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인 가속도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Accelerometer to Measure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5 no.2, 2016년, pp.57 - 69  

이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진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연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가속도계 연구를 고찰하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평가 도구로 가속도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 2월부터 3월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총 331 개의 연구가 검색되었으며 최종 13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결과: 선정된 13편의 연구에서는 급성기, 아급성기, 만성기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가속도계의 종류로는 단축, 이축, 삼축 가속도계, 활동모니터가 있었으며, 20Hz 미만 혹은 이상의 진동수를 설정하고 1개에서 3개 이상을 사용하였다. 또한 가속도계는 일상생활의 상지 및 하지활동 및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며, 일상생활의 상지 과제를 통해 움직임을 분석할 때는 주로 손목, 팔에, 하지의 움직임은 허리, 넓적다리, 복사뼈에 부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활동은 주로 상지과제 활동, 걷기 활동 이였으며, 측정활동에 따라 부착부위도 다양하였다. 측정변수로는 총 활동 수, 대상자 움직임의 속도, 양측 움직임 비율, 동작분석이 있었으며, 결과로는 모든 연구에서 중재 전, 후 가속도계로 측정한 변수와 기존의 다른 평가도구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때 가속도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국내 작업치료 연구를 통해 가속도계가 임상 및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articles using accelerometer to measure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Depending on selection criteria, 13 studies were searched for PubMed, EMBASE, and Cochrane library database from February 2014 t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속도계를 이용해 측정한 변수는 주로 대상자의 총 활동 수와 상지 사용양이었으며, 그 밖의 보행속도, 대상자의 환측 건측 팔, 다리 사용빈도 비율, 동작분석이 있었다. 결과로는 특정 중재 전, 후로 변화된 가속도계 특정 변수와 가속도계를 제외한 다른 평가값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가속도계 변수와 비교한 평가도구는 Actual Amount of Use Test(AAUT),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Chedoke McMaster, Fugl-Meyer Assessment (FMA), Motor Activity Log(MAL), Minute Walk Test(MWT) 등이 있었으며, 13편의 모든 연구에서 가속도계 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5).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가속도계를 적용한 연구를 고찰하며 대상자 특징, 신체활동유형, 가속도계 종류, 착용기간, 착용부위별로 가속도계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가속도계가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 총 331개의 연구가 검색되었으며 2명의 연구자가 1차적으로 제목 및 초록 검토 후 180개의 연구를 제외하였고 2차적으로 원문확인을 통해 포함기준에 맞지 않은 138개의 논문을 제외하였으며, 최종 13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Figure 1). 다른 1명의 연구 참여자가 선정된 연구의 정확성 및 누락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 가속도계는 일상생활활동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지만, 사용방법이 표준화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치료사가 일상생활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가속도계를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에 대한 가속도계의 특성 및 분석방법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가속도계가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속도계의 특성 및 가속도계와 일상생활 평가도구와의 유의한 상관관계 연구 결과는 작업치료사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때 가속도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 2014).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의 평가 도구 중 하나인 가속도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가속도계가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현재 임상에서는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로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Modified Barthel Index(MBI),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Motor Activity Log(MAL) 등을 사용하고 있다(Jung, Kim, & Chang, 2009). FIM과 MBI는 만성질환자의 일상생 활자립도를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다(Namkung, Lee, & Chang, 1996).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의 한계점은? MAL은 뇌졸중 환자가 30개의 일상 생활활동을 환측 상지로 수행할 때 움직임의 질과 빈도를 평가하는 구조화된 인터뷰 방식의 평가도구이다 (Uswatte, Taub, Morris, Light, & Thompson, 2006). 그러나 이런 평가도구들은 대상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 수준을 질적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실제로 일상생활활동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양적으로 알 수 없다.
FIM과 MBI의 장점은? 현재 임상에서는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로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Modified Barthel Index(MBI),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Motor Activity Log(MAL) 등을 사용하고 있다(Jung, Kim, & Chang, 2009). FIM과 MBI는 만성질환자의 일상생 활자립도를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다(Namkung, Lee, & Chang, 1996). AMPS는 83개의 의미 있고 실제로 수행하는 표준화된 일상생활과제 2-3개를 선택하여 만성질환자의 운동기술(16항목)과 처리기술(20항목)을 4점 척도로 평가하여 프로그램으로 결과 값을 출력하여 평가한다 (Fisher,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이정호, 이기광. (2011). 가속도계를 활용한 신체활동 측정에 있어 국내외 연구현황에 대한 고찰. 스포츠과학연구소논총, 29, 41-51. 

