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Senior Cohousing for Independent later Life - Focusing on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3, 2016년, pp.1 - 16  

나지명 (광주 성덕중학교)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고등학교 기술 가정에 적용하여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 학습과정안과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실행한 후, 학생평가와 교사평가를 통해 이 교수 학습과정안의 수업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 설계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총괄학습 목표와 차시별 수업주제를 정하였고,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여 수업 진행과정을 설계하였고, 개발 단계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총 5차시분의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 학습과정안과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학습활동지 28개, 과제활동지 2개, 교사 읽기자료 26개, 동영상자료 10편, PPT 4편 등)와 수업평가용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실행은 2015. 8. 17~9. 3까지 3주간 제주도 인문계 P고등학교 1학년 6학급 전체 학생(150명)을 대상으로 교과담당교사가 실시하였고, 평가는 5차시 수업 종료 직후 설문지를 통해 노인용 코하우징 수업에 대한 학생의 평가와 수업 실행 교사의 수업 기록물과 연구자와의 면담 내용, 연구자의 참관기록을 바탕으로 종합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전반에 대한 학생의 참여도, 학습주제 이해, 학습 자료와 학습활동의 적정성, 미래 생활에의 도움 예상 정도 등의 평가가 고르게 높았으며, 노인과 노후준비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강화, 노인용 코하우징에 대한 이해 형성, 고령친화산업과 노인 관련 직업에 대한 관심을 향상시켰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활동 중 특히 노인용 코하우징 만들기 실습활동과 사례조사 발표가 효과적이었다. 학생과 교사의 평가가 높았던 마을 만들기 모둠활동의 결과물에는 수업이 실행된 제주도의 특색인 돌하르방, 해수욕장, 오름, 풍력발전 등이 표현되어 이 수업을 통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관심을 갖고,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청소년이 앞으로 살아갈 고령사회를 인식하여 나뿐만 아니라 부모님, 조부모님의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에 관심을 갖고, 이웃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를 주도할 수 있는 실천적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수업이라고 볼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senior cohousing to improve understanding of active and independent living in later life through Home Economics subject. The plan consisting of 5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룬 적 없는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여 2011 개정,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고령사회를 인식하고 나의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와 더불어 나의 조부모님과 부모님의 노후생활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한다.
  • 이 연구는 ‘코하우징 마을 만들기’ 활동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신장하고 민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연령 통합형 코하우징을 소개하고 있다.
  • 이 연구는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을 통해 수업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은 청소년이 앞으로 살아갈 고령사회를 이해하고 문제를 인식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부모님의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에 관심을 갖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를 주도할 수 있는 실천적 역량을 기르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노인용 코하우징은 이웃 간의 교류를 통한 정신적 안정과 배려와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노후 주거대안이므로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소개하는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Cho와 Choi(2010)가 사용한 개인멤버카드와 생활장면카드 게임, 공간 배치게임 등과 같은 워크숍 방법을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에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내면서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의사소통 능력과 실천적 문제 해결능력, 대인관계 능력 등의 핵심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실행한 후, 교사평가와 학생평가를 통해 이 교수・학습과정안의 수업효과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 준비교육이 요구되는 이유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학교현장에서도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노후 생활에 필요한 노년기 준비교육이 요구되고 있다(Lee & Choi, 2006).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맞춰 기술・가정 교육과정(교육과 학기술부, 2008, 2012; 교육부, 2015)에서는 저출산・고령사회 에서의 가정교과의 역할을 꾸준히 명시해 오고 있다.
노인용 코하우징이란? 그 중 고령사회를 맞아 노인용 코하우징(Senior Cohous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Choi, 2005; 2007). 노인용 코하우징은 주민들 사이에 자연스럽게 상호접촉이 일어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디자인된 물리적 거주환경에서, 공동 활동을 통해 이웃과 협동하고 도우며 친밀하게 생활하면서 실제적으로 경제적, 정서적 도움을 받아 잘 나이 들어 갈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계획한 인생 후반부를 위한 공동체 주거단지이다.
저출산・고령사회에서 가정교과의 목표는 무엇인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맞춰 기술・가정 교육과정(교육과 학기술부, 2008, 2012; 교육부, 2015)에서는 저출산・고령사회 에서의 가정교과의 역할을 꾸준히 명시해 오고 있다. 교과목표에는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의 필요성을 이해하여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 저출산・고령사회로 급변하면서 다양한 가정생활 문화와 가치관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므로 자아존중감과 타인을 배려하는 따뜻한 인간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 H. M. (2003). A Study on the Images toward the Elderly by Education about the Elderly in Junior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2. Cho, J. H. & Choi, J. S. (2010). A Case on Residents' Participation Workshop for Cohousing Pla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6), 155-169. 

