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의 잘피
Seagrasses of Dokdo, East Sea,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2 no.4, 2017년, pp.199 - 204  

박정임 (해양생태기술연구소) ,  김종협 (해양생태기술연구소) ,  김영균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도에 자생하는 잘피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6년 9월 독도해역을 탐색하여 잘피가 출현하는 동도와 서도의 각 1개 정점에서 조사하였다. 조사장소에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게바다말이 군락을 이루며 산재하고 있었다. 동도와 서도에 출현하는 게바다말은 각각 평균 잎 수가 4.8개와 4.7개, 잎 폭은 2.0 mm, 개체 길이는 각각 42.5 cm와 41.9 cm로 유사하였다. 동도와 서도의 게바다말 평균 생육밀도는 각각 $3,500{\pm}334.2shoots\;m^{-2}$$2,275{\pm}415.1shoots\;m^{-2}$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독도에 자생하는 게바다말은 주로 소형 군락을 이루고 있었으며 생육밀도는 한반도 동해연안에 출현하는 게바다말과 유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agrasses growing naturally in Dokdo, shoot morphology and density of seagrasses in a study site each from Dongdo and Seodo, where seagrasses occurred, were investigated in September 2016. In the study sites, Phyllospadix japonicus Makino, a protected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해양에는 보호대상해양 생물인 게바다말이 자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독도에 생육하는 게바다말의 출현 양상, 형태 및 생육밀도를 조사하여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잘피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7개의 항목을 측정하였다. 각 항목을 측정한 방식은 어떻게 되는가? 잘피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 장소에서 6개체의 온전한 잘피의 잎 수, 잎 폭, 엽초 길이, 잎 길이, 지하경 마디의 폭과 길이 및 개체 길이를 측정하였다(Park and Lee, 2009). 잎 수는 엽초 위부분에 나타난 잎의 수를 계수하였다. 잎 폭은 3번째 잎의 가장 넓은 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엽초 길이는 생장점으로부터 엽초까지의 길이, 엽초 폭은 엽초의 가장 넓은 부위를 측정하였다. 지하경 마디의 폭과 길이는 3번째 지하경 마디의 길이와 폭을 측정하였으며, 개체 길이는 엽초 길이와 잎 길이를 더한 값으로 구하였다(Park and Lee, 2009). 생육밀도 조사는 10 cm × 10 cm의 방형구 내의 잘피 수를 측정한 후(n = 4), 단위면적 당 개체수로 환산하였다.
잘피란 무엇인가? 잘피는 잎, 줄기 뿌리 조직이 명확히 구분되고 꽃을 피우고 씨를 맺는 종자식물로, 바닷물에 적응하여 살고 있는 유일한 해양성 수생관속식물이다(den Hartog, 1970). 전세계 연안에 약 60 여종의 잘피가 분포하며, 우리나라 연안에는 9종의 잘피가 생육하고 있다(Kim et al.
독도의 해양생태계 연구가 많이 수행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독도는 지리적으로 내륙과 멀리 떨어진 동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생태계의 자연적 특성이 독특할 것으로 예상되나, 변화가 심한 해황으로 접근이 어려워 독도의 해양생태계 연구가 많이 수행되지 못했다. 독도의 해양생태계 연구는 1980년대부터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며, 1997년부터 해양생물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조사가 시작되어 동식물 플랑크톤(K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B.J., D.S. Byun and K.H. Lee, 2012. Satellite-altimeter-derived East Sea surface currents: estimation, description and variability pattern. J. Korean Soc. Oceanogr., 17: 225-242. 

  2. den Hartog, C., 1970. The seagrass of the world.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Netherlands, 275 pp. 

  3. Hovel, K.A., M.S. Fonseca, D.L. Meyer, W.J. Kenworthy and P.G. Whitfield, 2002. Effects of seagrass landscape structure, structural complexity and hydrodynamic regime on macrofaunal densities in North Carolina seagrass beds. Mar. Ecol. Prog. Ser., 243: 11-24. 

  4. Kang, J.H., W.S. Kim and J.H. Shim,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community in spring and autumn around Dokdo. Ocean Ploar Res., 24: 407-417. 

  5. Kim, D., W.G. Min and W.S. Kim, 2002. Marine meiobenthic faunal communities of the sediments near Dokdo in the East Sea, Korea. Ocean Ploar Res., 24: 419-427. 

  6. Kim, J.B., J.I. Park, C.S. Jung, P.Y. Lee and K.S. Lee, 2009. Distributional range extension of the seagrass Halophila nipponica into coastal waters off the Korean peninsula. Aquat. Bot., 90: 267-272. 

  7. Kim, M.K. and J.K. Shin, 2007. Variations of water environments and species compositions of microalgae during summer in the coast of Dokdo, Korea. Algae, 22: 193-199. 

  8. Kim, M.K. and J.K. Shin and J.H. Cha, 2004. Variations of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algae and whitening in the coast of Dokdo Island during summer. Algae, 19: 69-78. 

  9. Kim, M.K. and J.W. Park, 2009. Water environments and species compositions of phytoplankton at the depths during summer in the coast of Dokdo,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7: 48-57. 

  10. Lee, H.W., B.K. Hong, M.H. Shon, Y.Y. Chun, D.W. Lee, Y.M. Choi and K.S. Hwang, 2010.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el net around Dokdo, East Sea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693-704. 

  11. Lee, J.I., S.D. Hur, M.J. Lee, C.M. Yoo, B.K. Park, Y. Kim, M.S. Kwon and K. Nagao, 200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Dokdo volcanic rocks, East Sea. Ocean Ploar Res., 24: 465-482. 

  12. Lee, K.E., 1992, Geological structure of Ulleng Back-arc Basin, East S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1 pp.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7.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Act. Act No. 8045. 

  14. Orth R.J., T.J.B. Carruthers, W.C. Dennison, C.M. Duarte, J.W. Fourqurean, K.L. Heck, A.R. Hughes, G.A. Kendrick, W.J. Kenworthy, S. Olyarnik, F.T. Short, M. Waycott and S.L. Williams, 2006. A Global Crisis for Seagrass Ecosystems. BioScience, 56: 987-996. 

  15. Park, J.I. and K.S. Lee, 2009. Peculiar growth dynamics of the surfgrass Phyllospadix japonicus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Mar. Biol., 156: 2221-2233. 

  16. Park, J.I., J.H. Kim and S.H. Park, 2016. Growth dynamics of the deep-water Asian eelgrass, Zostera asiatica,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Ocean Sci. J., 51: 613-625. 

  17. Park, H.S., R.S. Kang and J.G. Myoung, 2002. Vertical distribution of mega-invertebrate and calculation to the stock assessment of commercial species inhibiting shallow hard-bottom in Dokdo, Korea. Ocean Ploar Res., 24: 457-464. 

  18. Park, S.J., I.G. Song, S.J. Park and D.O. Lim, 2010. The flora and vegetation of Dokdo Island in Ulleung-gun, Gyeongsangbuk-do. Kor. J. Env. Eco., 24: 264-278. 

  19. Schanz, A. and H. Asmus, 2003. Impact of hydrodynamics on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intertidal seagrasses in the Wadden Sea. Mar. Ecol. Prog. Ser., 261: 123-134. 

  20. Thomas, F.I.M. and C.D. Cornelisen, 2003. Ammonium uptake by seagrass communities: effects of oscillatory versus unidirectional flow. Mar. Ecol. Prog. Ser., 247: 5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