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provision of safe drinkable water. The raw water of natural mineral water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quantities of anions (F-, Cl-, NO3-N-, and SO42- ) and cations (Ca2+, K+, Mg2+, and Na+) during the former and 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였다. 그리고 먹는샘물 판매량 증가에 따라 채수량 증가와 난개발 등으로 인한 인문적 오염으로 지하수 수위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관정깊이에 따른 수질변화를 비교하여 국민들에게 먹는물에 대한 이온류수질자료 정보 제공을 위한 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 먹는샘물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본적인 이온항목별과 지역별 수질 특성을 분석하고, 전술한 것과 같이 이온류 수질에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 중에 지질의 구성암석 종류와 암석의 화학적 특징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수질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먹는샘물 판매량 증가에 따라 채수량 증가와 난개발 등으로 인한 인문적 오염으로 지하수 수위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관정깊이에 따른 수질변화를 비교하여 국민들에게 먹는물에 대한 이온류수질자료 정보 제공을 위한 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1월 기준으로 국내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취수공 320점에 대한 원수 중, 양・음이온류의 수질 함량 등을 전수 조사하고, 지역별 수질 특성과 암석층에 따른 지하수 유형과 심도에 따라 변화되는 수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zouldy, A., Garzon, P., and Eisenberg, M. J. (2004), Comparison of the Mineral Content of Tap Water and Bottled Water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16(3), pp. 168-175. 

  2. Beach, R. (1936). Modern Miracle Men ,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pp. 1-7. 

  3. Chilton, J. (1992). Water Quality Assessments - A Guide to Use of Biota, Sediments and Water in Environmental Monitoring - Second Edition, Chapter 9 - Groundwater , pp. 1-3. 

  4. Choi, M. S. (2010). A Study of Bottle Design for Consideration of Seoul City Tap Water , ‘Arisoo’ Brand, Sungkyunkwan University, pp. 5. [Korean Literature] 

  5. Cho, B. W., Lee, B. D., Lee, I. H., and Choo, C. O. (2002). Sqeculation on the Water Quality for the Natural Mineral Water,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12(4), pp. 395-405. [Korean Literature] 

  6. Choo, C. O., Sung, I. H., Cho, B. W., Lee, B. D., and Kim, T. K. (1998).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 at Natural Mineral Water Plant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3(3), pp. 93-107. [Korean Literature] 

  7. Doo, Y. K., Kim, J. H., Kim, C. S., and Chang, D. (2000). Comparison of Water Quality of Domestic Natural Mineral Water,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15(1), pp. 88-94. [Korean Literature] 

  8. Han, S. T., Hwang, W. T., and Kim, G. R., (1998). The Development and Present State of Water Service Facilities,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27(5), pp. 435-443. [Korean Literature] 

  9. Hendler, S. S. (1990). The Doctor’s Vitamin and Mineral Encyclopedia , Simon & Schuster, pp. 112. 

  10. Huh, Y. H., Chung, H. M., Park, J. H., Jheong, W. H., Ahn, K. H., Park, S. J., Cho, Y. S., Yang, M. H., Shin, H. J., Lee, L. N., Min, B. D., Kim, T. W., Kim, C. S., and Kim, J. H. (2014). Measurenment of Trace Elements in Bottled Water and its Quality Assurance (II) , 11-1480523-002198-01, Natu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0. [Korean Literature] 

  11. Hwang, J. and Park, C. H. (2003). The Groundwater Geochemistry and its Variation with Depth in Daejeon Area,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14(1), pp. 53-61. [Korean Literature] 

  12. Jeong, J. E., Ji, H. S., Kim, B. G., Han, S. M., Kim, S, Y., and Kwon, K. W. (2011). Functional Mineral Chat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Busan Area,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 20(1), pp. 88-109. [Korean Literature] 

  13. Jeong, R. K. (1998). A Study on Ion Contents in Drinking Water and Bottled Water, Institute of Global Environment , 9, pp. 16-23. [Korean Literature] 

  14. Kang, K. G. (2010). Studies on the Hydrogeochemical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Pyosun Watershed, Jeju Province, Korea , Doctor’s Thesis, Juju University, pp. 4. [Korean Literature] 

  15. Kim, S. S., Lee, G. H., Jeong, J. H., Kim, S. R., Kim, C. C., Choi, K. Y., and Jeong, E. H. (1995). Characteristics of Potable Groundwater Qualities in Kangwon-Do,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11(3), pp. 247-256. [Korean Literature] 

  16. Larson, T. E. (1963). Mineral Content of Public Ground-water Supplies in Illinois , Authority of the State of lllinois, pp. 1-8. 

  17. Lee, J. U., Chon, H. T., and John, Y. W. (1997). Geochemical Characteristis of Deep Granitic Groundwate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4(4), pp. 199-211. [Korean Literature] 

  18.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4).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 27, pp. 125. 

  19. Nesbitt, H. W. and Young, G. M. (1984). Prediction of Some Weathering Trends of Plutonic and Volcanic Rocks Based on Thermodynamic and Kinetic Consideration,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 48(7), pp. 1523-1534. 

  20. Nova Scotia Canada Environment. (2008). The Drop on Water Calcium and Magnesium , pp. 1-4. 

  21. Spalding, R. F. and Exner, M. E. (1993). Occurrence of Nitrate in Groundwater-A Review ,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 22, pp. 392-402. 

  22. Rogers, R. J. (1989). Geochemical Comparison of Ground Water in Areas of New England, New York, and Pennsylvania, Ground water , 27(5), pp. 690-712. 

  23. Saether, O. M. and De Caritat, P. (1997). Geochemical Processes, Weathering and Groundwater Recharge in Catchments . A.A. Balkema, Rotterdam, Brookfield, pp. 400. 

  24. Seo, G. W. (2005).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of Groundwater in the Youngsan River Basin , Docto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25.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United Nations (UN). (1996). Water Quality Assessments - A Guide to Use of Biota, Sediments and water in Environmental Monitoring - Second Edition, Deborah Chapman , F&FN Spon, pp. 430-4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