  2.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13(5), 18-22. 

  3. Akay, M., Sekine, M., Tamura, T., Hisgashi, Y., & Fujimoto, T. (2004). Fractal dynamics of body motion in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during walking. Journal of Neural Engineering, 1(2), 111-116. doi:10.1088/1741-2560/1/2/006 

  4. Brown, T., Mapleston, J., Nairn, A., & Molloy, A. (2013). Relationship of cognitive and perceptual abilities to functional independence in adults who have had a stroke.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20(1), 11-22. doi: 10.1002/oti.1334 

  5. Cheung, V. H., Gray, L., & Karunanithi, M. (2011). Review of accelerometry for determining daily activity among elderly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6), 998-1014. doi: 10.1016/j.apmr.2010.12.040 

  6. Fisher, A. G. (2003).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5th ed.). Fort Collins, CO: Three Star Press. 

  7. Fulk, G. D., Reynolds, C., Mondal, S., & Deutsch, J. E. (2010). Predicting home and community walking activity in people with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1(10), 1582-1586. doi: 10.1016/j.apmr.2010.07.005 

  8. Gebruers, N., Vanroy, C., Truijen, S., Engelborghs, S., & De Deyn, P. P. (2010). Monitoring of physical activity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1(2), 288-297. 

  9. Green. (2007). Assessment of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paretic arm mobility among stroke survivors by accelerometry.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4(6), 9-21. doi: 10.1310/tsr1406-9 

  10. Hale, L. A., Pal, J., & Becker, I. (2008). Measuring free-living physical activity in adults with and without neurologic dysfunction with a triaxial accelerometer.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9), 1765-1771. doi: 10.1016/j.apmr.2008.02.027 

  11. Jung, H. Y., Kim, K. M., & Chang, M. Y. (2009). Measurement tools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3), 79-95. 

  12. Kang, S. I., Cho, J. S., Lim, D. H., Lee., J. S., & Kim, Y. I. (2013). Implementation of motion analysis system based on inertial measurement units for rehabilitation purposes.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 7(2), 47-54. 

  13. Kim, T. H. (2015). Kinematics of bimanual complementary movement in stroke pati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5(4), 342-349. 

  14. Lang, C. E., Wagner, J. M., Edwards, D. F., & Dromerick, A. W. (2007). Upper extremity use in people with hemiparesis in the first few weeks after stroke.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31(2), 56-63. 

  15. Lee, M. Y. (2011). Validity evidences and validation procedures of objective physical activity measures.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13(2), 17-37. 

  16. Lim, K. B., & Kim, J. A. (2013).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motor evoked potentials in the subacute stroke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7(1), 82-87. doi: 10.5535/arm.2013.37.1.82 

  17. Lord, S. E., Rochester, L., Weatherall, M., McPherson, K. M., & McNaughton, H. K. (2006). The effect of environment and task on gait parameter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mparison of measurement condition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7(7), 967-973. doi:10.1016/j.apmr.2006.03.003 

  18. Michielsen, M. E., Selles, R. W., Stam, H. J., Ribbers, G. M., & Bussmann, J. B. (2012). Quantifying nonuse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study into paretic, nonparetic, and bimanual upper-limb use in daily lif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11), 1975-1981. doi: 10.1016/j.apmr.2012.03.016 

  19. Namkung, Y., Lee, H. S., & Chang, K. Y. (1996). The correlation of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and 5 scale modified barthel index(MBI) in patient with CV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4(1), 45-50. 

