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부전 환자 대상 국내 양적 간호연구 분석 및 중재연구의 질 평가
Research Trends in Quantitative Nursing Studies and Quality Assessment of Intervention Studi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n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4, 2017년, pp.227 - 240  

손연정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서은지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studies on heart failure (HF) patients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future study direction. Methods: A literature review of databases such as KoreaMed, KERIS and nursing and allied health journal were searched with k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당 주제에 대한 다양한 설계의 연구들(different types of research designs)을 서술적으로 종합하고 분석하는 것은 개별 연구자들이 해당 주제에 대한 연구 흐름을 정리하는 시간을 줄여주고 불필요한 반복연구를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8].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심부전 환자 대상 국내 간호연구의 현재를 파악하고 폭넓은 결론과 발전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국내 심부전 환자간호에서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심부전 환자에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간호연구가 어떤 내용을 연구하였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변수와 주제, 연구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고 포괄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때문에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보다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 및 정리가 가능한 방법론인 서술적 문헌고찰(narrative review)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해당 주제에 대한 다양한 설계의 연구들(different types of research designs)을 서술적으로 종합하고 분석하는 것은 개별 연구자들이 해당 주제에 대한 연구 흐름을 정리하는 시간을 줄여주고 불필요한 반복연구를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8].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7년 2월까지 수행된 심부전 환자 대상 국내 간호학분야의 양적 간호연구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국내 심부전 환자 특성에 맞는 근거기반 간호중재와 관련지식의 축적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양적 간호연구를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간호학회지와 학위논문에 발표된 심부전 환자관련 양적 간호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 연구변수를 분석하고 간호중재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셋째, 심부전 환자 대상 국내 간호중재 연구의 질을 평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부전이란? 심부전은 심장의 기능 혹은 구조적 이상으로 심실이 혈액을 충분히 뿜어내지 못하여 신체에 필요한 만큼의 산소를 전달하지 못하는 만성 진행성 비가역적 질환이다[1]. 최근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심부전의 주요 원인인 심근경색의 발생률 증가, 스텐트삽 입술과 같은 치료기술의 발전에 따른 심혈관 질환의 만성화 경향으로 인해 선진국에서는 성인 인구의 약 1-2%에서 심부전을 앓고 있으며[2], 특히 70세 이상 노인에서는 약 10%가 심부전 환자로 보고되고 있다[3].
심부전 환자에 대한 본 논문의 구체적 목표는? 첫째, 심부전 환자 대상 국내 양적 간호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심부전 환자 대상 국내 양적 간호연구에 사용된 주요 변수를 분석한다. 셋째, 심부전 환자 대상 국내 간호중재 연구의 질을 평가한다.
각 영역별 가장 많이 연구된 변수는? 심부전 환자 대상 주요 연구변수를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각 영역별 가장 많이 연구된 변수는 신체활동(생물학적), 자가간호(심리적), 질병에 대한 지식(사회적)의 3개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된 횟수가 많은 3개 중 2개는 심리적 영역(자가간호, 건강관련 삶의 질)이었고 1개는 생물학적 영역(신체활동)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Korean Society of Heart Failure. KSHF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heart failure 2016. Seoul: The Korean Society of Heart Failure; 2016. p.2-84. 

  2. Obieglo M, Uchmanowicz I, Wleklik M, Jankowska-Polanska B, Kusmierz M. The effect of acceptance of illness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6;15(4):241-247. https://dx.doi.org/10.1177/1474515114564929 

  3. Leto L, Feola M. Cognitive impairment in heart failure patients. Journal of Geriatric Cardiology. 2014;11(4):316-328. https://dx.doi.org/10.11909/j.issn.1671-5411.2014.04.007 

  4. Haykowsky MJ, Daniel KM, Bhella PS, Sarma S, Kitzman DW. Heart failure: Exercis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Who, when, and how intense? Canadian Journal of Cardiology. 2016;32(10):382-387. https://dx.doi.org/10.1016/j.cjca.2016.06.001 

  5. Lee JH, Lim NK, Cho MC, Park HY. Epidemiology of heart failure in Korea: Present and future.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16;46(5):658-664. https://dx.doi.org/10.4070/kcj.2016.46.5.658 

  6. Wan TTH, Terry A, Cobb E, McKee B, Tregerman R, Barbaro SDS. Strategies to modify the risk of heart failure readmi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Health Services Research and Managerial Epidemiology. 2017;4:1-16. https://dx.doi.org/10.1177/2333392817701050 

  7. Whitaker-Brown CD, Woods SJ, Cornelius JB, Southard E, Gulati SK.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creasing readmissions in heart failure patients in a multidisciplinary transition to care clinic. Heart and Lung. 2017;46(2):79-84. https://dx.doi.org/10.1016/j.hrtlng.2016.11.003 

  8. Ruppar TM, Delgado JM, Temple J. Medication adherence interventions for heart failure patients: A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5;14(5):395-404. https://dx.doi.org/10.1177/1474515115571213 

  9. Cajita MI, Gleason KT, Han HR. A systematic review of mHealth-based heart failure interventions.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6;31(3):E10-E22. https://dx.doi.org/10.1097/JCN.0000000000000305 

