정자각을 통해 본 조선후기 관영건축의 시공기술,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7. 장경희, 조선시대 철물 제작 장인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7권, 1호, 2014 

  18. 장국종.리태영, 조선 광업사, 사회과학출판사, 2010 

  19. 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군기시터 유적, 서울특별시,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