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접시공에 따른 정거장구조물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ur of the Station Structure due to Adjacent Co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7 no.11, 2016년, pp.55 - 64  

정지승 (Department of Railroad Construction & Safety Engineering, Dongyang University) ,  김만화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Dongyang University) ,  이선길 (Samlim Engineering) ,  김홍주 (Department of Tunnel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Hakyong Engineering) ,  신영완 (Department of Tunnel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Hakyong Engineering)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하공간을 활용한 도시의 기반시설 확충으로 인하여 시설물 상호 간의 근접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접시공으로 인한 시설물의 안정성과 관련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접시공으로 인한 정거장구조물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김포도시철도 터널이 계획된 노선 상부의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 정거장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거장구조물의 안전영역 평가 및 굴착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검토와 수치해석을 통한 상세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손상도 평가, 궤도틀림 및 구조검토 결과 근접시공에 따른 정거장구조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근접시공시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검토하는 경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t has been made many adjacent construction of inter-facility by the expansion of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using the underground space. The complaints relating to the stability of the facility by adjacent construction is common.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for the subway line 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포도시철도 실시설계 시 도로 및 민가, 기존 구조물 등 지장물 인접구간에 대한 발파 시 소음・진동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파진동 저감대책을 수립하였다.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 하부 터널통과구간의 발파는 선대구경+라인드릴링 공법으로 계획되었으나 발파영향을 검토한 결과 제어발파 시 허용기준(0.
  • 본 연구에서는 근접시공에 따른 정거장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수행을 위해 근접시공 관련기준 및 사례, 근접도 평가 및 정거장구조물 안정성 확보를 위한 터널 굴착방법을 검토하였으며, 정거장 직하부 터널굴착에 따른 안정해석, 구조검토 및 연계해석을 통하여 현재운행 중인 정거장구조물의 거동특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부에 인접한 정거장구조물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지반 굴착공사에 따른 구조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본 절에서는 김포도시철도 제5공구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상부구조물 하부로 신설터널이 시공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5m로 안전측 검토 수행을 위해초기 지하수위는 GL.-16.5m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각종 기반시설 확충과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개발이 확대되고 있는 것은? 도시의 각종 기반시설 확충과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도로, 철도, 지하철, 전력・통신시설 및 수로시설 등 터널을 이용한 지하공간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지상 시설물과 지하 시설물 또는 지하 시설물 상호 간의 근접시공으로 인해 시설물의 안정성과 관련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접시공 시 구조물의 특징 및 주변지반 특성 등을 상세히 고려한 설계 및 시공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로 인하여지상 시설물과 지하 시설물 또는 지하 시설물 상호 간의 근접시공으로 인해 시설물의 안정성과 관련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접시공은 공사 정도가 난해하기 때문에 시공 진행에 따른 기존 구조물 및 주변 시설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대책이 수립되지 못할 경우 기존 구조물의 침하, 균열, 누수 및 박리 등 구조물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설물의 안정성과 관련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도시의 각종 기반시설 확충과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도로, 철도, 지하철, 전력・통신시설 및 수로시설 등 터널을 이용한 지하공간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지상 시설물과 지하 시설물 또는 지하 시설물 상호 간의 근접시공으로 인해 시설물의 안정성과 관련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접시공은 공사 정도가 난해하기 때문에 시공 진행에 따른 기존 구조물 및 주변 시설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대책이 수립되지 못할 경우 기존 구조물의 침하, 균열, 누수 및 박리 등 구조물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2001), 도시철도인접굴착공사 관리실무, pp. 1-222. 

  2.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2008), 선로정비규정, 제2장 궤도정비기준 [별표 5]. 

  3. Attewell, P. B. (1977), Ground movements caused by tunnelling in soil,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rge Movements and Structures, London, pp. 812-948. 

  4. Attewell, P. B., Yeates, J. and Selby, A. R. (1986), Soil movements induced by tunnelling and their effects on pipelines and structures, Blackie, Glasgow. 

  5. Bjerrum, L. (1963), Allowable settlement of structures, Proc., 3rd European Conf.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Vol. 2, Weisbaden, Germany, pp. 135-137. 

  6. Boscardin, M. D. and Cording, E. J. (1989), Building response to excavation-induced settlement,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 115, No. GT1, pp. 1-21. 

  7. Burland, J. B. (1997), Assessment of risk of damage to buildings due to tunnelling and excavation,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Ishihara(ed.), Balkema, Rotterdam, pp. 1189-1201. 

  8. Burland, J. B. and Wroth, C. P. (1974), Settlement of buildings and associated damage, Proceedings of a Conference on Settlement of Structures, Cambridge, pp. 611-654. 

  9. Cording, E. J. and Hansmire, W. H. (1975), Displacements around soft ground tunnels, In Proceedings of the 5th PanAmerican Congress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Buenos Aires, Session IV, pp. 571-632. 

  10. Lee, Y. J. (2004), Tunnelling adjacent to a row of loaded piles, Ph. D Thesis, University College London. 

  11. Lee, S. R., Woo, S. W. and Choi, C. S. (2010), Incheon metropolitan urban railroad line 2 (Construction section 206) project tunnel design c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58, No. 7, pp. 33-40 (in Korean). 

  12. Shin, S. Y., Lee, J. S. and Park, Y. G. (2009), A study on the stability of the existing subway structure due to nearby construction of new railway lin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2148-2165 (in Korean). 

  13. Sowers, G. F. (1962), Shallow foundations, chapter 6 in foundation engineering, ed. by G.A. Leonards, McGraw-hill, Inc., New York, pp. 525-6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