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안(여수, 남해, 통영) 연안해역 춘·하계 어류 자치어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Fish Larvae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Yeosu, Namhae and Tongyoung) of Korea in Spring and Summer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3 no.6, 2017년, pp.759 - 766  

최희찬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유만호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오현주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춘 하계 어류 자치어 군집의 조성과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남해의 세 해역(여수, 남해, 통영)에서 RN80 네트를 이용해 매월 1회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0개 분류군의 자치어가 채집되었고, 이 중 멸치가 전체 출현 개체수의 56.8 %로 가장 우점하였으며, 청보리멸, 청베도라치, 망둑어과 타입A, 청베도라치과, 앞동갈베도라치 등이 각각 2 % 이상의 개체수비를 보여 우점하였으며, 이상 6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 자치어의 87.5 %를 차지하였다. ANOSIM 결과 해역 간에 자치어 조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이러한 자치어 군집의 시기적 변동은 주로 수온 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onthly samples were taken using an RN80 net which was towed horizontally in three different regions (Yeosu, Namhae and Tongyoung) between May to September 2016.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수, 남해 및 통영 연안 해역에 출현하는 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봄과 여름철의 어류 자치어 종조성을 밝히고 해양환경에 따른 자치어의 분포 특징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기별 자치어 조성에 차이가 난 이유는? 이는 세 해역 모두에서 멸치를 비롯한 우점종들이 공통적으로 출 현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시기별로는 자치어 조성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시기에 멸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지만 청베도라치나 청보리멸 등의 주요종들의 출현량이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여 군집구조의 시기 별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이는 CCA분석결과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수, 남해 및 통영 연안역의 특징은? , 2015). 한국 남해안에 위치한 여수, 남해 및 통영 연안역은 수심이 50 m 미만으로 비교적 얕고 주변에 여러개의 섬 들과 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육지의 강우 및 하천수 유입에 의해 시기에 따른 해황 변동이 큰 해역이다. 또한 쿠로시오 해류로부터 분지된 고온 고염의 대마난류와 저염의 동중 국해 및 황해, 남해연안수 등의 다양한 수괴의 영향을 받으며, 이들 간에 형성되는 전선역의 영향으로 먹이생물과 영양염이 풍부하여 연안 정착성 및 회유성 어종들의 산란장과 성육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주요 어종의 어획 생산력이 매우 높은 연안 어장으로 알려져 있다(Kim and Choi, 2001).
자치어의 성어 가입 이전 초기생활사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어류의 자치어는 다양한 해양 환경 요인의 변동으로 인한 사망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성어로 가입되는 양은 해황에 따라 매년 변한다(Hjort, 1926; Saville and Schnack, 1981). 따라서 가입 이전의 초기생활사 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어 다양한 해역에서 난자치어의 분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Yoo and Cha, 1988; Cha and Park, 1994; Kim and Yoo, 1999; H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a, S. S. and K. J. Park(1994), Distribution of the ichthyoplankton in Kwangyang Bay,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6, pp. 60-70. 

  2. Choi, H. C., J. M. Park and S. H. Huh(2015),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27, pp. 104-115. 

  3. Chun, Y. Y., S. J. Hwang, Y. H. Hur and K. H. Han(2004),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isheries Research, Vol. 7, pp. 33-45. 

  4. Clarke, K. R.(1993), Non 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ralian Journal of Ecology, Vol. 18, pp. 117-143. 

  5. Clarke, K. R. and R. N. Gorley(2001), Getting started with PRIMER v5: User Manual/Tutorial. Primer-E, Plymouth. p. 91. 

  6. Han, K. H., D. Y. Kim, D. S. Jin, S. S. Shin, S. R. Baik and S. H. Oh(2001), Seasonal vari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Sunchon Bay,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13, pp. 136-142. 

  7. Han, K. H., J. S. Hong, Y. S. Kim, K. A. Jeon, Y. S. Kim, B. K. Hong and D. S. Hwang(2003),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Ichthyoplankton in coastal waters of Yeongil Bay,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15, pp. 87-94. 

  8. Han, K. H., Y. H. Shin and D. S. Hwang(2002),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ton off Kohung peninsula,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14, pp. 45-52. 

