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여중생의 수면과 정신건강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질병관리본부가 수행하고 온라인을 통해 공개하고 있는 2016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자료 중 중학교 여학생의 조사결과인 15,47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변수들과 흡연, 음주, 수면의 질, 수면시간을 모두 통제하여도 수면시간이 길수록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자살 생각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또 충분한 수면여부에서 '그렇다'라고 답한 경우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 같은 연구결과 여중생의 수면시간과 질은 정신건강의 관련성이 있었기 때문에 향후 여중생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면시간과 질에 대한 추적연구를 포함하여 수면과 정신건강에 대한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매개효과 분석과 같은 심층적인 연구와, 청소년의 수면 제한 요소를 줄일 수 있는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mental health i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of 15,477 for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among the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by multiple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의 영향을 동시에 살펴보는 연구도 활발하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여중생들의 수면시간 및 수면의 질과 스트레스, 우울감 및 자살생각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여중생들의 수면의 중요성과 수면을 통한 정신건강증진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여중생들에 있어 수면과 정신건강의 상호관련성이 다른 집단에 비해 더 유의하게 분석되었을 수 있다. 여중생들의 수면과 스트레스 인지율의 상호관련성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르티솔(cortisol)은 콩팥의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인데, 코르티솔은 외부의 스트레스와 같은 자극에 맞서 몸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학생 시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아동기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중학생 시기에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급격히 성장하면서 독특한 문제와 특성이 나타나게 되는 자아 정체성 발달의 핵심적인 시기로. 이 시기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은 성인기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1, 2].
청소년의 정신건강은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은 수면의 질, 수면 시간 그리고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과도하게 짧거나 긴 수면시간과 같은 수면문제는 자살적 사고 등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또한 고등학생의 주관적인 수면의 질과 스트레스 및 자살의도는 유의한 상호관련성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9].
여중생들에 있어 수면과 정신건강의 상호관련성이 다른 집단에 비해 더 유의하게 분석되었을 것이라는 이유는? 여중생 시기는 정서적, 신체적으로 불안정하여 스트레스나 자살 등 정신건강에 취약한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청소년기에 취약한 환경은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여자 청소년인 경우에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14]. 따라서 여중생들에 있어 수면과 정신건강의 상호관련성이 다른 집단에 비해 더 유의하게 분석되었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iley RE, Berman SL. Adolescent identity development and distress in a clinical sample. J Clin Psychol 2013;69(12):1299-1304 

  2. Park JH, Kim KS, Kim KH, Nam GW, Min KW, Lee SS, Jeong CH, Lee HS, Lee HJ. Associa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linquent behaviors and level of stress among Korea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3;8(6):971-977 (Korean) 

  3. Ahn KM, Hong KH. The association between menarch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in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11):5737-5744 (Korean) 

  4. Rigby K. Effects of peer victimization in school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 well-being. J Adolesc 2000;23(1):57-68 

  5. Kim HS.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self efficac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tudies on Korean Youth 2009;20(1):203-225 (Korean) 

  6. Cho SJ, Jeon HJ, Kim JK, Suh TW, Kim SU, Hahm BJ, Suh DH, Chung SJ, Cho MJ. Prevalence of suicide behaviors(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nd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s in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6):1142-1155 (Korean) 

  7. Lee DY, Jung GH, Seo HY. Suicidal ideati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ression. J Korean Soc Sch Health 2017;30(2):136-145 (Korean) 

  8. Fitzgerald CT, Messias E, Buysse DJ. Teen sleep and suicidality: results from the youth risk behavior surveys of 2007 and 2009. J Clin Sleep Med 2011;7(4):351-356 

  9. Noh EK, Park J, Choi CH.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quality of sleep.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10;27(3):67-74 (Korean) 

  10. Reimer MA, Flemons WW. Quality of life in sleep disorders. Sleep Med Rev 2003;7(4):335-349 

  11. Baum KT, Desai A, Field J, Miller LE, Rausch J, Beebe DW. Sleep restriction worsens mood and emotion regulation in adolescents.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14;55(2):180-190 

  12. Wojnar M, Ilgen MA, Wojnar J, McCammon RJ, Valenstein M, Brower KJ. Sleep problems and suicidality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J Psychiatr Res 2009;43(5):526-531 

  13. Lee SH, Chun JS. The influence of stress on suicidal ideation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12;28:173-202 (Korean) 

  14. Woo CY, Park AC, Jeong H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uman relations,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by genders and level of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0;24(1):19-38 (Korean) 

  15. Bassett SM, Lupis SB, Gianferante D, Rohleder N, Wolf JM. Sleep quality but not sleep quantity effects on cortisol responses to acute psychosocial stress. Stress 2015;18(6):638-644 

  16. Steiger A, Holsboer F. Nocturnal secretion of prolactin and cortisol and the sleep EEG in patients with major endogenous depression during an acute episode and after full remission. Psychiatry Res 1997;72(2):81-88 

  17. Morawetz D. Helping patients to sleep better without drugs. Aust Fam Physician 1993;22(3):329-333 

  18. Dahl RE, Lewin DS. Pathways to adolescent health sleep regulation and behavior. J Adolesc Health 2002;31(6):175-184 

  19. Patten CA, Choi WS, Gillin JC, Pierce JP. Depressive symptoms and cigarette smoking predict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sleep problems in US adolescents. Pediatrics 2000;106(2):E23 

  20. Son KK, Park JH, Shon SM, Kim JS, Lee JH, Cho YH. The prevalencesof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in patients of pediatric sleep disorders. J Korean Child Neurol Soc 2009;17(2):200-208 

  21. Alfano CA, Zakem AH, Costa NM, Taylor LK, Weems CF. Sleep problems and their relation to cognitive factor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epress Anxiety 2009;26(6):503-512 

  22. Choi KI. An effect of sleeping time on school adaptation of youths: Mediated by depression and ability of seif-protection. Forum For Youth Culture 2016;30(1):126-166 (Korean) 

  23. Ewing DL, Manassei M, Gould van Praag C, Philippides AO, Critchley HD, Garfinkel SN. Sleep and the heart: Interoceptive differences linked to poor experiential sleep quality in anxiety and depression. Biol Psychol 2017;127:163-172 

  24. Ancoli-Israel S, Cooke JR. Prevalence and comorbidity of insomnia and effect on functioning in elderly populations. J Am Geriatr Soc 2005;53(7 Suppl):S264-271 

  25. Park YM, Kang SG, Lee HJ, KIM L. Insomnia in relation to suicide and serotonin and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Sleep Med Psychophysiol 2014;21(1):29-32 (Korean) 

  26. Kohyama J. Sleep, serotonin, and suicide in Japan. J Physiol Anthropol 2011;30(1):1-8 

  27. Wojnar M, Ilgen MA, Wojnar J, McCammon RJ, Valenstein M, Brower KJ. Sleep problems and suicidality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J Psychiatr Res 2009;43(5):526-531 

  28. Lee YJ, Cho SJ, Cho IH, Kim SJ. Insufficient sleep and suicidality in adolescents. Sleep 2012;35(4):455-460 

  29. Jeong JH, Jang YE, Lee HW, Shim HB, Chio JS. Sleep and suicidal risk fact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leep Med Psychophysiol 2013;20(1):22-30 (Korean) 

  30. Lopes MC, Boronat AC, Wang YP, Fu-I L. Sleep complaints as risk factor for suicidal behavior in severely depressed children and adolescents. CNS Neurosci Ther 2016;22(11):915-920 

  31. Pilcher JJ, Ginter DR, Sadowsky B.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 Psychosom Res 1997;42(6):583-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