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리미터파 5G 이동통신 기술
5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mmWave 원문보기

전자통신동향분석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31 no.1, 2016년, pp.58 - 67  

송영석 (Giga 통신연구 1 실) ,  이준환 (Giga 통신연구 1 실) ,  최은영 (Giga 통신연구 1 실) ,  박주호 (Giga 통신연구 1 실) ,  이훈 (Giga 통신연구 1 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동통신 시스템은 무선 트래픽 공급의 양과 질 양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왔다.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및 태블릿 pc 등 이동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대규모 보급과 늘어난 사용자 트래픽의 증가로 기존 3GHz 이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통신 용량 측면에서 한계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와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가용 대역이 풍부한 mmWave의 5세대 이동통신 활용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mmWave 대역을 위한 5G 표준화 동향과 채널 모델링, mmWave 대역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기술 및 현재까지 ETRI를 비롯한 여러 회사에서 개발되거나 개발 중인 mmWave 이동통신 시스템을 소개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8/38/60/73GHz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을 측정하였고, large/small scale 전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함.
  • 있다. 본고에서는 mmWave 대역의 5G 표준화 동향, 채널 모델링, 예상되는 전송기술 및 현재까지 개발되거나 개발 중인 mmWave 이동통신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 본고에서는 이런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mmVfeve 대역을 위한 5G 표준화 동향과 채널 모델링, mmWave 대역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기술 및 현재까지 ETRI를 비롯한 여러 회사에서 개발되거나 개발 중인 mmWave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소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amsung, "RP-152212, Report of RAN Email Discussion about >6GHz Channel Modeling," 2015. 

  2. 3GPP, "TR 36.859, Study on Downlink Multiuser Superposition Transmission for LTE," 2015 

  3. 5G Forum, "5G Vision, Requirements, and Enabling Technologies v1.0," 2014. 

  4. M. Bellanger et al., "FBMC Physical Layer: A Primer," PHYDAS, June 2010. 

  5. G. Wunder et al., "System-level Interfac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5G Physical Layer Based on Non-orthogonal Waveforms," IEEE Asilomar, 2013. 

  6. V. Berg et al., "A Flexible Radio Transmitter for TVWS Based on FBMC," Euromicro Conference on Digital System Design, 2013. 

  7. T.J. Kim, "A mmWave-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Giga KOREA-5G)," 5G Global Summit, Dec. 3rd, 2015. 

  8. DMC R&D Center, Samsung Electronics Co., Ltd, "5G Vision," Feb. 2015. 

  9. M. Nekovee, "Radio Technologies for Spectrum Above 6 GHz," 5G Radio Technology Seminar, IET, London, 17 March 2015. 

  10. M. Cudak et al., "Experimental mmWave 5G Cellular System," Tokyo Bay Summit, July 23rd, 2015. 

  11. S. Tereschuk, "Roadmap Towards 5G," Erricson, Nov. 25th, 2015. 

  12. Ericsson-LG News, "에릭슨 5G 기술, SK텔레콤과 함께 세계 최고 무선 전송 속도인 5Gbps 구현," 2014. 7. 2, http://www.ericssonlg.co.kr/site/ericssonlg/menu/38.do?configNo1&cmdread&contentNo10341 

  13. Ericsson, "5G," SlideShare, Oct. 9th, 2014, http://www.slideshare.net/Ericsson/5g-presentation 

  14. Ericsson Press Release, "Ericsson 5G Radio Prototypes Prepped for Field Trials With NTT DoCoMo," Nov. 24th, 2015. http://hugin.info/1061/R/1968743/719481.pdf 

  15. M. Alleven, "NTT DoCoMo Touts 5G Trials with Nokia, Samsung, Ericsson, Huawei and Fujitsu," Nov. 29th, 2015, http://www.fiercewireless.com/tech/story/ntt-docomo-touts-5g-trials-nokia-samsung-ericsson-huawei-and-fujitsu/2015-11-2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