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외과 간호사의 근거기반 통증사정 및 관리 가이드라인 수행도
Performance of Evidence-based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Guidelines among Medical-Surgical Nurs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5, 2016년, pp.546 - 558  

김희량 (전남대학교병원) ,  송지은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소향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at the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vidence-based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guidelin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40 nurses at the med-surgical units. Data were collected in early July, 2014 using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 (RNAO) g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RNAO (2007)가 개발한 근거기반 통증 사정과 관리 권고안을 국내에서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이 검증되고 개작된 도구를 이용하여 내 · 외과 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통증 사정 및 관리 권고안에 대한 수행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내 · 외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미 국내에서 타당성이 검증된 RNAO (2007)[20]의 근거기반 통증 사정과 관리 권고안에 대한 임상 수행도를 파악하고자 처음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내 · 외과 간호사의 근거기반 통증 사정과 관리 권고안에 대한 수행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RNAO [20]가 개발하여 Hong과 Lee [19]가 번안하고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여 개작한 통증 사정과 관리 권고안 도구를 이용하여 내 · 외과 간호사의 통증 사정과 관리 권고안의 수행도를 파악함에 있다.
  • 이에 환자의 통증 사정과 관리 권고안을 실제로 활용하게 되는 간호사들의 수행도를 파악하지는 못하였던 점이 초기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볼 때, Hong과 Lee가 개작한 RNAO 근거기반 통증 사정 및 관리 권고안을 사용하여 일 상급종합병원 내 · 외과 간호단위의 근무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권고안 항목별로 통증 사정과 관리를 어느 정도로 수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증문제는 일반적인 간호 문제로 공인되어 간호사가 해결해야 할 주요한 개념인데, 환자의 통증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바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는가? 통증은 일반적 간호문제로 공인되어 북미간호진단협회(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에서 개발한 간호진단분류체계(NANDA Taxonomy II)에 목록화 되어 있는 간호사가 해결해야 할 주요한 개념이다[2]. 환자 개인이 통증이 있다고 호소할 때에는 분명히 통증 현상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것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올바른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3]. 그러한 접근 태도는 통증이란 생리적, 감각적 측면과 정신적, 감정적 측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개인별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주관적 반응과 태도로 나타나게 된다는 정의에 근거하게 된다[4].
통증은 개인과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과 더불어 암, 퇴행성 질환 및 수술 등으로 인한 통증이 의료사회의 주요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인구의 20% 정도가 통증을 겪고 있고, 또한 그중 35%가 매일 통증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는데, 이러한 통증은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 고통을 수반하며, 직장과 사회생활 수행을 어렵게 함으로써 국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1]. 통증은 일반적 간호문제로 공인되어 북미간호진단협회(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에서 개발한 간호진단분류체계(NANDA Taxonomy II)에 목록화 되어 있는 간호사가 해결해야 할 주요한 개념이다[2].
전 세계인구의 몇 퍼센트가 매일 통증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는가?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과 더불어 암, 퇴행성 질환 및 수술 등으로 인한 통증이 의료사회의 주요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인구의 20% 정도가 통증을 겪고 있고, 또한 그중 35%가 매일 통증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는데, 이러한 통증은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 고통을 수반하며, 직장과 사회생활 수행을 어렵게 함으로써 국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1]. 통증은 일반적 간호문제로 공인되어 북미간호진단협회(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에서 개발한 간호진단분류체계(NANDA Taxonomy II)에 목록화 되어 있는 간호사가 해결해야 할 주요한 개념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won TD. Acute.chronic management of pai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2011 October 22; Seoul, Korea. 

  2.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 nursing diagnosis, goals and interventions. 3rd ed. Cha YN., Jang HS, Han HS, Jeong JS, Yoon J, et al., translator. Seoul: Hyunmoonsa; 2013. 

  3. McCaffery M, Pasero C. Pain: clinical manual. 2nd ed. St Louis: Mosby; 1999. 

  4. Max MB, Donovan M, Miaskowski CA, Ward SE, Gordon D, Bookbinder M, et al. Quality improvement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acute pain and cancer pai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5;274(23):1874-80. http://dx.doi.org/10.1001/jama.1995.03530230060032 

  5. Kwon IG, Whangs MS, Kim JH. Effects of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pain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t home.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2;2(1):36-49. 

  6. Song SS, Park CS. Pain management knowledge and attitude of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stream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0;17(1):55-62. 

  7. Gong SW, Bang JY, Seo MS, Hyun SS, Kim HJ, Lee MA, et 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oncology nurses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4;16(1):5-16. 

  8. Kennedy MP. Violence in emergency departments: underreported, unconstrained, and unconscionabl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2005;183(7):362-5. 

  9. Chan B, Leung P. Pain management. Canadian Journal of Surgery. 2005;48(2):98-9. 

  10. Mun JH.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urses' cancer pain management. [masters thesis]. G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4. 

  11. Song M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pain managemen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12. Jang KS, Choi JY, Ryu SA, Kim YH, Park HY, Kim EA, et al. Actio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care. Seoul: Hyunmoonsa; 2014. 

  13. Tak HH, Kim KH. A study on performance of pain management and perceived barriers of pain care among hospital nurses. Nursing Science. 2012;24(1):23-34. 

  14. Won YH, Kim YH, Park JY. Comparison of pain managem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guidelines in cancer emergency room.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3):230-6. http://dx.doi.org/10.5388/aon.2012.12.3.230 

  15. Kim SY, Hwang IH, Yoon JL, Cho JJ, Choi YH, Rho YG, et al. A selection and translation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rimary care physician in respiratory disease field.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4;25(3):205-15. 

  16. Shin ES.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and emerging tasks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55(4):371-8. 

  17.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Seoul: Ryomoongak; 2010. 

  18. Kim Y. Symptom management for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2;15(2):61-7. 

  19. Hong SJ, Lee EJ. Validation of a translated guideline on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focused on abdominal surgery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1):159-70. 

  20.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 Assessment & management of pain. [Internet]. Toronto: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 2007 [cited 2010 January 19]. Available from: http://rnao.ca/sites/rnao-ca/files/AssessAndManagementOfPain2014.pdf 

  2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175-91. 

  22. Han JY, Park HS, Jin MJ. Nurses'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pain management at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1):7-12. http://dx.doi.org/10.7739/jkafn.2016.23.1.6 

  23. Kim HK, Lee HS, Hwang KH, Yoo YS, Lee SM. Positive and negative determinants for pain management in both cancer patients and thei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1):68-75. 

  24. Wang HL, Tsai YF. Nurses' knowledge and barriers regarding pain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21-22):3188-9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226.x 

  25. Kim E, Park M. Nurses' awareness and performance about evidence-based pain management in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1):20-30. 

  26. Yang MR, Choi GS, Jung Y. A study on nurses' knowledge of cancer patient's pain and pain-palliation.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006;31(1):66-77. 

  27. Sterman E, Gauker S, Krieger J. A comprehensive approach to improving cancer pain management and patient satisfaction. Oncology Nursing Forum. 2003;30(5):857-64. 

  28. Park JS, Oh YJ. A survey of nurses' knowledge of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3;10(1):87-95. 

  29. Brown ST. Outcomes analysis of a pain management project for two rural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0;14(4):28-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