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3 no.4, 2017년, pp.435 - 440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 우희철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 유준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Fast pyrolysis of third generation biomass, including micro- and macroalgae for biofuel production has recently been studied and compared experimentally to first- and second-generation biomass. Compared to microalgae, however, process design and simulation study of macroalgae for scale-up has been r...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갈조류의 화학적 구성이 열화학적 전환에 적합하다고 보는 이유는? | 거대 조류는 또한 높은 수준의 질소, 유황 등을 포함한다[8-10]. 또한 많은 갈조류 종들이 높은 탄수화물 함량을 가지고 있다고 널리 보고되었기 때문에 갈조류의 화학적 구성은 Ross 등에 의해 관찰된 바와 같이 열화학적 전환에 적합하다[11]. 마지막으로, 거대 조류를 바이오 연료 원료로 사용할 때 화학 성분의 계절적 변화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 |
21세기의 기술 발전의 특징은 무엇인가? | 21세기의 기술 발전은 이미 세계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가속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에서도 에너지 안보가 중요한 지정학적 요인의 하나로 부상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수요와 공급 간의 긴장이 심화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모든 에너지 분야에서 혁신과 개선을 위한 노력 또한 강화되고 있다. | |
바이오 연료가 원유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가장 근접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새로운 에너지 운반체는 궁극적으로 원유와 원유에서 파생 된 유도체를 대체해야 하므로 원유와 유사한 물리적 및 열화 학적 성질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능한 작은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바이오 연료는 원유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가장 근접해 있다. |
Owen, N. A., Inderwildi, O. R., and King, D. A., "The Status of Conventional World Oil Reserves - Hype or Cause for Concern?," Energy Policy, 38 4743-4749 (2010).
Rowbotham, J. S., Dyer, P. W., Greenwell, H. C., and Theodorou, M. K., "Thermochemical Processing of Macroalgae: a Late Bloomer in the Development of Third-Generation Biofuels?," Biofuels, 3, 441-461 (2012).
Giampietro, M. and Mayumi, K., The Biofuel Delusion: The Fallacy of Large Scale Agro-Biofuels Production, 1st ed., Routledge, London, 69-104 (2009).
MacKay, D. J. C., Sustainable Energy - without the Hot Air, UIT Cambridge (2009).
Mitchell, D., "A Note on Rising Food Prices," World Bank, Washington, DC.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No. 4682. (2008).
Gao, Kunshan, and McKinley, K. R., "Use of Macroalgae for Marine Biomass Production and $CO_2$ Remediation: A Review," J. Appl. Phycol., 6, 45-60 (1994).
Adams, J. M., Ross, A. B., Anastasakis, K., Hodgson, E. M., Gallagher, J. A., Jones, J. M., Donnison, I. S., "Seasonal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ioenergy Feedstock Laminaria Digitata for Thermochemical Conversion," Bioresour. Technol., 102, 226-234 (2011).
Suutari, M., Leskinen, E., Fagerstedt, K., Kuparinen, J., Kuuppo, P., and Blomster, J., "Macroalgae in Biofuel Production," Phycol. Res., 63, 1-18 (2015).
Roesijadi, G., Jones, S. B., Snowden-Swan, L. J., and Zhu, Y., "Macroalgae as a Biomass Feedstock: a Preliminary Analysis,"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PNNL), Richland, WA, Report No. PNNL-19944 (2010).
Milledge, J. J., Smith, B., Dyer, P. W., and Harvey, P., "Macroalgae-Derived Biofuel: A Review of Methods of Energy Extraction from Seaweed Biomass," Energies, 7, 7194-7222 (2014).
Ross, A. B., Jones, J. M., Kubacki, M. L., Bridgeman, T., "Classification of Macroalgae as Fuel and its Thermochemical Behaviour," Bioresour. Technol., 99, 6494-6504 (2008).
Li, D., Chen, L., Yi, X., Zhang, X., and Ye, N., "Pyrolytic Characteristics and Kinetics of two Brown Algae and Sodium Alginate," Bioresour. Technol., 101, 7131-7136 (2010).
Wang, J., Wang, G., Zhang, M., Chen, M., Li, D., Min, F., Chen, M., Zhang, S., Ren, Z., and Yan, Y., "A Comparative Study of Thermolysis Characteristics And Kinetics of Seaweeds and Fir Wood," Process Biochem., 41, 1883-1886 (2006).
Goyal, H. B., Diptendu S., and Saxena, R. C., "Bio-Fuels from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Renewable Resources: a Review," Renew. Sust. Energ. Rev., 12, 504-517 (2008).
Rutz, D., and Rainer J., Biofuel Technology Handbook, WIP Renewable energies (2007).
Luque, R., and James C., eds. Handbook of Biofuels Production: Processes and Technologies, Elsevier (2010).
Haveren, J., Elinor L. S,, and Johan S., "Bulk Chemicals from Biomass," Biofuel. Bioprod. Bior., 2, 41-57 (2008).
Vispute, T. P., Zhang, H., Sanna, A., Xiao, R., and Huber, G. W., "Renewable Chemical Commodity Feedstocks from Integrated Catalytic Processing of Pyrolysis Oils," Science, 330, 1222-1227 (2010).
Choi, J. H., "Pyrolysis and Catalytic Upgrading of Macroalgal Biomass for Liquid Biofuel Production," Ph.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2015).
Turton, R., Bailie, R. C., Whiting, W. B., and Shaeiwitz, J. A., Analysis, Synthesis and Design of Chemical Processes. 3rd ed. Prentice Hall, New York, 163-198 (2008).
Jones, S. B., Meyer, P. A., Snowden-Swan, L. J., Padmaperuma, A. B., Tan, E., Dutta, A., Jacobson, J., and Cafferty, K., "Process Design and Economics for the Convers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to Hydrocarbon Fuels: Fast Pyrolysis and Hydrotreating Bio-Oil Pathway," NREL/TP-5100-61178.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PNNL), Report No. PNNL-23053 (201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