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에 대한 분석과 전망
Analysis and prospect of North Korea's Cyber threat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6 no.5, 2016년, pp.11 - 16  

이대성 (동의대학교) ,  안영규 (신경대학교) ,  김민수 (경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인류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막대한 손해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한국도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되었고, 그 위협의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북한은 한국을 대상으로 한 적대행위를 지속적으로 자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가중요시설 등의 전산망을 공격하는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 유형으로는 소프트웨어(Software) 측면에서 인터넷 내부를 파괴하거나 조정하는 컴퓨터 바이러스(Virus)와 웜(Worms),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분산서비스 거부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은 사이버 공격을 위하여 일원화된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으므로, 한국도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 일원화된 대응조직체제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소프트웨어 측면의 공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칭 "사이버테러리즘방지법"의 제정을 적극 검토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dern societ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given people a lot of opportunities. But on the other side cyber attack also gives enormous damage to people. Recently Korea has become the target of cyber attack. The threat of it is growing. Especially North Korea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이 연구에서는 북한의 사이버전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사이버전 공격을 전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현행 대응시스템의 문제점을 고찰하여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북한의 사이버전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사이버전 공격을 전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현행 대응시스템의 문제점을 고찰하여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 사이버 공격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북한 사이버 공격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6]. 우선, 북한의 사이버전은 소프트웨어(Software)적 측면의 공격으로 분류할 수 있다. ⅰ) 북한의 사이버전은 해킹(Hacking) 9건, 분산서비스거부(DDos) 2건이었고, ⅱ) IP 추적결과는 북한 평양시 8건, 중국 요령성 3건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북한은 사이버전 수행을 위해 분산서비스거부(DDos)와 해킹(Hacking)을 활용하였다. ⅰ) 직접적인 DDos 공격 또는 좀비 PC를 활용하여 35개 국가기관, 금융사, 증권사, 포털사이트 등의 홈페이지를 마비시켰다. ⅱ) 악성코드를 유포하거나 감염시켜 KBS, MBC, 신한은행, 농협, 금융보안업체 등의 서버, PC, ATM 등의 기능을 마비시키거나 자료를 파괴하였다. ⅲ) 해커(Hacker)의 직접적인 공격을 통하여 청와대, 국무조정실, 정당, 언론사, 등의 전산시스템의 무력화를 시도하였으며, 한국수력원자력 설계도면과 조직도를 유출하였다. ⅳ) 해킹 조직으로 추정되는 단체가 외교부, 국방부 등에 근무하는 외교․안보 공무원 등의 E-mail에 접근하여 계정과 비밀번호를 유출하였다.
사이버전이란 무엇인가? 국가기관, 연구소, 학자들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합동참모본부는 사이버전을 컴퓨터에 의해 조성되는 가상 현실세계(Cyber space)와 가상인간의 영역과 같이 인공지능체계가 운용되는 공간에서의 전쟁 형태로 정의되고, 이는 정보화 사회의 과학기술 발전을 역이용하여 취약점을 공격함으로서 물리적인 군사시스템 파괴보다 훨씬 결정적인 손실을 강요할 수 있는 총체적인 가상공간에서의 정보마비전을 추구하는 전쟁수행방식으로 구체화하였다[5].
북한의 사이버 공격 유형은 무엇인가? 특히 북한은 한국을 대상으로 한 적대행위를 지속적으로 자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가중요시설 등의 전산망을 공격하는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 유형으로는 소프트웨어(Software) 측면에서 인터넷 내부를 파괴하거나 조정하는 컴퓨터 바이러스(Virus)와 웜(Worms),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분산서비스 거부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광진, "북한의 대남테러 조직 및 테러전망",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스라엘 국제대테러연구소 공동 국제학술회의 자료집, 75-98, 2016. 

  2. 이대성, "북한의 대남테러리즘 분석과 향후전망: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집권기를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보, 5(1): 125-147, 2012. 

  3. 김진무, "북한의 비대칭전력을 이용한 대남군사전략을 방관하지 말아야 할 때", 북한, 410: 84-92, 2006. 

  4. 박창권,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의 비대칭전력에 새로운 대응전력과 능력을 강화할 때", 북한, 411: 121-132, 2006. 

  5. http://www.jcs.mil.kr: 2016. 2. 7. 

  6. http://www.rand.org: 2016. 2. 8. 

  7. 윤규식,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과 위협 전망", 군사논단, 68: 64-95, 2011. 

  8. Libicki, Martin C. What Is Information Warfare?, Washing, D. C.: National Defense University, 1995. 

  9. 김기수,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과 대비방안",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 293-311. 

  10. 노훈.이재욱, "사이버전의 출현과 영향, 그리고 대응방향", 국방정책연구, 53: 177-201, 2001. 

  11. 배달형, "국가군사전략급 수준에서 북한 사이버 위협과 한국군의 대응방향", 전략연구, 52: 147-174, 2011. 

  12. 육군사관학교, 북한학, 서울: 황금알, 2004. 

  13. Lee Dae Sung,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n Cyber-Terrorism and its Counter measures", Korean Terrorism Studies Review, 2 (2): 1-37, 2009. 

  14. 임종인.권유중.장규현.백승조, "북한의 사이버전력 현황과 한국의 국가적 대응전략", 국방정책연구, 29(4): 9-45, 2013. 

  15. 유동열, "북한의 사이버 위협 실태와 대책", 한국안보정책학회.한국테러학회.한국반테러정책연구원.국가안전정책학회 공동학술세미나 자료집, 47-78, 2016. 

  16. www.yonhapnews.co.kr: 2016. 8.13. 

  17. 행정자치부, 국가기반체계 보호전략 개발연구, 경기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2. 

  18. 김인수, "북한의 사이버전 수행능력의 평가와 전망", 통일정책연구, 24(1): 117-14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