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 개통에 따른 급행열차 선택 및 혼잡도 변화분석
Express Train Choice and Load Factor Analysis as Line Extension in Seoul Metro 9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9 no.5 = no.96, 2016년, pp.663 - 671  

김경민 (Rail Traffic & Mobility Research Team,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오석문 (Rail Traffic & Mobility Research Team,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노학래 (Rail Traffic & Mobility Research Team,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자료를 기반으로 한 김경민 외[1]의 승객경로추적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 개통에 따른 급행열차 선택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단계 개통 전과 비교하였을 때, 1단계 구간 기존 승객들의 급행열차 선택 비율은 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개통 전 후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다항로짓모형을 개발하였고 개통 전 후 모형의 전이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급행열차에 대한 선택이 높은 장거리 승객의 증가로 인해 2단계 개통 후 급행열차의 혼잡도가 약 6.7% 상승하였고 일반열차와의 혼잡도 차이는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o change passengers' preferences for express trains according to line extension in Seoul Metro Line 9. Before-and-after line extension, we traced passengers' path choices using Smart Card data via the method suggested by Kim et al. (2015). We developed two multinomial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절에서는 개통 전과 후 승객들의 급행열차 선호가 변화하였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개통 전과 후 각각에 대하여 승객의 경로선택에 대한 다항로짓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형 간 전이성이 있는지 확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선 연장에 따른 승객들의 통행행태 변화를 분석, 예측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철도건설비 절감 및 대도시권의 확대에 따라 도시·광역 철도 노선에 대한 단계별 연장 개통은 이미 연장 운영중인 서울지하철 7호선 및 9호선, 추진 및 건설 중인 하남선, 별내선 및 진접선과 같이 향후 빈번하게 발생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노선 연장에 따른 승객들의 통행행태 변화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열차운영계획 수립과 혼잡도와 같은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서울지하철 9호선의 경우 일반열차와 급행열차가 혼합 운영되고 있으므로 노선 연장으로 인한 효과를 분석 및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도시·광역 철도 노선에 대한 단계별 연장 개통이 빈번하게 발생될 것인 이유는? 철도건설비 절감 및 대도시권의 확대에 따라 도시·광역 철도 노선에 대한 단계별 연장 개통은 이미 연장 운영중인 서울지하철 7호선 및 9호선, 추진 및 건설 중인 하남선, 별내선 및 진접선과 같이 향후 빈번하게 발생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노선 연장에 따른 승객들의 통행행태 변화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열차운영계획 수립과 혼잡도와 같은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서울지하철 9호선의 노선 연장에 따른 승객들의 통행행태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힘든 이유는? 따라서, 노선 연장에 따른 승객들의 통행행태 변화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열차운영계획 수립과 혼잡도와 같은 서비스 품질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서울지하철 9호선의 경우 일반열차와 급행열차가 혼합 운영되고 있으므로 노선 연장으로 인한 효과를 분석 및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M. Kim, S.M. Oh, S.-P. Hong, S.-J. Ko (2015) Tracing a logical path of passengers : A case study of Seoul Metro Line 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8(6), pp. 586-595. 

  2. S.-.P. Hong, Y.H. Min, M.J. Park, K.M. Kim, et al. (2015) Precise estimation of connections of metro passengers from Smart Card data, Transportation, Advance online publication, 43 pp. 749-769. 

  3. H.-S. Shin, S.-Y. Chung, M.-S. Kim (2011) A study on the second phase operating patterns fo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irst phase transport demand of line 9,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Spring), Hoengseong, 498-508. 

  4. M.R. Kim, D.S. Moon, Y.M. Lee (2012) After the opening of the extended section (Onsu-Pupyeong) in Subway Line No. 7,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Spring), Mokpo, 984-989. 

  5. D.-S. Lim, I.-H. Shin (2013) A primary study for the extension standard of urban & commuter rail lin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61(4), pp. 92-94. 

  6. O.S. Ji (2003) Validity of designating line extension project in Seoul as metropolitan railroad. Gyeonggi Research Institute, CEO Report. 

  7. L. Mejia-Dorantes, A. Paez, J.M. Vassallo (2012)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mpacts on firm location: the effect of a new metro line in the suburbs of Madri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22, pp. 236-250. 

  8. F. Calvo, J. de Ona, F. Aran. (2013) Impact of the Madrid subway on population settlement and land use, Land Use Policy 31, pp. 627-639. 

  9. K.M. Kim, S.-P. Hong, S.J. Ko, D. Kim (2015) Does crowding affect the path choice of metro passeng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77, pp.292-304. 

  10. E. Hideshima, N. Koike, K. Yamamoto, H. Hadase (2000) Train operation with arranging conflicts between commuters and travelers in railroad transport to and from a metropolitan airport. In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ystems, Man and Cybernetics, Nashville, pp. 566-571. 

  11. M. Bierlaire (2003) BIOGEME: a free package for the estimation of discrete choice models. Swiss Transport Research Conference, Monte Verita, Ascona, pp.1-24. 

  12. F.S. Koppelman, C.G. Wilmot (1982) Transferability analysis of disaggregate choice mode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95, pp. 18-24. 

  13. R. Chapleau, L. Pierre, K.G. Baass (1987) A posteriori impact analysis of a subway extension in Montreal. Centre de recherche sur les transports, Universite de Montreal, 1152. 

  14. K.M. Kim, S.M. Oh (2015) Evaluation of load factor on metro using smart card data in skip-stop operation,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Spring), Mokpo, 984-989. 

  1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201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 3rd edi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echnical Report TCRP Report 24 165. 

  16. C.H. Yang, E.-Y. Shon (2000) Estimation of transfer related values of Seoul subway users using stated preference and revealed preference analyses, J. Korean Soc. Transport., 18(4), pp. 19-30. 

  17. Y. Asakura, T. Iryo, Y. Nakajima, T. Kusakabe (2012) Estimation of behavioural change of railway passengers using smart card data. Public Transport, 4, pp. 1-16. 

  18. J. Baek, K. Sohn (2016) An investigation into passenger preference for express trains during peak hours. Transportation, 43(4) pp. 623-641. 

  19. K.M. Kim, S.-.P. Hong, S.-J. Ko, J.H. Min (2016) Predicting Express-Train Choice of Metro Passenger from Smart Card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5th Annual Meet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6-5400. 

  20. S. Sikder, A.R. Pinjari, S. Srinivasan, R. Nowrouzian (2013) Spatia transferability of travel forecasting models: a review and synthesi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s in Engineering Sciences and Applied Mathematics, 5(2-3), 104-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