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발전용 바이오매스 연료(WP·EFB·PKS)의 열분해 온도 조건에 따른 반탄화 및 염소 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orrefaction and Chlorine Release According to the Mild Pyrolysis Temperature Conditions of Biomass Fuels (WP·EFB·PKS) for Power Generation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8 no.6, 2017년, pp.683 - 690  

김지훈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박재흔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최재현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전충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od pellet (WP), empty fruit bunch (EFB) and palm kernel shell (PKS) which are biomass fuels for power generation are select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orrefaction process. These biomass fuels are torrefied at $220^{\circ}C$, $250^{\circ}C$, and $280^{\circ}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반탄화 온도 조건에 따른 발전용 바이오매스(WP, EFB, PKS)의 구성성분과 발열량에 관련된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반탄화 온도조건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반탄화 공정에 따른 염소 방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리협정에서 규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1997년 제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3)에서 선진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규제하는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가 채택되었고, 이를 대체하여 2015년 12월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1)에서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담하는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이 채택되었다1). 파리협정은 각 국가가 국가별 기여방안(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DC)을 스스로 정하여 5년마다 상향된 감축 목표를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하고, 목표 달성 경과를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규정한다2). 또한 국제사회는 2014년 페루리마 당사국총회(COP 20)에서 2020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각국이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이를 2015년까지 협약 사무국에 제출할 것을 합의하였다3).
바이오매스의 분쇄성이 좋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바이오매스는 석탄보다 발열량이 낮고 수분 함량이 높아서 분쇄성이 좋지 않다. 또한, 일부 바이오매스는 염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보일러 내부 부식을 촉진시킨다.
바이오매스를 장기 보관하기 위해서 하는 것은 무엇인가? 장기적인 보관시 발화 및 곰팡이류에 의한 품질 저하 등 취급과 보관이 어렵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전처리과정이 필요한데, 대표적으로 반탄화(torrefaction)를 활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I. J. Yoon, "Issues and Prospects of the Paris Agreement", Han Yang Law Review, Vol. 28, No. 2, 2017, pp. 113-144. 

  2. S. W. Park, "Post-2020 Climate Regime and Paris Agreement-Key Issues and Agreed Results of UNFCCC COP 21-", Environmental Laws and Policies, Vol. 16, 2016, pp. 285-322. 

  3. D. G. Lee and S. J. Yu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INDCs in Korea and New Zealand",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27, No. 2, 2016, pp. 261-294. 

  4. D. S. Kim and Y. J. Sung, "Searching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s of Korea paper industry coping with the new climate regime", Journal of Korea TAPPI, Vol. 48, No. 2, 2016, pp. 75-82. 

  5. J. R. Byun, "Korea Energy Handbook", Korea e-Work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Press, Korea, 2015, pp. 373. 

  6. J. H. Kim, and E. J. Lee,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Duty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PS System and Improvement Plan",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3, No. 6, 2013, pp. 98-104. 

  7. B. I. Na, B. J. Ahn, S. T. Cho, and J. W. Lee, "Optimal Condition of Torrefaction for the High-density Solid Fuel of Larch (Larix kaempferi)",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 51, No. 6, 2013, pp. 739-740. 

  8. B. Arias, C. Pevida, J. Fermoso, M. G. Plaza, F. Rubiera, and J. J. Pis, "Influence of torrefaction on the grindability and reactivity of woody biomass", Fuel Processing Technology, Vol. 89, No. 2, 2008, pp. 169-175. 

  9. T. G. Bridgeman, J. M. Jones, A. Williams, and D. J. Waldron, "An investigation of the grindability of two torrefied energy crops", Fuel, Vol. 89, No. 12, 2010, pp. 3911-3918. 

  10. S. B. Saleh, J. P. Flensborg, T. K. Shoulaifar, Z. Sarossy, B. B. Hansen, H. Egsgaard, N. DeMartini, P. A. Jensen, P. Glarborg, and K. Dam-Johansen, "Release of Chlorine and Sulfur during Biomass Torrefaction and Pyrolysis", ENERGY AND FUELS, Vol. 28, No. 5-6, 2014, pp. 3738-3746. 

  11. J. T. G. Hamilton, W. C. McRoberts, F. Keppler, R. M. Kalin, and D. B. Harper, "Chloride Methylation by Plant Pectin: An Efficient Environmentally Significant Process", Science, Vol. 5630, No. 9, 2003, pp. 206-208. 

  12. J. J. Lee, S. W. Yoon, and B. H. Lee, "Degradation Properties and Production of fuels in Solvolysis of Ligni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5, No. 9, 2003, pp. 1152-1158. 

  13. W. H. Chen, and P. C. Kuo, "Isothermal torrefaction kinetics of hemicellulose, cellulose, lignin and xylan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Energy, Vol. 36, No. 11, 2011, pp. 6451-6460. 

  14. B. Stroemberg, and E. Byoerkman, "Release of chlorine from biomass at pyrolysis and gasification conditions", ENERGY AND FUELS, Vol. 11, No. 5, 1997, pp. 1026-103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