  10. Li CC, Shun SC. Understanding self care coping styles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6;15(1):12-19. https://dx.doi.org/10.1177/1474515115572046 

  11. Falk H, Ekman I, Anderson R, Fu M, Granger B. Older patients' experiences of heart failure-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3;45(3):247-255. https://dx.doi.org/10.1111/jnu.12025 

  12. Ghosh RK, Ball S, Prasad V, Gupta A. Depression in heart failure: Intricate relationship, pathophysiology and most updated evidence of interventions from recent clinic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2016;224:170-177. https://dx.doi.org/10.1016/j.ijcard.2016.09.063 

  13. Joyce E, Chung C, Badloe S, Odutayo K, Desai A, Givertz MM, et al. Variable contribution of heart failure to quality of life in ambulatory heart failure with reduced, better, or preserved ejection fraction.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Heart Failure. 2016;4(3):184-193. https://dx.doi.org/10.1016/j.jchf.2015.12.011 

  14. Jaarsma T, Brons M, Kraai I, Luttik ML, Stromberg A. Components of heart failure management in home care: A literature review.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3;12(3):230-241. https://dx.doi.org/10.1177/ 1474515112449539 

  15. Vreeland DG, Rea RE, Montgomery LL.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heart failure and discharge education.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2011;34(3):235-245. https://dx.doi.org/10.1097/CNQ.0b013e31821ffe5d 

  16. Lee SE, Cho HJ, Lee HY, Yang HM, Choi JO, Jeon ES, et al. A multicentre cohort study of acute heart failure syndromes in Korea: Rationale, design, and interim observations of the Korean Acute Heart Failure (KorAHF) registry.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2014;16(6):700-708. https://dx.doi.org/10.1002/ejhf.91 

  17. Kim CJ, Kim GY, Jang YS. Self-efficacy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The effect of a self-management program using decision tre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4;16(2):316-326. 

  18. Ferrari R. Writing narrative style literature reviews. Medical Writing. 2015; 24(4):230-235. https://dx.doi.org/10.1179/2047480615Z.000000000329 

  19. Lee SY. What should we do with Korea's biomedical model of medicine? -from biomedical to biopsychosocial model-.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12;20(1):3-8. 

  20. Son H, Friedmann E, Thomas SA, Son YJ. Biopsychosocial predictors of coping strategies of patients postmyocardial infar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6;22(5):493-502. https://dx.doi.org/10.1111/ijn.12465 

  21. Kelkar AA, Spertus J, Pang P, Pierson RF, Cody RJ, Pina IL, et al. Utility of patient-reported outcome instruments in heart failure.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Heart Failure. 2016;4(3):165-175. https://dx.doi.org/10.1016/j.jchf.2015.10.015 

  22. Furlan AD, Pennick V, Bombardier C, van Tulder M, Editorial Board, Cochrane Back Review Group. 2009 updated method guidelines for systematic reviews in the Cochrane Back Review Group. Spine. 2009;34(18):1929-1941. https://dx.doi.org/10.1097/BRS.0b013e3181b1c99f 

  23. Lim SM, Shin ES, Lee SH, Seo KH, Jung YM, Jang JE. Tools for assessing quality and risk of bias by levels of evidenc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4):419-429. https://dx.doi.org/10.5124/jkma.2011.54.4.419 

  24. Hunt SA, Abraham WT, Chin MH, Feldman AM, Francis GS, Ganiats TG, et al. 2009 Focused update incorporated into the ACC/AHA 2005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eart failure in adul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09;53(15):e1-e90. https://dx.doi.org/10.1016/j.jacc.2008.11.013 

  25. Chu SH, Lee WH, Yoo JS, Kim SS, Ko IS, Oh EG, et al.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4;11(1):54-64. https://dx.doi.org/10.1111/jjns.12002 

  26. Rumsfeld JS, Alexander KP, Goff DC Jr., Graham MM, Ho PM, Masoudi FA, et al. Cardiovascular health: The importance of measuring patient-reported health statu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3;127(22):2233-2249. https://dx.doi.org/10.1161/CIR.0b013e3182949a2e 

  27. Prado CM, Wells JC, Smith SR, Stephan BC, Siervo M. Sarcopenic obesity: A critical appraisal of the current evidence. Clinical Nutrition. 2012;31(5):583-601. https://dx.doi.org/10.1016/j.clnu.2012.06.010 

  28. Thompson DR, Ski CF, Garside J, Astin F. A review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in cardiovascular nursing.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6;15(2):114-125. https://dx.doi.org/10.1177/1474515116637980 

  29. Richards DA, Hamers JP. RCTs in complex nursing interventions and laboratory experiment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 46(4):588-592. https://dx.doi.org/10.1016/j.ijnurstu.2008.12.002 

  30. Cossette S, Vadeboncoeur A, Frasure-Smith N, McCusker J, Perreault D, Guertin MC.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emergency department revisits. Canadi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Care. 2015;17(1):13-20. https://dx.doi.org/10.2310/8000.2013.1312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