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류양식해역인 고성만 주변 표층 퇴적물의 유기물과 중금속 분포 및 오염현황
Distribution and Pollution Status of Organic Matter and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 Around Goseong Bay, a Shellfish Farming Area,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3 no.6, 2017년, pp.699 - 709  

이가람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황동운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황현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박정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권정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남해안의 대표적인 패류양식해역 중에 하나인 고성만 주변 표층 퇴적물 중 유기물과 중금속의 분포 및 오염현황을 이해하기 위해 입도와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중금속 9종(As, Cd, Cr, Cu, Fe, Hg, Mn, Pb, Zn)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성만 주변 퇴적물은 세립질의 점토(clay)와 니(mud)로 이루어져 있었다. 유기물과 중금속은 만의 입구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특히, 퇴적물중 유기물 및 중금속의 분포와 C/N 비(5-10)를 고려하였을 때, 고성만 퇴적물 중 유기물은 해역 자체 내 생물체에 의해 생성된 해양기원성 유기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중금속은 만 주변 혹은 만내 산재해 있는 인위적인 오염원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 가지 퇴적물 오염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고성만의 중금속 오염현황을 살펴본 결과, 고성만 퇴적물은 전 해역에 걸쳐 중금속에 대하여 약간 오염된 상태였으며, 만의 북쪽과 북동쪽의 일부 해역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가 높아 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에 큰 위해를 줄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성만 주변 퇴적환경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계획의 수립과 함께 지속적인 양식활동 및 양식생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오염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easured the grain size,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TN), and heavy metals (As, Cd, Cr, Cu, Fe, Hg, Mn, Pb, and Z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pollution level of organic matter and metals in surface sediment around Goseong Bay, a shellfish farming area,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반폐쇄적인 지형적 특성을 가진 패류 양식장이 밀집해있는 고성만 주변 퇴적물 중 유기물과 중금속의 함량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중금속의 오염 현황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성만 연구해역 주변 표층 퇴적물 중 입도(grain size)와 유기물 함량 특성을 나타내는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TOC), 총질소(total nitrogen, TN), 그리고 중금속 9종(heavymetal; As, Cd, Cr, Cu, Fe, Hg, Mn, Pb, Zn)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폐쇄적인 만의 특징은? , 2013). 이러한 반폐쇄적인 만은 육상으로부터 하천이나 지하수를 통해 영양염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외해에 비해 먹이생물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만의 크기에 비해 입구가 좁아 외해로부터의 파랑, 폭풍, 해일 등과 같은 수리역학적 에너지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양식생물을 키우기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1950년대부터 다양한 어패류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Hwang et al., 2010; Lee et al.
고성만이란? 고성만은 우리나라 남동해안의 고성반도 끝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만의 남서쪽에 위치한 좁은 입구에서부터 안으로 갈수록 삼각형의 형상으로 크게 벌어지는 리아스식 해안으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반폐쇄적인 만이다(Lee et al., 2016a).
고성만 주변 퇴적환경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이유는? 특히, 퇴적물중 유기물 및 중금속의 분포와 C/N 비(5-10)를 고려하였을 때, 고성만 퇴적물 중 유기물은 해역 자체 내 생물체에 의해 생성된 해양기원성 유기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중금속은 만 주변 혹은 만내 산재해 있는 인위적인 오염원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 가지 퇴적물 오염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고성만의 중금속 오염현황을 살펴본 결과, 고성만 퇴적물은 전 해역에 걸쳐 중금속에 대하여 약간 오염된 상태였으며, 만의 북쪽과 북동쪽의 일부 해역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가 높아 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에 큰 위해를 줄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성만 주변 퇴적환경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계획의 수립과 함께 지속적인 양식활동 및 양식생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오염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ba, M. D., M. D. Gilindo-Riano, M. J. Casanueva- Marenco, M. Garcia-Vargas and C. M. Kosore(2011), Assessment of the metal pollution, potential toxicity and speciation of sediment from Algeciras Bau (South of Spain) using chemometric tool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90, pp. 177-187. 

  2. Buchman, M. F.(2008), NOAA screening quick reference tables. NOAA OR&R Report 08-1, Seattle WA, Office of response and restoration division,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pp. 34. 

  3. Choi, J. M., Y. G. Lee and H. J. Woo(2005),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idal flat sediments in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6, pp. 253-267. 

  4. Choi, M., I. S. Lee, H. C. Kim and D. W. Hwang(2015b), Distribution and contamination status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shellfish farming areas in Yeoja and Gangjin Bays,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8, pp. 789-797. 

  5. Choi, T. J., J. N. Kwon, G. Lee, H. Hwang, Y. Kim and J. H. Lim(2015a), Distribution and pollution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around farming area of Jinhae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1, pp. 347-360. 

  6. Feng, H., H. Jiang, W. Gao, M. P. Weinstein, Q. Zhang, W. Zhang, L. Yu, D. Yuan and J. Tao(2011), Metal contamination in sediments of the western Bohai Bay and adjacent estuaries, Chin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92, pp. 1185-1197. 

  7. Folk, R. L. and W. C. Ward(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ol. 27, pp. 3-26. 

  8. Folk, R. L.(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 publishing Co., U.S.A., p. 170. 

  9. Hakanson, L.(1980), An ecological risk index for aquatic pollution control: A sedimentological approach. Water Research, Vol. 14, pp. 975-1001. 

  10. Hwang, D. W., G. Kim, W. C. Lee and H. T. Oh(2010), The role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 nutrient budgets of Gamak Bay, a shellfish farming bay, Korea. Journal of Sea Research, Vol. 64, pp. 224-230. 

  11. Hwang, D. W., H. G. Jin, S. S. Kim, J. D. Kim, J. S. Park and S. G. Kim(2006),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s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san Harbo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9, pp. 106-117. 

