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진공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 장치의 최신 경향
Current Trend of Ultrahigh Vacuum Low Temperature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원문보기

진공 이야기 = Vacuum magazine, v.3 no.4, 2016년, pp.14 - 18  

함웅돈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연구단) ,  염한웅 (포항공대 물리학과,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원고에서는 2010년대 중반 현재 초고진공 환경에서 작동 가능한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의 세계적 흐름을 정리 및 소개를 한다. 벡터형 초전도 자석을 장착한, 저진동 초고진공용 희석식 냉동기의 개발에 힘입어 수십 밀리 켈빈 이하의 온도 대 및 10 테슬라의 고자기장하의 실험 조건을 가지는 밀리 켈빈 주사터널 현미경이 세계 선도 그룹에서 속속 구축이 완료되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1 켈빈 이하 고자기장 냉동기를 이용한 저온 주사 터널 현미경의 응용 범위 역시 넓어지고 있다. 튜닝 포크를 이용한 저온 원자 힘 현미경 및 저온 광자 주사터널 현미경을 이용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020년대에 본격 출현할 초고진공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의 흐름을 예측해 보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article, we will summarize recent advances in ultrahigh vacuum (UHV) low-temperature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during the last decade. Leading STM groups have finished or are constructing UHV milli-Kelvin high magnetic field STM capable of a few tens of milli-Kelvin and ~ 10 tesla....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켈빈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에만 구현이 되었으나, 1 켈빈 이하 또는 수십 밀리켈빈의 온도 대에서 구현이 앞으로 빨리는 수년 내에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는, 3) 튜닝 포크 원자간 힘 현미경 (tuning–fork atomic force microscope) 과4) 광자 주사터널 현미경을 소개하려 한다. 또한 결론부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020년대의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의 세계적인 흐름을 감히 예측해보려 한다.
  • 또한 본 저자들이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의 제작 경험을 시작한 90년대와는 달리, 현재 국내에서도 전자 빔 용접, 고파워 펄스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 등의 고성능 용접 기법이 손쉽게 지원받을 수 있으므로, 1켈빈 이하 고자기장 냉동기의 제작은 국내 자체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단에서도 연구단 고유 디자인 개념을 가진 1 켈빈 이하 7 테슬라 초전도 자석을 장착한 냉동기를 설계 및 제작 중이며, 그 완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고진공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의 특징은 무엇인가? 초고진공 환경에서 샘플의 처리 및 분석이 가능한 초고진공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은 1990년대 초반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현재까지 수십 년간 주사터널 현미경을 이용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액체 헬륨 저장기 (reservoir)의 4.
1 켈빈 이하 고자기장 주사터널 현미경이 단일 전자 스핀 관련 연구 및 위상 부도체의 연구가 가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2 ~ 10 켈빈의 샘플 온도 대역을 가지는, 초고진공 4 켈빈 저온 주사터널 현미경은 현재까지도 초고진공 주사터널 현미경의 기본형으로서 여러 초고진공 환경에서의 표면 연구에 사용되어 왔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1 켈빈 이하 고자기장 주사터널 현미경은, 10 테슬라 정도의 고자기장에 의한 전자 에너지 레벨의 지만 분열 (Zeeman splitting)이 열적 동요보다 더 큰 실험 조건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본격적인 단일 전자 스핀 관련 연구 및 위상 부도체의 연구를 위시한 여러 중요한 연구를 가능케 해왔다.
초고진공 밀리켈빈 고자기장 주사터널 현미경을 사용하기 이전인 2000년대 중반까지의 실험환경은 어떠하였는가? 지난 이십 년 이상의 저온 및 고자기장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2010년대 중반 저온 주사 터널 현미경의 선도 흐름은 10 테슬라 정도의 고자기장 환경에서 수십 밀리 켈빈의 실험 온도 대역을 가능케 하는, 초고진공 밀리켈빈 고자기장 주사터널 현미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극한 실험 조건은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주사터널 현미경 장치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해서, 소위 “수송 현상 연구 공동체(transport research community)” 만이 보여줄 수 있는 실험 조건이라고 여겨졌었다. 그러나 이제 초고진공 밀리켈빈 고자기장 주사터널 현미경의 출현으로 수송 현상 연구 공동체의 실험 조건과 동일한 실험 조건 대역의 연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Y. J. Song, A. F. Otte, V. Shvarts, Z. Zhao, Y. Kuk, S. R. Blankenship, A. Band, F. M. Hess, and J. A. Stroscio, Rev. Sci. Instrum., 81, 121101 (2011). 

  2. S. Misra, B. B. Zhou, I. K. Drozdov, J. Seo, L. Urban, A. Gyenis, S. C. J. Kingsley, H. Jones, and A. Yazdani, Rev. Sci. Instrum., 84, 103903 (2013). 

  3. F. Pobell, Matter and Methods at Low Temperatures, 3rd edition, Springer, Berlin (2007). 

  4. R. Vincent, S. Klyatskaya, M. Ruben, W. Wernsdorfer, F. Balestro, Nature, 488, 357 (2012). 

  5. A. J. Heinrich, J. A. Gupta, C. P. Lutz, and D. M. Eigler, Science, 306, 466 (2004). 

  6. C. Z. Chang, J. S. Zhang, X. Feng, J. Shen, Z. C. Zhang, M. H. Guo, K. Li, Y. B. Ou, P. Wei, L. L. Wang, Z. Q. Ji, Y. Feng, S. H. Ji, X. Chen, J. F. Jia, X. Dai, Z. Fang, S. C. Zhang, K. He, Y. Y. Wang, L. Lu, X. C. Ma and Q. K. Xue, Science 340, 167 (2013). 

  7. L. Gross, F. Mohn, N. Moll, P. Liljeroth, G. Meyer, Science, 325, 1110 (2009). 

  8. C. Chen, P. Chu, C. A. Bobisch, D. Mills and W. Ho, Phys. Rev. Lett., 105, 217402 (2010). 

  9. R. Zhang, Y. Zhang, Z. C. Dong, S. Jiang, C. Zhang, L. G. Chen, L. Zhang, Y. Liao, J. Aizpurua, Y. Luo, J. L. Yang, and J. G. Hou, Nature, 498, 82 (2013). 

  10. S. Zhang, D. Huang, S. Wu, Rev. Sci. Instrum., 87, 063701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