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아자녀를 둔 장년기 어머니의 결식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of Skipping Meals of Prime-Aged Mothers with Children :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5, 2016년, pp.451 - 462  

박미연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필숙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the goal of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of skipping meals of prime-aged mothers with children as well as their nutritional status. Methods: Utilizing data from the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frequency of s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기 자녀를 둔 장년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틀 동안 결식빈도별로 인구통계학적, 건강행태 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영양소 섭취 관점에서 식사의 질을 평가하여, 결식빈도에 따른 영양 및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소아자녀를 둔 장년기 어머니들의 결식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양상태에 대해 파악하고자 설계되었다. 만 3세~11세 소아자녀를 둔 30~49세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틀간 식사에서 결식빈도에 따라 무결식군, 1끼니 결식군, 2끼니 이상 결식군으로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식으로 인한 불규칙한 식사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아침, 점심, 저녁의 규칙적인 식사는 면역을 높이고, 질병을 예방하며, 건강을 지키는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결식으로 인한 불규칙한 식사는 암[1], 당뇨병[2]과 같은 질병의 주요한 위험인자인 비만[3]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와 심혈관계에 영향을 주는 지질성분을 빠르게 증가시킨다. 또한 식사시간 지연과 결식으로 인해 과식을 초래하고, 지방산화에 영향을 끼친다[4].
아침 결식으로 인한 문제점은? 또한 식사시간 지연과 결식으로 인해 과식을 초래하고, 지방산화에 영향을 끼친다[4]. 특히 아침 결식은 위궤양[5], 십이지장궤양[6], 위염[7]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과체중[8]과 관련이 있다. BaHammam 등[9]은 낮 시간 동안 금식하고 저녁에 단 한 번의 식사섭취는 수면장애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규칙적인 가정식사는 폭식, 만성적 다이어트, 과도한 체중감소와 극단적 체중 조절 행위와 역의 상관성을 가진다고 하였다[10,11].
본 논문에서 결식빈도에 따른 영양 및 건강관리 연구를 위해 소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조사한 이유는? 이로써 결식으로 인한 불규칙한 식생활은 질병 및 건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요소이며, 가정에 이루어지는 식생활은 가족 모두의 식습관 형성의 근본이 된다. 가정의 식생활 관리는 어머니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인의 식생활이 소홀하다면, 가족의 식생활에도 소홀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특히, 소아 자녀를 둔 주부의 식생활에 대한 태도는 소아자녀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alle EE, Kaaks R. Overweight, obesity and cancer: epidemiological evidence and proposed mechanisms. Nat Rev Cancer 2004; 4(8): 579-591. 

  2. Abdullah A, Peeters A, de Courten M, Stoelwinder J. The magnitude of association between overweight and obesity and the risk of diabete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Diabetes Res Clin Pract 2010; 89(3): 309-319. 

  3. Farshchi HR, Taylor MA, Macdonald IA. Regular meal frequency creates more appropriate insulin sensitivity and lipid profiles compared with irregular meal frequency in healthy lean women. Eur J Clin Nutr 2004; 58(7): 1071-1077. 

  4. Smeets AJ, Westerterp-Plantenga MS. Acute effects on metabolism and appetite profile of one meal difference in the lower range of meal frequency. Br J Nutr 2008; 99(6): 1316-1321. 

  5. Levenstein S, Kaplan GA, Smith MW.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eptic ulcer incidence in the Alameda County Study. J Clin Gastroenterol 1997; 24(3): 140-146. 

  6. Farsakh NAA. Risk factors for duodenal ulcer disease. Saudi Med J 2002; 23(2): 168-172. 

  7. Edwards FC, Coghill NF. Aetiological factors in chronic atrophic gastritis. Br Med J 1966; 10(2): 1409-1415. 

  8. Song WO, Chun OK, Obayashi S, Cho S, Chung CE. Is consumption of breakfast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in US adults? J Am Diet Assoc 2005; 105(9): 1373-1382. 

  9. BaHammam A, Alrajeh M, Albabtain M, Bahammam S, Sharif M. Circadian pattern of sleep, energy expenditure, and body temperature of young healthy men during the intermittent fasting of Ramadan. Appetite 2010; 54(2): 426-429. 