  12. Hwang, D. W., I. S. Lee, M. Choi and H. G. Choi(2014), Distribution and pollution assessment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 around Ulsan Harbo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Vol. 17, pp. 146-160. 

  13. Hwang, D. W., I. S. Lee, M. Choi and J. H. Shim(2015),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Hansan-Geoje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Vol. 18, pp. 131-143. 

  14. Hwang, D. W., P. J. Kim, S. B. Jeon and B. S. Koh(201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ediment in the semi-enclosed bays of the southern region of Jeollanam Province.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Vol. 46, pp. 638-648. 

  15. Hyun, S., T. Lee, J. S. Choi, D. L. Choi and H. J. Woo(200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the surface sediments of Gwangyang and Yeosu Bay, south coast of Korea.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8, pp. 380-391. 

  16. Jeon, S. B., P. J. Kim, S. S. Kim, J. S. Ju, Y. H. Lee, D. S. Jang, J. U. Lee and S. Y. Park(2012),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geochemical component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Deukryang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Vol. 15, pp. 203-214. 

  17. Kang, C. K., P. Y. Lee, J. S. Park and P. J. Kim(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6, pp. 557-566. 

  18. Kim, P. J., S. G. Shon, S. Y. Park, S. S. Kim, S. J. Jang, S. B. Jeon and J. S. Ju(2012), Biogeochemistry of metal and nonmetal elements in the surface sediment of the Gamak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pp. 67-83. 

  19. Kwon, J. N.(2010), Characteristic of long term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at the waters of Goseong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 pp. 279-287. 

  20. Lee, M. K., W. Bae, I. K. Um and H. S. Jung(2004),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distribution in sediments of Youngil Bay,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6, pp. 543-551. 

  21. Lee, M. K., W. Bae, I. K. Um and H. S. Jung(2008), Seas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nd sediment at Youngil Bay, southeast coast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7, pp. 325-334. 

  22. Lee, P. Y., C. K. Kang, W. J. Choi and H. S. Yang(2001), Seasonal variations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eston as diet available to suspension-feeders in Gosung and Kangjin Bay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4, pp. 340-347. 

  23. Lee, S. J., W. G. Jeong, J. H. Koo and J. N. kwon(2016a), Sanitary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nd oyster (Crassostrea gigas) in Goseong Bay,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 32, pp. 157-164. 

  24. Lee, S. J., W. G. Jeong, S. M. Cho and J. N. Kwon(2016b),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by food availability for farming oysters in Goseong Bay,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 32, pp. 83-93. 

  25. Lee, W. C., Y. S. Cho, S. J. Hong, H. C. Kim, J. B. Kim and S. M. Lee(2011), Estimation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for oyster culture by ecological indicator in Geoje-Hansan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7, pp. 315-322. 

  26. Lim, D. I., J. W. Choi, H. H. Shin, D. H. Jeong and H. S. Jung(2013), Toxicological impact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n macrobenthic communities in southern coastal sediment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73, pp. 362-368. 

  27. MLTM(20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 Guidebook for the seawater, sediment and marine biota analyses in ocean environment. MLTM Directive, No. 2010-491, p. 495. 

  28. Muller, G.(1979), Schwernetalle in den sedimenten des Rheins vergeryngen Seit. Umschau, Vol. 24, pp. 778-783. 

  29. Muller, G.(1981). Die schwermetallbelastung der sedimente des Neckars und seiner Nebenflusse Eine Bestandasufnahme. Chemiker Zeitung, Vol. 105, pp. 157-164. 

  30. NFRDI(2004),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Harmful algae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from 2002 to 2003. p. 274. 

  31. Noh, I. H., Y. H. Yoon, D. I. Kim and J. S. Park(2006),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on the surface sediment and its origin in Gamak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9, pp. 1-13. 

  32. Park, Y. C., H. S. Yang, P. Y. Lee and P. J. Kim(1995),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 in the vicinity of Pusan Harbor area in winter.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8, pp. 577-588. 

  33. Ra, K., E. S. Kim, J. K. Kim, J. M. Lee and J. Y. Choi(2013),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its ecological risk in the surface sediments along the coast of Kor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ol. 65, pp. 105-110. 

  34. Sheykhi, V. and F. Moore(2013), Evaluation of potentially toxic metals pollution in the sediments of the Kor river southwest Ira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Vol. 185, pp. 3219-3232. 

  35. Shim, J. H., M. Ye, J. H. Lim and J. N. Kwon(2014), Evaluation of simple CO2 budget with environmental monitoring at an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 in Goseong Bay, south coast of Korea in November 2011.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7, pp. 1026-1036. 

  36. Stein, R.(1991), Accumulation of organic carbon in marine sediments. Springer Verlag, Berlin, pp. 1-217. 

  37. Sun, C. I., Y. J. Lee, J. H. An and Y. W. Lee(2014), Specia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Masan Bay.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9, pp. 155-163. 

  38. Taylor, S. R.(1964), Abundance of chemical elements in the continental crust: A new tabl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Vol. 28, pp. 1273-1285. 

  39. Taylor, S. R. and S. M. McLennan(1995),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Reviews of Geophysics, Vol. 33, pp. 241-265. 

  40. Tomlinson, D. L., J. G. Wilson, C. R. Harris and D. W. Jeffrey(1980), Problems in the assessment of heavy-metal levels in estuaries and the formation of a pollution index. Helgolander Meeresunters, Vol. 33, pp. 566-575. 

  41. Zhang, W., H. Feng, J. Chang, J. Qu, H. Xie and L, Yu(2009),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 of Yangtze river intertidal zone: An assessment from different indexes. Environmental Pollution, Vol. 157, pp. 1533-15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