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무인기 탑재 다중 센서 기반 국지 산불 감시 및 상황 대응 플랫폼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l Forest Fire Monitoring and Situational Response Platform Using UAV with Multi-Sensor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10 no.6, 2017년, pp.626 - 632  

신원재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이용태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의 해마다 발생하는 자연재해를 살펴보면 사망, 실종과 같은 심각한 인명 피해와 더불어 수억 원에 달하는 재산피해가 동반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ICT 기반의 자연재난 감시 및 대응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무인기에 탑재된 다중 센서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분석을 통해 국지적 산불 재난의 감지 및 상황대응을 지원하고, 통합경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대국민 재난 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 영상의 획득, 분석, 대응을 수행하는 재난 감시 및 대응 플랫폼의 세부 기능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재난 인지에 핵심요소 기술인 Deep Learning 기반의 산불 영상 분석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Deep Learning 기반 재난 영상 분석은 과거로부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사전에 미리 학습함으로써, 새롭게 획득한 재난 영상에 대한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제안하는 산불 영상 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 결과를 확인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natural disaster occurs increasingly and becomes complicated, it causes deaths, disappearances, and damage to property.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ICT-based natural disaster response technology which can minimize economic and social losses. In this letter,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산불 감시 및 대응 플랫폼은 무인기에 탑재된 센서에서 획득한 가시광 센서의 영상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반복 발생하는 산불 재난의 피해 저감을 위한 영상 분석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제안하는 영상 분석 기술은 최근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다[5~13].
  • 제안하는 영상 분석 기술은 최근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다[5~13]. 제안하는 재난 대응 및 경보전달 플랫폼 기술을 통하여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후 발생하는 2, 3차 피해를 방지하여 재난 복구비용 절감 효과를 얻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산불 감지 및 상황 대응 플랫폼의 세부 시스템을 소개하고, 국지적 산불 재난 검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구현한 H/W 및 S/W의 주요 기능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산불 감시 플랫폼의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산불 재난 검출에 대한 성능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ep Learning 기반 재난 영상 분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본 논문에서는 재난 영상의 획득, 분석, 대응을 수행하는 재난 감시 및 대응 플랫폼의 세부 기능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재난 인지에 핵심요소 기술인 Deep Learning 기반의 산불 영상 분석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Deep Learning 기반 재난 영상 분석은 과거로부터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사전에 미리 학습함으로써, 새롭게 획득한 재난 영상에 대한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제안하는 산불 영상 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 결과를 확인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플랫폼에 악천후 영상 개선과 저조도 영상 개선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무인기에서 획득한 영상은 실시간으로 전처리 모듈과 Array DBMS 모듈로 구성된 초대용량 재난 영상 실시간 처리부로 전송이 된다. 항공 영상은 지상에서 획득한 영상에 비해 대기 및 기상 환경의 영향을 받아 영상이 열화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제안하는 플랫 폼에서는 전처리 단계로 악천후 영상 개선과 저조도 영상 개선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기존의 무인기를 이용한 재난방재 방식의 단점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무인기를 활용하는 방식은 운용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탑재 센서들의 경량화 및 고도화로 기존의 헬기 및 인력을 통해 분석하는 방식 대비 재난 감시 및 대응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1]. 또한 기존의 무인기를 이용한 방식[2,3]은 자동화된 감지가 불가능하며, 영상처리 기반의 화재 감지 기법[4]은 굉장히 복잡하고 성능향상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uis Merino et al., "An Unmanned Aircraft System for Automatic Forest Fire Monitoring and Measurement" J. Intell. Robot. Syst., vol. 65, no. 1, pp 533-548, Jan. 2012. 

  2. Luis Merino et al., "An Unmanned Aircraft System for Automatic Forest Fire Monitoring and Measurement," J. Intell. Robot. Syst., vol. 65, no. 1, pp 533-548, Jan., 2012. 

  3. ByoungChul et al., "Survey of computer vision based natural disaster warning systems," Opt. Eng., vol. 51, no. 7, pp 1-12, Jul., 2012. 

  4. Turgay Celik, "Fast and Efficient Method for Fire Detection Using Image Processing," ETRI JOURNAL, Vol. 32, No. 6, pp. 881-890, De., 2010. 

  5. Y. LeCun, Y. Bengio, and G. Hinton, "Deep learning," Nature, vol. 521, no. 7553, pp. 436-444, May 2015. 

  6. Sangheon Park, Taejae Jeon, Sanghyuk Kim, Sangyoun Lee, and Juwan Kim, "Deep learning based symbol recogni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9, No.3, pp.249-256, 2016. 

  7. Jin-Taek Seon, "Analysis of Signal Recovery for Compressed Sensing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10, No.4, pp.257-267, 2017. 

  8. A. Krizhevsky, I. Sutskever, and G. Hinton,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NIPS, pp. 1106-1114, 2012. 

  9. C. Szegedy, W. Liu, Y. Jia, P. Sermanet, S. Reed, D. Anguelov, D. Erhan, V. Vanhoucke, and A. Rabinovich, "Going deeper with convolutions," In CVPR 2015, 2015. 

  10. G.E. Hinton, N. Srivastava, A. Krizhevsky, I. Sutskever, and R.R. Salakhutdinov, "Improving neural networks by preventing co-adaptation of feature detectors." arXiv preprint arXiv:1207.0580, 2012. 

  11. Byung Gyu Chae, "Neural Network Image Reconstruction for Magnetic Particle Imaging," ETRI JOURNAL, Vol. 39, No. 6, pp. 841-850, Dec., 2017. 

  12. S. Kim, W. Lee, Y. Park, H. Lee, and Y. Lee,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aerial ima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Disaster Management, Dec. 2016. 

  13. S. Kim, W. Lee, J. Yim, Y. Park, and Y. Lee, "Human monitoring system using drones for riverside are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Oct. 2017. 

  14. Atul Gujral, Aditi, Shailender Gupta and Bharat Bhushan, "A Comparison of Various Defogging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vol. 7, No. 3, pp. 147-170, May, 2014. 

  15. Kaiming He, Jian Sun, and Xiaoou Tang, "Single Image Haze Removal Using Dark Channel Prior," IEEE trans.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33, no. 12, pp. 2341-2353, Dec.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