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의료폐기물 관리 제도 비교: 한국 의료폐기물 관리체계에 대한 시사점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Management Systems for Medical Waste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Medical Waste Management System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3 no.6, 2017년, pp.532 - 544  

오세은 (국립암센터 암검진사업과) ,  지경희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  박석환 (서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판기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  이경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Because the amount of medical waste (i.e., health-care waste) generated in Korea is rapidly increasing and social concern against its safety is widespread, a number of issues related with medical wastes are being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diverse medical waste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료폐기물 관리 체계의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현재 한국의 의료폐기물 관리 체계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의료폐기물 관리 제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수행된 바 있으나, 전반적인 관리체계를 비교적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 결과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위해성 평가를 통해 멸균분쇄 후 잔재물이 안전 또는 비교적 안전하다고 판단될 경우 생활폐기물 소각로를 활용하여 처리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 현재의 규정은 멸균분쇄 후 잔재물을 지정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향후 위해성 및 경제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필요한 경우 생활폐기물 소각로를 활용하여 처리하는 방안도 검토 가능하다.
  • 이에 의료폐기물 관리제도의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찾기 위하여 국내외 관리 실태를 조사·비교하는 한편, 이를 근거로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폐기물 관리체계와 관련한 여러 가지 논란을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약 350km까지 운송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23) 의료폐기물의 운송은 전용차량에 의해 이루어지며, 차량 컨테이너 안의 온도는 4oC 이하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폐기물이란? 한국에서 의료폐기물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 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로 정의된다.3) 현재 한국에서 의료폐기물은 지정폐기물 중 하나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다.
의료폐기물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3) 현재 한국에서 의료폐기물은 지정폐기물 중 하나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다. 의료폐기물은 격리의료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 일반의료폐기물로 구분되며, 위해의료폐기물은 다시 조직물류폐기물, 병리폐기물, 손상성폐기물, 생물·화학폐기물, 혈액오염폐기물로 구분된다.7)
의료폐기물과 관련된 위험의 정도에서 감염은 어떤 것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가? 의료폐기물과 관련된 위험의 정도를 감염(infection),상해(injury), 중독(intoxication), 윤리적 문제(ethical concerns)로 나누고 현재의 의료폐기물 구분에 따라 그 정도를 나타내면 Table 1과 같다. 감염의 경우 격리의료폐기물과 손상성폐기물이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물리적 손상의 경우 손상성폐기물, 중독의 경우 생물·화학폐기물, 윤리적 문제의 경우 조직물류 폐기물이 가장 많이 연관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Medical Act: Article 17. 1981. 

  2.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stes Control Act: Article 3. 1999. 

  3.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ste Management Act: Article 2 and 5. 1999. 

  4. World Health Organization. Safe management of wastes from health-care activities. 2nd edition. 2014. 

  5.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care waste. Available: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53/en/ [accessed 22 December 2017] 

  6. Oh SE, Lee J, Ahn H, Kim KY, Park S, Ha K, et al.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edical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5;41(6):449-457. 

  7.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Guide to medical waste management system. 2008. 

  8.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Classification of waste in major foreign countries. 2012. p.86-91. 

  9. European Union. Waste Framework Directive 2008/98/EC. Available: http://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uriCELEX:32008L0098 [accessed 22 December 2017] 

  10. European Union. ADR: European agreement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carriage of dangerous goods by road. 2015. 

  11. United Kingdom. Environmental protection, england and wales: The Controlled waste(england and wales) regulations 2012. Available: http://www.legislation.gov.uk/uksi/2012/811/contents/made [accessed 22 December 2017] 

  12. European Union. Waste Framework Directive 67/548/EEC. 

  1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edical waste. Available: http://www.epa.gov/osw/nonhaz/industrial/medical/ [accessed 22 December 2017] 

  1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odel guidelines for state medical waste management. Available: https://www.epa.gov/sites/production/files/2016-02/documents/model_guidelines_for_state_medical_waste_management.pdf [accessed 22 December 2017] 

  15. EPA Guidelines. Medical waste - storage, transport, and disposal. 2003. 

  16. Healthcare Environmental Resource Center. Types of regulated medical waste (RMW). Avaliable: http://www.hercenter.org/rmw/rmwtypes.cfm [accessed 22 December 2017] 

  17.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apan. Waste management and public cleansing law. https://www.env.go.jp/en/recycle/basel_conv/files/Waste_Management_and_Public_Cleansing.pdf [accessed 22 December 2017] 

  18. Ministry of Health, Japan. Infective waste disposal manual based on waste disposal method. 2012. 

  19. Hanashi Y. Investigation into the proper disposal of home medical waste. JMAJ 2011;54(5): 271-276. 

  20. Ministry of Environmen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edical waste management system. 2013.12. p.21-29. 

  21.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fectious waste management system. 1999. 

  22.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Status of designat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15. 

  23. Ahn SH, Ahn SY. The study of area-division strategy for medical waste dispos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9):255-263. 

  24.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 Study on the standard of the material of both sealed cover and collecting carriage of waste. 2012. 

  25.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 study on risk assessment of transportation of medical waste and evaluation of adopting diverse disposal methods for medical waste. 2015. p.224. 

  26. Oh SE, Park S, Ahn H, Ji K, Kim P, Hong YS, et al. A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waste treatment and the opinion of medical waste managers about on-site treatment of the general hospital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6; 42(3):13-22. 

  27. Inova fairfax hospital. Medical waste reduction and minimization. 2011. 

  28. Yang IH, A study of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infectious medical wastes [dissertation]. [Kwangju]: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8. 

  29. United Kingdom.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Health Technical Memorandum 07-01. 2013 

  30. Environmental Protection, England and Wales. The Controlled Waste (England and Wales) Regulations 2012. Available: http://www.legislation.gov.uk/uksi/2012/811/pdfs/uksi_20120811_en.pdf [accessed 22 December 2007] 

  31. Ministry of Eduction. Article 6 of the School Health Act. 1988. 

  32. Gleis M. Federal Environmental Agency, Berlin, Health waste management in Germany and the European Union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