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조하천에 연결된 하수처리장 방류구의 거품 형성기작 해석 및 거품발생 저감기술의 실험적 현장적용
Explanation of Foaming Mechanism and Experimental Application of Foam Reduction Techniques in the Treated Wastewater Outle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Connected to a Tidal River,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9 no.3, 2016년, pp.187 - 196  

신재기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 ,  조영수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 ,  김영성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강복규 (환경부 수생태보전과) ,  황순진 (건국대학교 보건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조하천과 연결된 하수처리장 방류구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형성기작 해석과 저감기술의 실험적용을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거품은 방류구와 하천 수면 사이의 낙차에 의한 공기연행과 거품확산방지막에 의한 내부축적이 원인이었다. 특히 썰물 때와 방류량이 많을 때에 거품성장이 가장 활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류수로와 방류구에 각각 미세스크린 망과 수중방류 인공수로장치를 각각 설치한 후 실험하였다. 거품 저감효과는 각각 약 85.0~92.0%, 70.7~85.6% 범위였다. 또한, 거품뿐만 아니라 소음 등 부가적인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민원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단일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국내 다른 하수처리장의 유사한 사례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foaming generated in the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from March 2015 to July 2016. The main cause of foaming was air entrainment by an impinging jet and the internal accumulation by the diffusion barrier. Particularly, the foam growth was most a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방류구가 위치한 지점의 양안 하천변은 시민 산책로와 자전거길이 조성되어 있고, 그 뒤편과 너머로 고층 공동주택이 밀집되어 있다. 따라서 외관상 좋지 않은 이미지가 제공되고 있어 구조적 또는 비구조적 측면에서 어떠한 형태든 방류구의 거품 발생량을 경감시키고자 하는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였다. 거품의 발생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은 현재까지 화학물질 소포제 (defoamer)와 거품확산방지막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 선행 조사 및 진단 후 감조하천 특성과 유량 등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최적 기술을 개발하였고, 실제로 현장에 적용한 실험적 사례로써 소개하였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국내의 다른 하폐수 처리장에도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하수처리장에서 하수처리수를 방류할 때 발생하는 거품현상의 기작을 파악하고 이를 경감시키기 위한 저감장치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직접 실험 테스트하는 것이다. 선행 조사 및 진단 후 감조하천 특성과 유량 등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최적 기술을 개발하였고, 실제로 현장에 적용한 실험적 사례로써 소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품현상 중, 생하수를 집수하여 처리하는 단위공정에서 발생하는 것은 무엇의 주요한 원인인가? 그러나 도시화의 확대로 인해 하수처리장이 지역생활 공간의 중심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차츰 주목하게 되었다. 유역에서 발생하는 생하수(untreated raw wastewater)를 집수하여 처리하는 단위 공정에서 발생하는 거품현상은 수처리 저해, 악취발생 및 미관장해 등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요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Berovic, 1990; Vardar-Sukan, 1998; Chung, 2000; Jang and Mun, 2005; Shin et al., 2016).
부유성 거품이 대소 하천과 해양 연안으로 방류될 경우에는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 2001). 반면에, 부유성 거품이 대소 하천과 해양 연안으로 방류될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문의 부정적 시각을 가지게 되어 불필요한 민원 발생의 가능성은 충분히 상존하였다.
D 하수처리장을 포함한 국내 주요 하수처리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것은 무엇인가? , 2016).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 대상지의 하수처리수 방류구 전단에 설치된 거품확산방지막은 공공수역 하천의 상하류 구간에서 유일하게 눈에 띄는 비고정형 유동설비에 해당하였다. 또한, 방류구가 위치한 지점의 양안 하천변은 시민 산책로와 자전거길이 조성되어 있고, 그 뒤편과 너머로 고층 공동주택이 밀집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rovic, M. 1990. Foam problems in fermentation processes. Chemistry and Industry 39: 567-573. 

  2. Berovic, M. and A. Cimerman. 1979. Foaming in submerged citric acid fermentation on beet molasse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7: 313-319. 

  3. Chung, K.Y. 2000. Biodegradation potential of hexadecane by sewage foam. Korean Journal of Sanitation 15: 69-76. 

  4. Ghildyal, N.P., B.K. Lonsane and N.G. Karanth. 1988. Foam control in submerged fermentation: state of the art. Advances in Applied Microbiology 33: 173-222. 

  5. Gordon, R.L. 1996.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Principles of Operation A Practical Primer. 2nd ed. Teledyne RD Instrument, Inc., California, USA. 

  6. Im, J. and K. Gil. 2014. Characteristic of foaming in nitritation reactor using anaerobic digester supernatant and livestock wastewater.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 433-441. (in Korean) 

  7. Jang, H.S. and G.S. Mun. 2005. A study on the foam wastewater treatment and foam collection by inhalation force at the outlet of power pl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1: 496-499. (in Korean) 

  8. Kang, G.S., D.S. Lee and Y.C. Kim. 2000. The hydraulic measures for alleviating foam formation at the outlets of power plants. Proceeding for Spring Meeting Conference of Korean Nuclear Society. pp. 1-10. 

  9. Kim, J.Y., K.S. Kang, Y.M. Oh and S.H. Oh. 2008. Design of submerged outlet structure for reducing foam at a power plant using a numerical model simulating air entrai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0: 452-460. (in Korean) 

  10. Lim, Y.H. and B.K. Bae. 1995. Property and reduction of seawater foam occurred during operation of power plant. Electric Technology (summer edition), pp. 6-17. (in Korean) 

  11. Maeng, J.H., T.Y. Kim, D.H. Seo, J.I. Seo, M.H. Son and T.S. Kang. 2013. A study of measures to predict and mitigate marine environmental impacts of cooling water discharges from power plants. Project Report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No. 2013-04-01, pp. 98-100. (in Korean) 

  12. Mancy, K.H. and D.A. Okun. 1960. Effects of surface active agents on bubble aeration. Journal of the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32: 351-364. 

  13. Moeller, L., C. Herbes, R.A. Muller and A. Zehnsdorf. 2010. Formation and removal of foam in the process of anaerobic digestion. Landtechnik. pp. 204-207. 

  14. Oh, S.H., Y.M. Oh, K.S. Kang and J.Y. Kim. 2008.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efficiency of reducing air bubble formation by installing horizontal porous plate in the submerged outlet structure of power pla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0: 472-481. (in Korean) 

  15. Oh, Y.M., S.H. Oh and S.C. Jang. 2010. Reduction of the foam generated in the discharge channel of a power pla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2: 235-240. (in Korean) 

  16. Shin, J.K., O.H. Lee, S.J. Hwang and K.J. Cho. 2001. Algal bioassay for the treated and raw wastewater in the Kyongan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4: 192-198. (in Korean) 

  17. Shin, J.K., Y. Cho, Y. Kim and S.J. Hwang. 2016. Cause diagnosis and reduction measures of foaming in the treated wastewater outlet of D wastewater treatment plant.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9: 124-129. (in Korean) 

  18. Thomas, A. and M.A. Winkler. 1977. Foam separation of biological materials, pp. 43-71. In: Topics in Enzyme and Fermentation Biotechnology (Wiseman, A., ed.). Ellis Horwood, Chichester. 

  19. Vardar-Sukan, F. 1998. Foaming: Consequences, prevention and destruction. Biotechnology Advances 16: 913-948. 

  20. Wood, I.R. 1991. Air Entrainment in Free-Surface Flows. IAHR Hydr. Struct. Des. Manual No. 4., Hydraulic Design Considerations. A.A. Balkema, Rotterdam, The Netherland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