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제품의 핵심 설계요소 도출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ucing process of critical design factors for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원문보기

品質經營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45 no.4, 2017년, pp.717 - 738  

임영재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운영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procedure and methodology for finding the critical design factors in the early stage of product development process. Methods: Firstly, three key criteria, function, affection and usability were defined as the determining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ly, e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능, 감성 및 사용성 측면에 대한 핵심 설계요소를 도출한 다음 제품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에 각각의 평가 측면이 미치는 관계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수의 잠재 혹은 측정 변수들 간의 관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데 활용되는 구조방정식모델을 적용하였다(Nam et al.
  • 도출된 사용성 평가기준 중요도를 활용하여 앞서 설명한 기능 및 감성 측면에서의 설계요소 중요도 산출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성 측면에서의 설계요소 중요도를 구하고자 한다. 이때 relation matrix의 한축은 핵심 설계요소 후보군이 되고 나머지 한축은 최종 선정된 22개 사용성 평가기준으로 구성된다.
  • 이때 VOC가 충분히 수집된 경우에는 효과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신제품인 경우 VOC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 스스로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잠재적인 요구사항의 경우 반영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 매트릭스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순 사용자 요구사항이 아닌 사용자가 제품을 이용하는 행위를 바탕으로 설계 요소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이 행위를 통해 제품 사용 과정을 기술하는 것은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있어 사용자와 제품 사이에 상호작용을 구체화하는데 효과적이다(Lee and Cho 2014).
  •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능, 감성 및 사용성을 제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했지만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이러한 설계관련 요인들 이외에도 제품의 가격, 브랜드 이미지, A/S 만족도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Lee 2014). 본 연구는 개발자의 입장에서 제품 설계 시 고객 요구사항을 보다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반영할 수 있는 요인들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제품 개발의 전체적인 목표 아래에서는 경영전략, 마케팅 측면 등 다른 기타 요인들을 고려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마지막으로 세 가지 측면이 제품의 종합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핵심설계요소 도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래에 사용빈도가 높으며 전 연령층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터치스크린 조작 기반의 휴대 전화기를 사례로 적용하여 핵심 설계요소 도출 프로세스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품 개발 단계에서 다양한 측면의 사용자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고려하여 제품의 핵심 설계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 측면을 정의 하고자 관련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크게 기능, 감성, 사용성 측면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품을 개발 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핵심 설계요소를 도출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기존 문헌연구를 통하여 핵심 설계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평가기준 측면(기능, 감성, 사용성)을 선정하고 각 측면에서의 중요도를 산출하기 위한 relation matrix를 제안하였다.
  • 2015).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기능, 감성 및 사용성의 세 가지 측면을 제안하고 각 측면을 체계적으로 고려하여 제품의 종합적인 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설계요소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제품의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어느 한 측면의 설계요소 개선이 아닌 다양한 고려요소의 총체적인 영향력 수준을 설계요소에 반영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이에 경영학, 산업 및 시스템공학 분야에 걸쳐 제품 개발 시 사용자 요구사항을 고려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써 품질 기능전개(QFD)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접근법이 제시되었다. 품질기능전개 방법은 제품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 설계 단계에서부터 품질의 개념을 적용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제품 생산단계에서 핵심 설계 요소들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품질기능전개 방법이란? 이에 경영학, 산업 및 시스템공학 분야에 걸쳐 제품 개발 시 사용자 요구사항을 고려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써 품질 기능전개(QFD)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접근법이 제시되었다. 품질기능전개 방법은 제품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 설계 단계에서부터 품질의 개념을 적용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제품 생산단계에서 핵심 설계 요소들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Im et al.
기능적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한 제품이 시장에서 실패하는 이유는? 한편 기능적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한 제품이 시장에서 실패하는 이유는 제품의 사용 편의성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기술적으로 우월한 제품에 대해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현재에 이르러서는 제품이 사용 편의성 혹은 감성적인 측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시장에서 성공하기가 어렵다.
제품 개발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향상시키는 노력에 초점을 맞추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과거에는 주로 신기술을 적용하여 제품이 개발되면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는 소위 기술 주도형(Technology-Push) 형태의 환경 영향으로 인해 제품 개발은 주로 기술역량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시장의 공급자가 수요자를 초과하게 되면서 소비자들의 요구사항이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이른바 시장 주도형(Market-Pull) 형태로 개발 환경이 변하게 되었다. 따라서 제품 개발은 새로운 기술의 개발보다는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향상시키는 노력에 더욱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bunan-Fich, R. 2001. "Using protocol analys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commercial web site." Information & Management 39(2):151-163. 

  2. Brown, B., McGregor, M., and Laurier, E. 2013. "iPhone in vivo: video analysis of mobile device use." Proceedings of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031-1040. 