  3. Cho, J. S. (2007). Attitudes Toward Work and Leisure in Later Life and Intention to Move to Senior Community Available to Work Among 50's in Seoul, Incheon, and Kyunggi-do.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4), 127-139. 

  4. Choi, J. S. (2003). Moving Motivation of Senior Cohousing Inhabitants in Scandinavian Countri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9(12), 129-138. 

  5. Choi, J. S. (2005). Comparative Study of Inhabitants' Life Satisfaction in Senior Cohousing Communities between Sweden and Denmark.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6), 149-160. 

  6. Choi, J. S. (2007). Preference of Common Spaces and Shared Activities in Senior Cohousing Community by Korean 50s: In reference to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other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1), 131-139. 

  7. Choi, J. S. (2013). Difference of Motivation of Move to Swedish Senior Cohousing by Longitudinal Analysis: focus on differences between the years of 2001 and 2010.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3), 81-92. 

  8. Choi, J. S. & Cho, J. S. (2006).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Moving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ohousing Residents in Scandinavi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 117-128. 

  9. Choi, J. S. & Paulsson, J. (2015). Senior Cohousing Projects in Scandinavia. Seoul: Eomunhagsa. 

  10. Jang, M. S. & Lee, Y. S. (2014).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the Elderly's Intention on Home Renovation.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4(2), 215-228. 

  11. Kim, H. E. (2003). Development of a Lesson Proposal about the Ag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5(1), 33-42. 

  12. Kim, M. H. & Cho, J. S.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Cohousing Teaching.Learning Pla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2), 55-69. 

  13. Kim, Y. J., Kwon, O. J., & Park, N. H. (2007). A Study on Residential Remodeling for Improving Independent Living of Elderly Households: Focused on Residential Remodeling Types and Needs of Elderly Households in Seoul.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6), 79-93. 

  14. Kim, Y. M. & Cho, J. S. (2001).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nto the LT Lesson Plan for the Chapter Family life and Housi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3(1), 39-53. 

  15. Kim, Y. N. & Cho, J. S.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Housing for the Later Life: in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1), 1-19. 

  16. Lee, G. S. & Jang, S. O. (2010).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al Design and It's Perception Applying Universal Desig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2), 155-169. 

  17. Lee, J. H. & Cho, B. E. (2011).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Teaching Plans for Teenagers'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in the 'Family life in old age' Uni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3), 161-183. 

  18. Lee, S. J. & Choi, B. S. (2006). A Survey on the Consciousness of Adolescents about the Elderly Housing Life Plan from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9(3), 5-21. 

  19. Lee, Y. J. & Jang, S. O. (2008). Actual Condition and the Need of Education for Elderly Housing Edu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59-75. 

  20. Oh, C. O. (2008). A Study for Developing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Elderly focused on Group Home and Shared Housing for Aging in Place: focused on the Elderly lived in Detached Housing, Busa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3), 59-70. 

  21. Park, Y. H., Lee, S. J., & Shin, H. S. (2008). A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ilver Industr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07-123. 

  22. Yoon, I. K., Joe, B. Y., Han, J. R., Kim, Y. H., Jang, M. H., Kim, M. J., Park, S.Y., Park, Y. M., & Park, G. J. (2005). Content Analysis of Aging in the Textbook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bout Agi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1), 85-111. 

  23. 교육과학기술부(2008).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7: 기술.가정. 

  24. 교육과학기술부(201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25.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26. 김다나(2002). 중.고등학생의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한 노년기교육의 필요성.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복혜(2008). 노인관련 교육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환일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보건복지부(2014.12.30). 2015 노인 복지시설 현황.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cd2766에서 2015. 11. 17. 검색. 

  29. 통계청(2014.11.27). 2014년 사회조사.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rd?bmoderead&aSeq332355에서 2015. 11. 25. 검색. 

  30.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정책보고서 2014-61. 

  31. 홍형옥.오혜경.주서령.지은영.홍이경.유병선(2006). 노후용 공동생활주택.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32. 홍형옥.이경희.최정신.김대년.조재순.권오정(2004). 노후에는 어디에서 살까? 서울: 지식마당.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