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적 이용률을 고려한 수소충전소 사업의 경제성 분석
An Economic Analysis of the Hydrogen Station Enterprise Considering Dynamic Utilization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8 no.1, 2017년, pp.47 - 55  

김봉진 (단국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als with the after-tax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the hydrogen fueling station considering dynamic utilization. We selected an off-site hydrogen station in which the hydrogen is supplied by a central by-product hydrogen plant as a case study. Also, we made some sensitivity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HS의 보급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민간 사업자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본 논문에서는 민간 사업자의 입장에서 수소경제 초기의 HS 사업의 경제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소경제 초기에는 보급된 FCV 수가 적기 때문에 HS의 이용률이 낮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FCV 수가 증가하여 HS의 이용률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동적인(dynamic) 특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 본 논문에서는 HS 사업자의 입장에서 수명 주기에 기초한 HS의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HS의 경제성은 초기투자비, 연간 수입, 연간 운영비, 잔존 가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
  • 본 논문에서는 수명주기에 기초한 NPV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민간 사업자의 입장에서 HS 사업의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소경제 초기에는 HS의 이용률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동적인 이용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므로, 동적 이용률을 고려한 HS 사업의 경제성을 세후 경제성 평가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HS 사업의 주요 수입은 수소에너지를 판매하여 얻는 수입이며, 본 논문에서는 기타 수입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HS의 연간 수소생산능력을 HSPC (hydrogen station production capacity), t년도의 이용률을 Ut로 표기할 때 t년도의 수소생산량 Qt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갖는다.
  • . 또한 2020년에는 투산 FCV의 연비가 85 km/kg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투산 FCV의 1 대당 연간 수소 사용량을 194kg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2017년 1월 6일의 전국 주유소 평균 경유 판매가격인 1,292원/liter를 기준하면, 두 차량의 연간 연료비가 동일하게 되는 HS의 수소판매가격은 10,004원/kg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소충전소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수소충전소(hydrogen station: HS)는 수소를 자체 생산하여 판매하는 분산형(on-site)과 외부에서 생산된 수소를 공급 받아 단순히 저장한 후 판매하는 중앙집중형(off-sit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과 캐나다 등과 같이 국토가 넓은 국가들의 수소경제 초기에는 분산형 HS가 중앙집중형 HS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하나,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고 부생 수소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받을 수 있어서 수소 수요가 적은 수소경제 초기에는 부생수소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HS가 경제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친환경차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에는 배기가스 규제 및 환경협약 등에 대응이 가능한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연료전지차(fuel cell vehicle: FCV)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FCV는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에너지원인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차이며, FCV와 EV는 에너지원이 각기 수소와 전기인 점을 제외하면 특성이 비슷하여 구동방법 상의 차이가 거의 없는 편이다.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적합한 수소충전소는 어떤 것인가? 수소충전소(hydrogen station: HS)는 수소를 자체 생산하여 판매하는 분산형(on-site)과 외부에서 생산된 수소를 공급 받아 단순히 저장한 후 판매하는 중앙집중형(off-sit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과 캐나다 등과 같이 국토가 넓은 국가들의 수소경제 초기에는 분산형 HS가 중앙집중형 HS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하나,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고 부생 수소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받을 수 있어서 수소 수요가 적은 수소경제 초기에는 부생수소를 이용한 중앙집중형 HS가 경제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G.J. Offer, M. Contestabile, D.A. Howey, R. Clague and N.P. Brandon, "Techno-economic and Behavioral Analysis of Battery Electric, Hydrogen Fuel Cell and Hybrid Vehicles in a Future Sustainable Road Transport System in the UK", Energy Policy, Vol. 39, 2011, pp. 1939-1950. 

  2. M.H. Yang, B. Gim and J.W. Kim, "An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a Hydrogen Fuel-cell Vehicle Considering GH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Vol. 1, 2005, pp. 42-50. 

  3. J.X. Weinert, L. Shaojun, J.M. Ogden and M. Jianxin, "Hydrogen Refueling Station Costs in Shanghai",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2, 2007, pp. 4089-4100. 

  4. B. Gim and W.L. Yoon, "Analysis of the Economy of Scale and Estimation of the Future Hydrogen Production Costs at On-site Hydrogen Refueling Station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7, 2012, pp. 19138-19145. 

  5. B. Kang, T. Kim and T. Lee, "Analysis of Costs for a Hydrogen Refueling Station in Korea",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7, No. 3, 2016, pp. 256-263. 

  6. B. Gim, "An Economic Analysis of Domestic Fuel Cell Vehicles Considering Subsidy and Hydrogen Price",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6, No. 1, 2015, pp. 35-44. 

  7. Ministry of Environment and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Plan of Dissemination and Market Activation of Hydrogen Fuel Cell Vehicles, Korea,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