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지역 노인 근로자의 건강관리 경험
Elderly Workers Living in Urban Areas and Their Experiences in Managing Health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5, 2016년, pp.514 - 524  

권유림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ported experiences of health management among twenty elderly workers living in urban areas. Methods: Corbin and Strauss's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to capture the meaning of health management. Theoretical sampling technique was us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일하는 삶 속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해 나가는가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노인 근로자의 건강관리 경험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일터에서 뿌리내리기 위해 건강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근로자들이 일을 선택하는 동기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노인 근로자들이 일을 선택하는 동기는 자아실현, 사회구성 원으로서의 역할, 여가를 즐기기 위한 목적, 경제적인 이유, 심리적 안정 등 다섯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5].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경제적인 목적으로 일을 지속하며, 국내에 서도 노인 근로자의 70.
건강상태 인식기를 통한 긍정적인 효과는 무엇입니까? 그러나 과거에 입원한 경험, 수술을 하느라 돈벌이를 못하고 일상이 무너 졌던 경험을 떠올리며 건강위기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다시금 인식하는 계기가 되곤 하였다. 이러한 자신의 건강상태를 인식 하는 과정은 건강을 유지해야 할 중요성을 다시 환기하고, 건강 위기와 사고를 염두에 두고 조심하며 건강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발판이 되었다.
국내에서 일을 하고 있는 노인과 일을 하지 않는 노인을 비교한 결과는 어떠합니까? 국내에서 일을 하고 있는 노인과 일을 하지 않는 노인을 대상으로 비교한 연구에서는 일을 하고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더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의료비 지출이 더 적으며[17], 자아존중감이 더 높고, 정서적 건강상태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18] 일을 하고 있는 노인 근로자의 긍정적인 측면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거나[18] 노인 근로자에 대한 실태조사와 관련한 연구[7,8] 등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노인 근로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부족한 실정임을 반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2015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for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5 July 1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B#SubCont. 

  2. Farrow A, Reynolds F. Health and safety of the older worker. Occupational Medicine. 2012;62(1):4-11. http://dx.doi.org/10.1093/occmed/kqr148 

  3.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spotlight on statistics older workers [Internet]. Washington DC: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08 [cited 2013 April 19]. Available from: http://www.bls.gov/spotlight/2008/older_workers. 

  4. Kim KH, Jang CW, Sim IS. An intensification plan of employment support service for older workers. Seoul: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10. 

  5. Kooij D, de Lange A, Jansen P, Dikkers J. Older worker's motivation to continue to work: five meanings of ag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8;23(4):364-94. http://dx.doi.org/10.1108/02683940810869015 

  6. Chung KH, Oh YH, Lee YK, Son CG, Park BM. Lee SY, et al. 2011 senior survey. 2012 policy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April. Report No.: 11-1352000-000672-12. 

  7. Statistics Korea. Analysis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May 1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54121. 

  8. Statistics Korea. Employment trend of older worker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April 22].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96. 

  9. Dong XS, Wang X, Daw C, Ringen K. Chronic diseases and functional limitations among older construction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a 10-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1;53(4):372-80. http://dx.doi.org/10.1097/JOM.0b013e3182122286 

  10. Kim DB, Chae SJ, Kim SU, Kim SJ. A study on factors which influence job satisfaction level among older people: comparison of those with chronic disease and healthy condi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9;45:261-91. 

  11. Schofield DJ, Shrestha RN, Passey ME, Earnest A, Fletcher SL. Chronic disease and labour force participation among older Australians.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2008;189(8):447-50. 

  12. Brown P, Vickerstaff S. Health subjectivities and labor market participation: pessimism and older worker's attitudes and narratives around retirement in the United Kingdom. Research on Aging. 2011;33(5):529-50. http://dx.doi.org/10.1177/0164027511410249 

  13. Dickson VV, Howe A, Deal J, McCarthy MM. The relationship of work, self-care, and quality of life in a sample of older working adul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Heart & Lung: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2012;41(1):5-14. http://dx.doi.org/10.1016/j.hrtlng.2011.09.012 

  14. Henkens K, Leenders M. Burnout and older workers' intentions to retir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010;31(3): 306-21. http://dx.doi.org/10.1108/01437721011050594 

  15. Kacmar KM, Collins BJ, Harris KJ, Judge TA. Core self-evaluations and job performance: the role of the perceived work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9;94(6):1572-80. http://dx.doi.org/10.1037/a0017498 

  16. Pitt-Catsouphes M, James JB, Matz-Costa C. Workplace-based health and wellness programs: the intersection of aging, work, and health. The Gerontologist. 2015;55(2):262-70. http://dx.doi.org/10.1093/geront/gnu114 

  17. Kim YS, Kang EN. A study on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mo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011;25(3):419-35. http://dx.doi.org/10.18398/kjlgas.2011.25.3.419 

  18. Kang JS, Km OH. A study on the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that has an influence in the mental health of participan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0;48:279-98. 

  19. Lee BH, Kim JA. Regional difference on the attitude and engagement of elderly Koreans toward social policy. Fundamental research project, Soow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5 December. Report No.: 2015-06. 

  20. Yoon MS. The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working elderly in Seoul. Policy Report. Seoul: The Seoul Institute, 2016 March. Report No.: 209 

  21. Corbin JM, Strauss A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2008. p. 3-379. 

  22. Kim JS. A study on health promotion experience of elderly women in community health center.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08;9(1):71-85. 

  23.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1997. p. 3-604. 

  24. Statistics Korea. 2014 Elderly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6 March 1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5. Oh HJ, Kim DH. Research on the influential factors in senior citizens' health promotion behavior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2;32:173-97. 

  26. Fishbein M,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Boston,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5. p. 131-386. 

  27. Miller CA. Nursing for wellness in older adults.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liams; 2009. p. 61-76. 

  28. Person AL, Colby SE, Bulova JA, Eubanks JW.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a worksite wellness program.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0;4(2):149-54. http://dx.doi.org/10.4162/nrp.2010.4.2.149 

  29. Pahor M, Guralnik JM, Ambrosius WT, Blair S, Bonds DE, Church TS, et al. Effect of structured physical activity on prevention of major mobility disability in older adults: the LIFE study randomized clinical trial.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4;311:2387-96. http://dx.doi.org/10.1001/jama.2014.5616 

  30. Malik SH, Blake H, Suggs LS. A systematic review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4;19:149-80. http://dx.doi.org/10.1111/bjhp.12052 

  31. Caban-Martinez AJ, Lee DJ, Fleming LE, Tancredi DJ, Arheart KL, LeBlanc WG, et al. Arthritis, occupational class, and the aging US workforc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1;101(9):1729-34. http://dx.doi.org/10.2105/AJPH.2011.300173 

  32. Johns G. Presenteeism in the workplace: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10;31(4):519-42. http://dx.doi.org/10.1002/job.6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