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륜자동차 제동장치 검사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spection Standards of Motorcycle Brake System 원문보기

자동차안전학회지 =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v.8 no.4, 2016년, pp.18 - 23  

임재문 (대덕대학교 기계설계과) ,  홍승준 (창원문성대학교 자동차기계과) ,  하태웅 (가천대학교 기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nspection standards of motorcycle brake system affecting motorcycle traffic accident. The inspection standards of motorcycle brake system recommended by CITA (International Motor Vehicle Inspection Committee) are studied. The brake performance for pr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륜자동차 사고유발 요인 중 차량적 요인에서 비중이 큰 제동장치의 제동능력에 대한 이륜자동차 검사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륜자동차 안전기준 및 CITA(국제자동차검사위원회, International Motor Vehicle Inspection Committe)에서 권고하고 있는 이륜자동차 제동장치 검사기준, 영국과 일본의 제동장치 검사기준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 제동장치의 제동능력은 별도의 절로 구분하여, CITA 권고안 및 국가별 기준을 검토하고 국제기준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국내 검사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륜자동차 제동장치 안전기준은 어디에 규정되어 있는가? 이륜자동차 제동장치 안전기준은 국토교통부령 제164호인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67조(제동장치)에 규정되어 있으며, Table 1에 요약 하여 나타내었다.(6)
국내 이륜차 시장의 수요가 감소하고 신차의 구입보다 중고차를 구입하는 소비패턴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국내 이륜차 시장의 수요는 1990년 이후 고도의 경제성장과 택배산업의 발달 등에 기인한 유통구조의 변화에 따라 상업적인 수요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수요는 감소하였고 신차의 구입보다는 주로 중고차를 구입하는 소비패턴을 보이고 있다.(1)2015년 국내 이륜자동차 신고대수는 2,161,774대로 2010년 1,825,474대 대비 18.
CITA에서 권고하는 이륜자동차 주요검사 분야는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CITA에서 권고하는 이륜자동차 주요검사 분야는 이륜자동차 식별, 브레이크 장치, 조향장치, 가시성, 등화장치 및 전자장치 부품, 차축・바퀴・타이어・서스펜션, 섀시및 섀시 부가장치, 기타장치, 해로운 물질 등 8가지 분야로 분류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공정거래위원회, 2015, "보도자료 (2015-03-11)". 

  2. 국토교통부, 2016, "이륜차신고현황시도별", 통계누리, 교통물류, 자동차등록 현황보고. 

  3. 도로교통공단, 2015, "2015년판(2014년 통계) 교통사고 통계분석", 2015-0217-030. 

  4. International Traffic Safety Data and Analysis Group, 2015, "Road Safety Annual Report 2014", IRTAD. 

  5. 도로교통공단, 2009, "교통사고 요인분석-이륜차 사고 특성분석을 중심으로",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2009-0257-111. 

  6. 국토교통부, 2016,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7. International Motor Vehicle Inspection Committee, 2008, "L Category Vehicle Inspection". 

  8. 일본자동차독립행정법인, 2014, "일본 자동차심사 사무규정". 

  9. Driver and Vehicle Standard Agency, United Kingdom, 2014, "Motorcycle Single Vehicle Approval (MSVA) Inspection Manual". 

  10. Vehicle and Operator Services Agency, 2005, "The MOT Inspection Manual - Motor Bicycle and Side Car Test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