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7·2009 개정 초등 과학 교과서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편집디자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ual Attention on the Editorial Desig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in the 2007·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7년, pp.428 - 438  

신원섭 (서울송천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atten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editorial design of the 2007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For this purpose, eye movements were collected whi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2007․2009개정 초등 과학 교과서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편집디자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를 분석하는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이동형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2007개정 및 2009개정 초등 과학 교과서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편집디자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과학 교과서의 효과적인 편집디자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선추적기법의 장점은? 이로 인해 최근에는 다른 신경과학적 연구방법에 비해 접근성이 높은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한 초등 과학 교육연구가 증가하고 있다(Shin, 2016). 시선추적기법은 높은 시간적 해상도, 유아에서 성인까지의 높은 접근성, 연구 참여자에 대한 안전성, 자료수집의 안정성과 객관성, 연구 장비 착용의 편의성 등의 장점이 있다(Shin, 2016). 앞으로 초등 과학 교육연구에서 기존의 자기보고식 연구방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시선추적기법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교육 연구에서 학습과 관련된 뇌 영역과 뇌 연결 지도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은? 교육 연구에서 학습과 관련된 뇌 영역과 뇌 연결 지도를 연구하기 위해서 EEG, MEG, fMRI 등의 신경과학적 연구방법들을 적용되고 있다(Shin, 2016). 하지만 국내에서는 고가의 장비, 전문연구 인력의 부족, 실험실에 국한된 연구, 장비 대여의 어려움 등의 문제로 실제 교육 분야에 신경과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초등 과학 교과서에서 시각적 자료의 비중이 높음이 의미하는 것은? , 2007). 따라서 새로운 교과서 개발에 앞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자료, 편집디자인, 텍스트의 수준과 양, 교육적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ck, N. (2012). The comparison study on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Korean Journal of the Japan Education, 16(2), 43-60. 

  2. Choi, B. (2016).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 of editorial design for science textbook of primary schoo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ulture Product Art & Design, 44, 93-104. 

  3. Herrlinger, S., Hoffler, T. N., Opfermann, M. & Leutner, D. (2016). When do pictures help learning from expository text? Multimedia and modality effects in primary schoo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 1-20. 

  4. Jang, K. & Shin, D. (2013).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nd eye m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science textbook illustr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4(4), 127-146. 

  5. Jian, Y. C. (2016). Fourth graders' cognitive processes and learning strategies for reading illustrated biology texts: Eye movement measurements. Reading Research Quarterly, 51(1), 93-109. 

  6. Keum, C., Boo, G., Lee, M., Moon, S. & Park, J. (2009). The study on the evaluation of textbook editing design. Korean Journal of Publishing and Periodical Studies, 17(1), 7-61. 

  7. Kim, D. (2016). An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alytic perspectives on illustrations in the science textbook. Biology Education, 44(1), 1-12. 

  8. Kim, J. & Park, I. (2016).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ront cov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them. School Science Journal, 10(3), 294-318. 

  9. Kim, J., Ha, J. & Lim, H. (2016a).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 on functions of illustrations and roles on 5E inquiry learning proce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3), 305-315. 

  10. Kim, S. U., Lim, S. M., Kim, E. A. & Yang, I. H. (2016b). An analysis of eye movement and cognitive load about the editorial design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Univers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 570-575. 

  11. Kim, Y. & Kwon, H. (2017). An comparative study of articulation on science textbook concepts and extracted concepts in learning objectiv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 on life science domai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3), 377-387. 

  12. KOFSES. (2016). 2016 Science conference.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Education Societies, 1, 176. 

  13. Koh, H., Seok, J. & Kang, S. (2017).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2), 129-142. 

  14. Kwon, C., Kim, J., Jang, S. & Jhun, Y. (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organization of the visual material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for enhancing learning effects. Kumsung Publishing Image & Vision laboratory. 

  15. Lee, K. (2015). A study on proposing development direction of textbook visual system by international comparing analysis - Focusing on science textbook for 5th grade elementary student -. Communication Design Association of Korea, 53, 491-505. 

  16. Lim, Y., Cho, E. & Hong, H. (2015). Analysis of the demonstration unit of science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core achievement standard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6), 389-412. 

  17. Priya, M. R. & Yadava, S. (2017).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 framework for analysis. 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Journal, 3(7), 30-31. 

  18. Rea, L. M. & Parker, R. A. (2005). Designing &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3rd edi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 Ryu, J. H. (2013). Eye-tracking study of types of tasks, line length, and contiguity in comprehension of text and illustration.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29(3), 573-597. 

  20. Shin, W. & Shin, D. (2014). Analysis of eye move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bout "life cycle of plant" external representation in 2007, 2009 reform science textbook. Biology Education, 42(2), 115-131. 

  21. Shin, W. (2016). A review of eye tracking metho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3), 288-304. 

  22. Shin, W. & Shin, D. (2016). An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attention characteristics through attention test and the eye tracking on real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4), 705-715. 

  23. Sung, S., Chae, H. & Lim, H. (2016). Analysis of the characters' role presenting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Targeting the 2009 revised science 4th-grade textboo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167-175. 

  24. van Merrienboer, J. J. G. & Sweller, J. (2005). Cognitive load theory and complex learning: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2), 147-177. 

  25. Yang, I., Kim, J. & Lim, S. (2015). Elementary school 5th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s on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n science textbook of 2007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8(1), 56-65. 

  26. Yang, I., Lee, J. & Lim, S. (2007). How does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5), 475-48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