  9. Hjort, J.(1926), Fluctuations in the year classes of important food fishes, Journal du Conseil / Conseil Permanent International pour I'Exploration de la Mer, Vol. 1, pp. 5-38. 

  10. Huh, S. H., M. I. Han, S. J. Hwang, J. M. Park and K. W. Baeck(2011),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southwestern Jinhae Bay,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23, pp. 37-45. 

  11. Kim, G. S.(2005),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Kamak Bay of Yeosu, Korea,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 46. 

  12. Kim, J. Y.(1992), Relationship between anchovy, Engraulis japonica, egg and larval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waters of Korea, Bulletin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5, pp. 495-500. 

  13. Kim, J. Y. and N. Lo(2001), Temporal variation of seasonality of egg production and the spawning biomas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n 1983 - 1994, Fisheries Oceanography, Vol. 10, pp. 297-310. 

  14. Kim, J. Y. and Y. J. Kang(1992), Spawning ecology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5, pp. 331-340. 

  15. Kim, J. Y. and Y. M. Choi(2001), Spawning characteristic of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u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isheries Research, Vol. 3, pp. 68-76. 

  16. Kim, S. and J. M. Yoo(1999), Distribution of fish larvae and the front structure of the Korea Strait in summer,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11, pp. 72-85. 

  17. Kim, Y. U.(1984), The distribution of fish larvae in the Korea Strait, Bulletin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17, pp. 230-243. 

  18. Kim, Y. U., K. H. Han, C. B. Kang and J. R. Koh(1994),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Kori,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7, pp. 633-642. 

  19. Kim, Y. U.(1983), Fish larvae of Changson Channel in Namhae,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16, pp. 163-180. 

  20. Ko, J. C., Y. I. Seo, H. Y. Kim, S. K. Lee, H. K. Cha and J. I. Kim(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Yeosu and Tongyoung coastal waters of Korea, Korean Journal of the Ichthyology, Vol. 22, pp. 256-266. 

  21. KOSIS(2000-20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 ZTITLE&parentIdF#SubCont 

  22. Kwak, S. N., S. H. Huh and H. W. Kim(2013),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a sea area, wit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pp. 309-314. 

  23. Lee, S. J., Y. B. Go and B. J. Kim(2006),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18, pp. 129-140. 

  24. Matarese, A. C., A. W. Kendall, D. M. Blood and B. M. Vinter(1989), Laboratory guide to early life history stages of northeast Pacific fishes. NOAA Technical Report NMFS. 80., p. 625. 

  25. MOF(20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Guideline to standard methods for the marine environmen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 516. 

  26. NFRDI(2004),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 Offshore Waters in Kor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Busan, p. 333. 

  27. NIBR(201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_Vertebrate, National Institute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 462. 

  28. Okiyama, M.(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p. 1154. 

  29. Park, K. D., J. G. Myoung, Y. J. Kang and Y. U. Kim(2005),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 off Tongyoung,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8, pp. 385-392. 

  30. Saville, A. and D. Schnack(1981), Some thoughts on the current status of fish egg and larval distribution and abundance, Rapports et Proces-verbaux des Reunions, Vol., 178, pp. 153-157. 

  31. Shannon, C. 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Illinois Press, Urbana, p. 177. 

  32. Yoo, J. M. and S. S. Cha(1988), Variation of abundance of ichthyoplankton in Kwangyang Bay, Ocean Research, Vol. 10, pp. 79-84. 

  33. Yoo, J. M., S. Kim, E. K. Lee and J. S. Lee(1992), The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Jinhae Bay, Korea, Ocean Research, Vol. 14, pp. 77-82. 

  34. Yoo, M. H., S. H. Youn, K. W. Park, A. R. Kim, S. C. Yoon and Y. S. Suh(2016),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n phytoplankt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during 2013-201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2, pp. 738-749. 

  35. Youn, S. H., M. J. Kim, Y. S. Suh(2012), Distribution pattern of zooplankton and growth rate of Paracalanus parvus s.l. in the Yongsan River estuary,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Vol. 6, pp. 33-4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