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굽힘 하중에 의한 복합재료 파손 예측 연구
Failure Prediction for Composite Materials under Flexural Loading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5 no.12, 2017년, pp.1013 - 1020  

김진성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Aerospace University) ,  노진호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Aerospace University) ,  이수용 (School of Aerospace and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Aerospac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굽힘 하중을 받는 복합재료 적층판에 대한 파손 강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2D 변형률 기반의 파손 이론을 적용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복합재료 적층판 내각 층의 파손 모드에 따른 강성저하를 고려하기 위해 점진적 파손 해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크로스 플라이와 준등방성 복합재 적층판에 대하여 3점 굽힘 시험을 수행하였다. 최대응력 이론, 최대 변형률 이론, 그리고 Tsai-Wu 파손 이론을 적용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및 파손 이론에 따른 해석 결과 비교를 통하여 2D 변형률 파손 이론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failure prediction of composite laminates under flexural loading is investigated. A FEA(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2D strain-based interactive failure theory. A pregressive failure analysis was applied to FEA for stiffness degradation with failure mode each layer. A three-po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다축 면내 하중을 받는 다방향 적층판의 파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2D 변형률 기반 파손이론을 적용하여 굽힘 하중을 받는 복합재 적층판의 파손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적층판의 각 층에 대하여 파손 해석 및 파손 모드에 따른 강성 저하를 고려한 점진적 파손 해석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굽힘 하중을 받는 복합재 적층 판의 파손 예측을 위해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점진적 파손 해석을 수행하였다. 파손 예측을 위한 파손 이론은 다축 면내 하중을 받는 다방향 복합재료 적층판의 파손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2D 변형률 파손 이론을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2D 변형률 기반 파손 이론은 면내 하중 조건 하에서 단방향 뿐 만 아니라 다방향 적층판에 대해서도 정확한 파손 예측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2D 변형률 기반 파손이론은 최대 변형률 이론을 기반으로 복합재료 적층판의 강성 저하는 각 층의 방향별 파손 모드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복합재 적층판 내 각 층의 최종 파손은 축방향, 횡방향 그리고 전단에 의한 파손 모드가 모두 고려되는 2차 함수의 형태로 식 (3)과 같이 표현된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재료 구조 안정성을 위해 어떠한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는가? 복합재료는 섬유의 적층 배열을 달리하여 설계 요구 조건에 맞도록 구조물 제작이 가능하다. 복합재료 구조 안정성을 위해서는 설계 단계에서 고려된 적층 배열, 하중 조건에 따라 구조물의 파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파손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복합재료가 금속 재료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복합재료는 금속 재료에 비해 비강성 및 비강도가 우수하여 항공우주 및 자동차의 구조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합재료는 섬유의 적층 배열을 달리하여 설계 요구 조건에 맞도록 구조물 제작이 가능하다.
복합재료 구조물의 파손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파손 이론들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복합재료 구조물의 파손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론적 접근, 방법론 그리고 가정 등을 통하여 많은 파손 이론들이 개발되고 연구되었다. 이러한 파손 이론들의 신뢰성은 하중 조건, 적층 배열, 그리고 재료에 따라 파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좌우된다. 복합재료가 사용되는 대부분의 구조물은 면내 (in-plane) 하중뿐만 아니라 면외(out-of-plane) 하중도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inton, M. J, Kaddour, A. S., and Soden, P. D., "A Comparison of the Predictive Capabilities of Current Failure Theories for Composite Laminates: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Evidence," Composite Science Technology, Vol. 62, 2002, pp.1725-1798. 

  2. Hinton, M. J, Kaddour, A. S., and Soden, P. D., "A Further Assessment of the Predictive Capabilities of Current Failure Theories for Composite Laminates: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Evidence," Composite Science Technology, Vol. 64, 2004, pp.549-588. 

  3. Kaddour, A. S., Hinton, M. J., Smith, P. A. and Li, S., " A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ive Capability of Matrix Cracking, Damage and Failure Criteria for Fibre Reinforced Composite Laminates: Part A of the Third World-wide Failure Excercise," 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Vol. 47, 2013, pp.2749-2779. 

  4. Grief, R., Chapon, E., "Investigation of Successive Failure Modes in Graphite/Epoxy Laminated Composite Beams," Journal of Reinforced Plastic Composites, Vol. 12, 1996, pp.602-621. 

  5. Trochu, F., Echaabi, J., Pham X. T., and Ouellet, M.,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ailure and Damage Progression of Graphite-Epoxy Composites in Flexural Bending Test," Journal of Reinforced Plastic Composites, Vol. 15, No. 7, 1996, pp.740-755. 

  6. Huybrechts, S., Maji, A., Lao, J., Wegner, P., and Meink, T., "Validation of the Quadratic Composite Failure Criteria with Out-of-plane Shear Terms," 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Vol. 36, 2002, pp.1879-1888. 

  7. Irhirane, E. H., Echaabi, J., Aboussal, M., Hattabi, M., and Trochu, F., "Matrix and Fibre Stiffness Degradation of a Quasi-isotrope Graphite Epoxy Laminate under Flexural Bending Test," Journal of Reinforced Plastics and Composites, Vol. 28, Jan. 2009, pp.201-223. 

  8. Irhirance, E. H., Abousaleh, M., Echaabi, J., Hattabi, M., Saouab, A., and Bensalah, M. O., "Modeling and Simulation of the Failure and Stiffness Degradation of a Graphite Epoxy in a Three Point Bending Test," Journal of Engineering Material Technology ASME, Vol. 132, July. 2010, pp.0310131-0310138. 

  9. Lee, M. K., Lee, J. W., Yoon, D. H., & Kim, J. H., "Development of Compressive Failure Strength for Composite Laminate Using Regression Analysis Method,"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Vol. 40, 2016, pp.907-911. 

  10. Park, K. J., Kang, H. J., Shin, S., Choi, I. H., Kim, M., & Kim, S. J., "Strength Prediction on Composite Laminates Including Material Nonlinearity and Continuum Damage Mechan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2, No. 11, 2014, pp.927-936. 

  11. Kim, M. J., Park, S. H, Park, J. S., Lee, W. I., and Kim, M. S., "Micro-Mechanical Failure Prediction and Verification for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by Multi-Scale Model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1, No. 1, 2013, pp. 17-24 

  12. Herakovich, C. T., Mechanics of Fibrous Composites, John Wiley & Sons, Inc., 1998. 

  13. Lee, S. Y., Roh, J. H., "Two-dimensional Strain-based Interactive Failure Theory for Multidirectional Composite Laminates," Composite: Part B, Vol. 69, 2015, pp.69-75. 

  14. Soden P. D., Hinton M. J., and Kaddour A. S., "Biaxial Test Results for Strength and Deformation of a Range of E-glass and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Laminates: Failure Exercise Benchmark Data," Journal of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62, 2002, pp. 1489-1514. 

  15. Crisfield, M. A., Remmers, J. J., and Verhoosel, C. V.,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of solids and structures, John Wiley & Sons, 2012. 

  16. Bogetti, T. A., Hoppel, C. P. R., Harik, V. M., Newill, J. F. and Burns, B. P., "Predicting the Nonlinear Response and Progressive Failure of Composite Laminates,"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Vol. 64, 2004, pp.329-342. 

  17. ASTM D790-13, "Standard Test Methods for Flexural Properties of Unreinforced and Reinforced Plastics and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s," Annual Book of ASTM Standard,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