  3. Chin, W. W., Marcolin, B. L., and Newsted, P. R. 2003.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4(2):189-217. 

  4. Choi, J., and Park, E. A. 2012. "Emotional Quality Factors of the Smartphone Interface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12(1):469-478. 

  5. Choi, J. H., and Lee, H. J. 2012. "Facets of simplicity for the smartphone interface: A structural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70(2):129-142. 

  6. Chuang, F. M., Morgan, R. E., and Robson, M. J. 2015. "Customer and Competitor Insights, New Product Development Competence, and New Product Creativity."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32:175-182. 

  7. Im, Y., Kim, T., and Jung, E. S. 2015. "Investigation of Icon Design and Touchable Area for Effective Smart Phone Controls."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uring & Service Industries 25(2):251-267. 

  8. Im, Y., Jung, E. S., and Park, S. 2008. "Development of An Ergonomic Product Development Process Reflecting Quantified Customer Prefere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4(1):66-78. 

  9. Jung, E. S., and Im, Y. 2015. "Touchable area: An empirical study on design approach considering perception size and touch input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49:21-30. 

  10. Jung, K. T, Kim, J. H., Jeon, K. J., Won, B. H., and Hong, J. S. 2007. "Usability Evaluation for Senior Friendly Products." Proceeding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44-50. 

  11. Kim, B., Kim, T., Lim, Y., and Jung, E. S. 2012. "Usability Evaluation of the Size of Small Touch Key for the Smart Phon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8(2):80-88. 

  12. Kim, H. T. 2014. "Impact of the Screen Size and Aspect Ratio of Smartphones on Visual Information Cognition." Journal of Digital Design 14(3):561-572. 

  13. Kim, J., Jin, E., and Choi, S. 2013. "A Study on the Sensitivity Evaluation of Smart Phone Desig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2(4):65-76. 

  14. Kim, S. Y., Ban, K., Choe, J., and Jung, E. S. 2015. "Usability Evaluation of the Touch Keys for the Smart Watch."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1(3):225-232. 

  15. Kwon, J. D. 2009. Regarding a Sensitivity Design Application Method from Product Feature Extraction (Focused on MP3 Play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6):126-133. 

  16. Lee, J. M. 2014. "The Study on Effect of Price Sensitivity for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f SPA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0(3):531-540. 

  17. Lee, J. M., and Lee, J. H. 2013. "Sensitivity on Switching Performance in Touch Interfaces: Focused on Scrolling in Smart Devices." Proceeding of HCI Korea 1045-1048. 

  18. Lee, Y. S., and Cho, S. B. 2014. "Activity recognition with android phone using mixture-of-experts co-trained with labeled and unlabeled data." Neuro computing 126:106-115. 

  19. Lee, Y. Y., Ryoo, H. Y., and Jeong, S. H. 2010. "User's emotion while browsing 3D web interface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4):659-668. 

  20. Lobo, D., Kaskaloglu, K., Kim, C. Y., and Herbert, S. 2011. "Web usability guidelines for smartphones: a synergic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lectronics engineering 1(1):33-37. 

  21. Mokhlis, S., and Yaakop, A. Y. 2012. "Consumer Choice Criteria in Mobile Phone Selection: An Investigation of Malaysian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2(2):203-212. 

  22. Mugge, R., and Schoormans, J. P. L. 2012. "Product design and apparent usability. The influence of novelty in product appearance." Applied Ergonomics 43(6):1081-1088. 

  23. Nam, S. T., Lee, H. C., and Jin, C. Y. 2015. "Influence of The Multimedia Function on Continue Using Intention of Smartphone Based SE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9(6):1347-1352. 

  24. Park, J., Park, S., Lim, Y., and Jung, E. S. 2010. "Development of a Usability Evaluation Structural Model on Car Driver."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6):843-851. 

  25. Park, J. H., and Shin, G. K. 2012. "Effects of Smartphones Usability on User's Satisfaction and Loyal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erms of Us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2):811-831. 

  26. Shin, G. J. 2008. "User emotional word in touch Mobile Phones." Proceedings of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2-233. 

  27. Wang, F., Li, H., Liu, A., and Zhang, X. 2015. "Hybrid customer requirements rating method for customer-oriented product design using QFD." Journal of Systems Engineering and Electronics 26(3):533-543. 

  28. Wei, X. F., and Kim, H. H. 2014. "A Study on Smart phone GUI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Usability - Focus on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0 years old." Journal of Digital Design 14(3):665-675. 

  29. Yoon, S., Yoon, H. Y., and Lee, D. 2015.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Evaluation and Design Factors on Electronic Stroller." Proceedings of Spring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8-47. 

  30. Yun, H. B., Wang, B., and Park, J. 2013.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User in Application Usage and Implications for Applications Business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3):32-4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