  20. Noorkoiv, M., Rodgers, H., & Price, C. I. (2014). Accelerometer measurement of upper extremity movement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studie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1(1), 144-154. doi:1186/1743-0003-11-144 

  21. Ortlieb, S., Dias, A., Gorzelniak, L., Nowak, D., Karrasch, S., Peters, A., ... & Schulz, H. (2014). Exploring patterns of accelerometry-assessed physical activity in elderly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1(28), 1-10. doi: 10.1186 /1479-5868-11-28 

  22. Ozemek, C., Kirschner, M. M., Wilkerson, B. S., Byun, W., & Kaminsky, L. A. (2014). Intermonitor reliability of the GT3X+ accelerometer at hip, wrist and ankle sites during activitiies of daily living. Physiological Measurement, 35(2), 129-138. doi: 10.1088/0967-3334/35/2/129 

  23. Park, S. J., & Bae, S. Y. (2012).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ADL performance, balance and satisfa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2), 1-11. 

  24. Plasqui, G., Bonomi, A. G., & Westerterp, K. R. (2013). Daily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with accelerometers: New insights and validation studies. Obesity, 14(6), 451-462. doi:10.1111/obr.12021 

  25. Prajapati, S. K., Gage, W. H., Brooks, D., Black, S. E. & Mcllroy, W. E. (2011). A novel approach to ambulatory monitoring: Investigation into the quantity and control of everyday walking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5(1), 6-14. doi:10.1177/1545968310374189 

  26. Rand, D., & Eng, J. J. (2012). Disparity between functional recovery and daily use of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during subacute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6(1), 76-84. doi: 10.1177/1545968311408918 

  27. Rand, D., Eng, J. J., Tang, P. F., Hung, C., & Jeng, J. S. (2010). Daily physical activit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mbulatory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8(1), 80. doi:10.1186/1477-7525-8-80 

  28. Rand, D., Givon, N., Weingarden, H., Nota, A., & Zeilig, G. (2014). Eliciting upper extremity purposeful movements using video games: A comparison with traditional therapy for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8(8), 733-739. doi:10.1177/1545968314521008 

  29. Radomski, M. V., & Latham, C. A. T. (Eds.). (2010).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0. Reiterer, V., Sauter, C., Klosch, G., Lalouschek, W., & Zeitlhofer, J. (2008). Actigraphy-a useful tool for motor activity monitoring in stroke patients. European Neurology, 60(6), 285-291. doi:10.1159/000157882 

  31. Song, C. S. (2012). Current trends and future oriented view of clinical measurement used by neurological occupational therapist.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1), 5229-5237. 

  32. Thrane, G., Emaus, N., Askim, T., & Anke, A. (2011). Arm use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monitored by accelerometry: Association with motor impairment and influence on self-dependenc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3(4), 299-304. doi:10.2340/16501977-0676 

  33. Uswatte, G., Taub, E., Morris, D., Vignolo, M., & McCulloch, K. (200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upper extremity motor activity log-14 for measuring rela world arm use. Stroke, 36(11), 2493-2496. 

  34. Uswatte, G., Foo, W. L., Olmstead, H., Lopez, K., Holand, A., & Simms, L. B. (2005). Ambulatory monitoring of arm movement using accelerometry: An objective measure of upper-extremity rehabilitation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7), 1498-1501. 

  35. Uswatte, G., Giuliani, C., Winstein, C., Zeringue, A., Hobbs, L., & Wolf, S. L. (2006). Validity of accelerometry for monitoring real-world arm activity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Evidence from the extremity constraintinduced therapy evaluation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7(10), 1340-1345. 

  36. Uswatte, G., Miltner, W. H. R., Foo, B., Varma, M., Moran, S., & Taub, E. (2000). Objective measurement of functional upper-extremity movement using accelerometer recordings transformed with a threshold filter. Stroke, 31(3), 662-667. doi:10.1161/01.STR.31.3.662 

  37. Uswatte, G., Taub, E., Morris, D., Light, K., & Thompson, P. A. (2006). The motor activity log-28: Assessing daily use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Neurology, 67(7), 1189-1194. 

  38. Van der Pas, S. C., Verbunt, J. A., Breukelaar, D. E., van Woerden, R., & Seelen, H. A. (2011). Assessment of arm activity using triaxial accelerometry in patients with a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9), 1437-1442. doi:10.10 16/j.apmr.2011.02.021 

  39. Van Remoortel, H., Giavedoni, S., Raste, Y., Burtin, C., Louvaris, Z., Gimeno-Santos, E., ... & Troosters, T. (2012). Validity of activity monitors in health and chronic diseas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9(1), 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