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폐수 이용 기존 매립지 가스 발생 향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of Improvement of Existing Landfill Gas(LFG) Production by Using Food Waste Water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5 no.3, 2016년, pp.104 - 113  

신경아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동종인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박대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김재형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  장원석 (한국지역난방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신기후체제 대비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써 신재생에너지원인 매립가스의 에너지이용 확대를 위해 현장 매립폐기물을 적용하여 음폐수 주입에 따른 메탄가스 생산량 증대 및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메탄가스 생산량 증대를 위해 주입하는 음폐수는 $35^{\circ}C$, pH 6으로 전처리한 후 사용하였고, 전처리 반응조는 타공성 담체가 고정된 상향류식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였다. 실제 매립폐기물을 이용한 pilot-scale 바이오리액터 운전결과 음폐수 주입시 강우를 활용한 대조군에 비해 6배의 매립가스 증가율을 보였으며, 평균 매립가스 발생량은 $56{\ell}/day/m^3$으로 $1m^3$ 매립지용적에서 연간 약 $20m^3$의 메탄가스가 생산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경우 25만 $m^3$ 이상의 중규모 매립지에 적용시 사업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기 등록되어 있는 매립가스 활용 CDM 사업 및 방법론을 기준으로 폐기물 처리용량 25만 $m^3$ 규모의 매립지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한 결과 연간 약 4~5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correlation between methane gas production and injection of food waste water to motivate to expand renewable energy as a way of GHG (Green House Gas) mitigation to achieve the national GHG target proposed for the climate agreement in Paris last year. Pretreatment of food waste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매립가스 발생량이 감소하고 있는 기존 매립지에 매립가스 발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메탄생성을 위한 혐기성소화 조건에 적합하도록 전처리한 음식물류폐수(이하, 음폐수)를 파이롯 스케일 바이오 리액터에 주입하여 침출수의 pH, ORP(Oxidation Reduction Potential;산화환원전위, 이하 ORP), TOC(Total Organic Carbon;총유기탄소, 이하 TOC) 등 성상 변화 및 매립가스 발생량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매립가스 발생량 향상에 따른 재무적 타당성이 있는 매립지 규모를 도출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이하 CDM)사업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매립가스 활용사업의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재무적 타당성이 있는 규모의 매립지 활용사업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수행 방법으로 실험장치 구성, 매립가스발생 특성확인, 분석 방법, 재무적 타당성 분석, 매립가스 발생량 증대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분석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대한 결과 및 고찰과 결론으로 보고서를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생기는 장점은? 신기후체제에 대비한 온실가스 저감 방법의 하나로서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온난화지수가 21인 메탄가스를 연소를 통해 파괴하고 온난화지수가 1인 이산화탄소로 배출함은 물론 화석연료 대체에 따른 온실가스저감 효과까지 얻을수 있는 매립가스의 활용은 에너지이용 측면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저감 측면에서도 우수한 수단임이 확실하다 할수 있으나,[5-8]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매립장내 유기물 감소로 인한 매립가스의 발생량 감소는 시설투자에 대한 사업성 확보가 불확실하여 매립가스 이용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9-11]
전처리된 음폐수를 파이롯 스케일의 바이오리액터에 주입하여 매립가스 발생량을 확인한 결과는? 음폐수를 주입한 매립폐기물 이용시 바이오리액터의 메탄가스 발생량은 평균 56ℓ/day/㎥으로 대조군 대비 약 6배 증가했으며, 이는 실제 매립지에 적용시 매립폐기물 1 ㎥기준 연간 20 ㎥의 메탄가스 생성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2020년 이후 신기후체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가 설정한 감축목표는? 최근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2020년 이후 신기후체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선진국만이 감축의무를 지던 체제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발도상국까지 참여하는 신체제로 전환되었고,[1,2]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정부도 203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BAU;Business As Usual) 대비 37%를 감축하는 국가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신기후체제 이행을 위한 강화된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Espagne, E., 2016, Climate Finance at COP21 and After: Lessons Learnt. CEPII, Policy Brief, (9). 

  2.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2015, UNFCCC, cp/2015/l.9/Rev.1 

  3. S.H.Bae, 2015,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 37% reduction from BAU." Electric Power vol. 9(7), pp. 42-43. 

  4. S.W. Park, 2016, "Post-2020 Climate Regime and Paris Ageement", Environment Law and Policy, vol. 16, pp. 285-322 

  5. Augenstein, D. 1992, The Greenhouse Effect and US Landfill Methan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pp. 311-328. 

  6. Augenstein, D., R. Yazdani, K. Dahl and R. Moore, 1998, Yolo County Controlled Landfill Project. Proceedings, California Integrated Waste Management Board (CIWMB) Landfill Gas Assessment and Management Symposium, Ontario, CA April. CIWMB, Sacramento, CA. 

  7. Augenstein, D. R. Yazdani, L. Sinderson, J. Kieffer M. Byars, 2000, Proceedings, Second International Methane Mitigation Symposium, US EPA and Russian Academy of Sciences (Siberian Branch) Akademgorodok, Novosibirsk, Siberia, Russia. Available from EPA, Washington DC). 

  8. Augenstein, D. R. Wise D. L., Wentworth R. L. and Cooney C. L., 1976, Fuel Gas Recovery from Controlled Landfilling of Municipal Waste. Resource Recovery and Conservation 2, pp. 103-117. 

  9. Halvadakis, C. A. Robertson and J. Leckie. 1983, Landfill Methanogenesis, Literature Review and Critique. Stanford Civil Engineering Department Report 271. Available from US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10. D. T. Sponza, O. N. 2004, "Impact of leachate recirculation and recirculation volume on stabiliz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s in simulated anaerobic bioreactors", Process Biochemistry, vol. 39, pp. 2157-2165 

  11. I. San, T. T. Onay, 2001, "Impact of various leachate recirculation regimes on municipal solid waste degradatio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B, vol. 87, pp. 259-271 

  12. D. R. Reinhart, 1996, "Full-scale experiences with leachate recirculating landfills: Case studies", Waste Management and Research, vol. 14, pp. 347-365 

  13. D. R. Reinhart, A. B. Al-Yousfi, 1996, "The impact of leachate recirculation on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operating characteristics", Waste Management and Research, vol. 14, pp. 337-346 

  14. D. R. Reinhart, P. T. McCreanor, T. Townsend, 2002, "The bioreactor landfill: its status and future", Waste Management and Research, vol. 20, pp. 172-186 

  15. Yuen, S.T.S., 2001. Bioreactor landfills: do they work? In: Geoenvironment 2001: 2nd ANZ Conference on Environmental Geotechnics, Newcastle, Australia, November. 

  16. Pohland F. G., 1980, "Leachate recycling as landfill management op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06(6), pp. 1057-1069 

  17. Pohland, F.G., 1995. Landfill Bioreactors, Historical Perspective, Fundamental Principles, and New Horizons in Design and Operations. US EPA/600/R-95/146.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eminar Publication: Landfill Bioreactor Design and Operation. Wilmington D.E., Washington. 

  18. K.S. Moon, et al., 2014, Charcaterristic of Anaerobic Acid Fermentation with Food Waste leachate by Reactor Type of Retentuon Time for Landfill Site Injection,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ol. 23, No. 3, pp.125-131 

  19. 2012 Korea waste statistics, 2013, MOE of Korea 

  20. Project 0851;Daegu Bangcheon-Ri Landfill Gas CDM Project, http://cdm.unfccc.i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