  10. Fulkerson JA, Story M, Mellin A, Leffert N, Neumark-Sztainer D, French SA. Family dinner meal frequency and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with developmental assets and highrisk behaviors. J Adolesc Health 2006; 39(3): 337-345. 

  11. Neumark-Sztainer D, Wall M, Story M, Fulkerson JA. Are family meal patterns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adolescents? J Adolesc Health 2004; 35(5): 350-359. 

  12. Hulshof KF, Brussaard JH, Kruizinga AG, Telman J, L. wik MR. Socio-economic status, dietary intake and 10 y trends: the Dutch National Food Consumption Survey. Eur J Clin Nutr 2003; 57(1): 128-137. 

  13. Miech RA, Kumanyika SK, Stettler N, Link BG, Phelan JC, Chang VW. Trends in the association of poverty with overweight among US adolescents, 1971-2004. JAMA 2006; 295(20): 2385-2393. 

  14. Contento IR. Basch C. Zybert P. Body image, weight, and food choices of Latina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J Nutr Educ Bhav 2003; 35(5): 236-248. 

  15. Wright DE, Radcliffe JD. Parent's perceptions of influences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facilities. J Nutr Educ 1992; 24(4): 198-201. 

  16. Gibson EL, Wardle J, Watts CJ.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nutritional knowledge and beliefs in mothers and children. Appetite 1998; 31(2): 205-228. 

  17. Nam S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ing behavior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Cult 2003; 18(6): 515-526. 

  18. Lee KA. Effects of mothers' nutritional attitudes and knowledge on their children's obesity inducing factors. Korean J Nutr 2004; 37(6): 464-478. 

  19. Oh YJ, Chang YK.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 2006; 39(2): 184-191. 

  20. Park MY, Park PS. Factors related to eating habits and nutrition status of mother affecting on body mass index of children aged 1-5year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102-111. 

  21. Shin KO, Yoon JA, Lee JS, Chung KH.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etary assessment and knowledge of (Full-Time) housewives and working (Job-Holding) housewi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0; 20(1): 1-10. 

  22. Shin KO, Yoon JA, Lee JS, Chung KH, Choi SN. A comparison study on interest of dietary life behavior, nutrient intake and health between full-time and working housewives. J Korean Soc Food Cult 2010; 25(3): 285-295. 

  23. Kim SH.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housewives' attitudes toward dietary life and their health.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6; 22(6): 783-791. 

  24. Wen CP, Cheng TYD, Tsai SP, Chan HT, Hsu HL, Hsu CC et al. Are Asians at greater mortality risks for being overweight than Caucasians? Redefining obesity for Asians. Public Health Nutr 2009; 12(4): 497-506. 

  2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p. vi-xii. 

  26. Hansen RG.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1973; 31(1): 1-7. 

  27. Yi YH, Kim YJ, Lee SY, Lee JG, Jeong DW, Cho YH et al. The correlation of meal frequency and nutrition with mental health status in women aged 20-39 years: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Korean J Obes 2015; 24(2): 101-107. 

  28. Sayer LC, England P, Bittman M, Bianchi SM. How long is the second (plus first) shift? Gender differences in paid, unpaid, and total work time in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J Comp Fam Stud 2009; 40(4): 523-545. 

  29. Kim TY, Han DB, Ahn JH, Lee SH. Effect of mothers' identification on nutrition labelling to children's obesity.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3; 19(3): 51-82. 

  30. Choi JH, Chung YJ. Evaluation of diet quality according to nutrient intake between highly educated, married, unemployed and employed women. Korean J Nutr 2006; 39(2): 160-170. 

  31. Hua LL. The effect of mothers' body mass index on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f the infant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 

  32. Bell RR, Draper HH, Tzeng DY, Shin HK, Schmidt GR. Physiological responses of human adults to foods containing phosphate additives. J Nutr 1977; 107(1): 42-50. 

  33. Gaina A, Sekine M, Chandola T, Marmot M, Kagamimori S. Mother employment status and nutritional patterns in Japanese junior high schoolchildren. Int J Obes 2009; 33(7): 753-7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