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음주 여성의 임신초기 경험
Experience of Pregnant Women with Problem Drinking during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4, 2017년, pp.276 - 286  

김일옥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염계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한정열 (한국마더세이프 전문상담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egnant women's experiences with drinking alcohol during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7 pregnant women who drank alcohol in the first trimester. Giorgi's phenomenologica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여성의 월 음주율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4%로 절반 수준에 그치다 보니 평소에 음주를 즐기던 가임기 여성이 임신 사실을 모르고 임신 초기에 음주에 노출될 수가 있다[1]. 실제 우리나라 여성의 월 음주율은 2005년 36.9%에서 2010년 43.3%, 2015년46.5%로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고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5잔 이상 음주하는 여성의 폭음율도 2015년에 23.2%로 나타났다[2]. 임신 중 음주 경험을 보고한 국내 연구[3]에 의하면 임신부의 50.
평소 음주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로 인해 언제부터 습관적인 음주가 시작된다고 보이는가? 문제 음주 여성의 임신 초기 경험의 첫 번째 중심의미는 ‘평소 음주에 대한 허용적인 태도’이었다. 참여자 대부분이 처음 음주를 시작한 때로는 중고등학교 시절이었으나 본격적인 문제음주 행동은 고등학교 졸업 또는 대학교 입학 이후부터 이루어졌다. 젊고 비교적 신체가 건강한데다 강압적인 입시교육에서 벗어나 성년의 자유를 만끽하는 시기에 친구들과 폭음을 즐기다보니 이때부터 습관적인 음주행동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직장을 다니게 되면서 잦은 야근, 강도 높은 노동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수단으로 술을 마시고 상사의 권유로 회식에서도 음주를 하게 되었다.
임신 중 음주는 어떤 악영향을 초래하는가? 6%를 차지하였다. 임신 중 음주는 태아의 중추신경 발달에 영향을 주어 태아알코올 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 FAS) 또는 태아알코올 스펙트럼장애(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FASD)가 나타날 수 있고[4,5], 일부 임신부들은 기형에 대한 불안감으로 임신 중절을 선택하여 이로 인한 심리적 고통과 수술에 따른 모성손실이 불가피해진다[6]. 최근에는 임신 전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7], 미리 계획임신을 실천함으로써 평소 음주행동을 줄이고 임신 중 음주를 예방하는 방법이 최선임을 누구나 알 수 있으나 실제로 그러지 못한 경우가 빈번하므로 이들을 상담하고 간호중재하기 위해서는 우선 임신초기 음주에 노출된 임부의 생생한 경험과 생각을 이해할 필요가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n JY, Choi JS, Ahn HK, Kim MH, Chung JH, Ryu HM, et al. Foetal and neonatal outcomes in women reporting ingestion of low or very low alcohol intake during pregnancy. Journal of Maternal Fetal Neonatal Medicine. 2012;25(11):2186-2189. 

  2. Statistics Korea.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report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6 December 27]. Available from: http://kosis.kr/index/index.jsp 

  3. Yeom GJ, Choi SY, Kim IO. The influencing factors on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1;15(1):71-81. 

  4. Abel EL, Sokol RJ. Incidence of fetal alcohol syndrome and economic impact of FAS-related anomalie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987;19(1):51-70. 

  5. Riley EP, McGee CL.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s: An overview with emphasis on changes in brain and behavior.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2005;230(6):357-365. 

  6. Walfisch A, Sermer C, Matok I, Einarson A, Koren G. Perception of teratogenic risk and the rated likelihood of pregnancy termination: Association with maternal depression.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2011;56(12):761-767. 

  7. Jack BW, Atrash H, Coonrod DV, Moos MK, O'Donnell J, Johnson K. The clinical content of preconception care: An overview and preparation of this supplement.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8;199(6 Suppl 2):S266-279. 

  8. Giorgi A.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1997;28(2):235-260. 

  9. Morse JM, Field PA. Nursing research: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approaches. Shin KR, translator. London: Chapman & Hall; 2004. p. 31-33. 

  10. Kim SJ. Drinking experiences of women alcoholics: A feminist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6;15(4):362-374. 

  11. Song JA, Kang KH. Phenomenological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becoming alcohol dependence among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3;44(3):113-145. 

  12. Park SW. The maternal experience of mothers under alcohol rehabilit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0. 73 p. 

  13. Kim HJ, Chong HS. Wholistic ideation of the experience of women alcoholics’ drinking and recovery.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16;32(1):191-234. 

  14. Park KI, Lee KJ. The lived experience of the person with fetal alcohol syndrome (FAS). Health & Nursing. 2008;20(1):46-56. 

  15. Anderson DRM. Diagnosing the child, diagnosing the mother: The experience of birth mothers of children diagnosed with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dissertation]. Twin Cities, United States: University of Minnesota; 2010. 144 p. 

  16. Zabotka JM. "How could I have done this?": A qualitative study of birth mothers who have children diagnosed with fetal alcohol syndrome [dissertation] New Jersey, United States: Rutgers University; 2012. 123 p. 

  17. Heo SH. Motherhood experience of women with problem drinking: Based on drinking women during pregnancy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7. 150 p. 

  18. Russell M, Martier SS, Sokol RJ, Mudar P, Bottoms S, Jacobson S, et al. Screening for pregnancy risk-drinking.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994;18(5):1156-1161. 

  19. Parse RR, Coyne AB, Smith MJ. Nursing research: Qualitative methods. Bowie, Md: Brady Communications; 1985. p. 27-31. 

  20.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1992. p. 27-33. 

  21. Henderson J, Gray R, Brocklehurst P.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f low-moderate prenatal alcohol exposure on pregnancy outcome.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114(3):243-252. 

  22. National Center on Birth Defect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etal alcohol syndrome: Guidelines for referral and diagnosis [Internet]. Atlanta: Author; 2004 [cited 2017 January 22].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cbddd/fasd/documents/fas_guidelines_accessible.pdf 

  23. Yoo CY. A comparative study of familial and non familial problem drinking.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00;5: 223-254. 

  24. Raymond N, Beer C, Glazebrook C, Sayal K. Pregnant women's attitudes towards alcohol consumption. BMC Public Health. 2009;5(9):175. 

  25. Yoon SJ, Kim HK, Han JY. Influencing factors of depression in drugs exposure pregn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2):273-285. 

  26. Kim KW, Lee GH. Women's experience of risk situation on the high risk pregnanc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8;4(1):121-133. 

  27. Bailey JA, Hill KG, Hawkins JD, Catalano RF, Abbott RD. Men's and women's patterns of substance use around pregnancy. Birth. 2008;35(1):50-59. 

  28. Min EJ, Kim SG, Lee JS, Jung WY, Lee DH, Kim HJ, et al. Changes in the drinking behavior of Korean women during pregnancy between 1997 and 200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012;16(2):91-94. 

  29. Oh DY, Lee SH, Kim EJ. Alcohol using pregnancy and fetal alcohol effect.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Research Center Report. 2009:1-65. 

  30. Chung SK. Examining women’s drinking behavior from a gender perspective: Influence of marital status, childcare, employment and sex role attitude.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2015;47:158-1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