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조제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중립대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Neutral zone approach for rehabilitation of severely atrophic maxillary and mandibular ridges: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4 no.4, 2016년, pp.407 - 412  

이자연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치과 보철과) ,  최순영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치과 보철과) ,  이지현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치과 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하게 흡수된 치조제를 지닌 환자에게 적절한 의치를 제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중립대 인상 기법을 이용한 의치의 제작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립대 내에 인공 치아를 배열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이루고자 함이다. 첫째, 치아가 정상적인 근육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둘째, 의치에 저항하여 가해지는 근육 조직의 힘이 안정과 유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심한 잔존 치조제의 흡수를 보이는 78세 여자 환자로 오랜 기간 불안정한 상 하악 총의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의치의 안정과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립대 인상 기법을 통한 새로운 의치의 제작을 계획하였다. Modeling compound를 이용하여 중립대를 인기하였으며 치아 배열 후 external impression을 시행함으로써 정확한 연마면을 형성할 수 있었다. 완성된 상 하악 총의치는 보다 향상된 안정과 유지를 보였으며 환자 역시 새로 제작된 의치에 만족감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utral zone technique i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construction of complete dentures on highly atrophic ridges with history of denture instability. This technique achieves two objectives. First, the teeth will not interfere with the normal muscle function, and second, the force exerted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심한 잔존 치조제의 흡수를 지닌 상∙하악 무치악 환자에게 중립대(neutral zone) 개념을 적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한 증례로 보다 높은 안정과 유지를 지닌 의치를 제작하여 심미와 기능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진단 및 치료계획 과정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 의치의 제작이 유지나 지지 측면에서 추천되었으나 환자가 지닌 수술에 대한 거부감 및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협측과 설측 근육의 압력을 최적화하여 균형을 이루는 위치를 찾아주는 중립대 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의치를 제작함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개선된 의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립대는 무엇인가? 중립대(Neutral zone)는 ‘기능하는 동안 구강 안에서 밖으로 향하는 혀의 압력과 밖에서 안으로 향하는 볼과 입술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는 잠재적인 영역’으로 정의된다.2 자연치아는 다양한 힘이 작용한 결과 이들이 평형을 이루게 되는 안정적인 위치인 중립대 내에 놓이게 된다.
중립대 내에 인공 치아를 배열하는 것의 목적은 무엇인가? 4 중립대 내에 인공 치아를 배열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이루고자 함이다. 첫째, 치아가 정상적인 근육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둘째, 의치에 저항하여 가해지는 근육 조직의 힘이 안정과 유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5 중립대를 결정하는 데에는 주변 근육 조직 및 구조물들이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각결절의 구성요소는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먼저협근(buccinators)은 구치부 치아의 위치 및 연마면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각결절(modiolus)은 협근(buccinators), 구륜근(orbicularis oris), 대협골근(zygomaticus major), 구각 거상근(levator angulis oris), 구각하제근(depressor angulis oris) 등으로 구성되며 소구치 부위 치아의 위치 및 소구치 부위의 연마면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s)과 이근(mentalis muscles)은 전치부 치아의 위치 및 연마면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Fish EW. An analysis of the stabilising factors in full denture construction. Br Dent J 1931;52:559-70. 

  2. Beresin VE, Schiesser FJ. The neutral zone in complete and partial dentures. 2nd ed. St. Louis; CV Mosby; 1978. 

  3. Fahmy FM, Kharat DU. A study of the importance of the neutral zone in complete dentures. J Prosthet Dent 1990;64:459-62. 

  4. Beresin VE, Schiesser FJ. The neutral zone in complete dentures. 1976. J Prosthet Dent 2006;95:93-100. 

  5. Beresin VE, Schiesser FJ. The neutral zone in complete dentures. J Prosthet Dent. 1976;36:356-67. 

  6. Gahan MJ, Walmsley AD. The neutral zone impression revisited. Br Dent J 2005;198:269-72. 

  7. Basker RM, Harrison A, Ralph JP. A survey of patients referred to restorative dentistry clinics. Br Dent J 1988;164:105-8. 

  8. Atwood DA, Postextraction changes in the adult mandible as illustrated by microradiographs of midsagittal sections and serial cephalometric roentgenograms. J Prosthet Dent 1963;13:810-24. 

  9. Cagna DR, Massad JJ, Schiesser FJ. The neutral zone revisited: from historical concepts to modern application. J Prosthet Dent 2009;101:405-12. 

  10. Rehmann P, Zenginel M, Wostmann B. Alternative procedur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mandibular complete dentures: a modified neutral zone technique. Int J Prosthodont 2012;25:506-8. 

  11. Fahmi FM. The position of the neutral zone in relation to the alveolar ridge. J Prosthet Dent 1992;67:80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