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독도, 동도와 서도 연안에서 정밀 해저 지형과 해저면 영상 자료를 획득하여 해수면 아래에서 나타나는 해저 지형 및 해저면 환경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독도 섬 육지부와 바로 연장되는 동도와 서도 각 남부 연안 해역의 약 $250m{\times}250m$ 범위에서 정밀 수심 자료와 해저면 영상 자료를 획득하였다. 동도 남부 연안은 최대 수심 약 50 m 범위이며, 서도 남부 연안은 최대 수심 약 30 m 범위에 해당한다. 동도와 서도 연안은 섬 육지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모암이 해수면 아래로 그대로 이어져 해저면에서 큰 수중 암반 지대를 형성하고 있는데, 그 규모는 서도 남부 연안이 동도 연안에 비해 비교적 크게 나타난다. 동도와 서도 연안 모두 유사한 수중 암반 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변으로 형성된 해저면 환경은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동도 남부 연안은 섬 육지부에서 기인한 크고 작은 암설들로 인해 형성된 테일러스(Talus) 형태의 해저면 환경이 수심 약 15 m 범위까지 형성된 특징을 보이며, 수중 암반 지대와 해저면의 경계면이 모호하게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서도 남부 연안은 비교적 큰 규모의 수중 암반들과 고른 퇴적물이 분포하여 해저면과 접하고 있는 섬 육지부터 연장되는 암반들의 경계면이 확실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는 동도의 해안 절벽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응회암층이 풍화나 침식에 약하여, 서도 연안에 비해 섬 육지부로부터 운반된 쇄설성 퇴적물이 흘러내린 영향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는데, 특히 동도는 서도에 비해 선착장이나 통행로 개설공사 등의 활동이 계속되어 섬 육지부의 지반 불안정과 단층, 절리, 균열이 높은 편으로 나타난 바 있다. 또한 과거 연구 결과들에서 동도와 서도에 나타나는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음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러한 요소가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 해저면에서 구별되어 나타나는 쇄설성 퇴적물 환경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의 상이한 해저면 환경적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 precise seabed geomorphology and conditions for comparing the nearshore areas of the Dongdo(East Island) and the Seodo(West Island) using detailed bathymetry data and seafloor backscattering images, in Dokdo, the East Sea. We have been obtained the detailed bathymetry da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독도 화산체 중 해수면 위로 드러나 있는 동도와 서도 연안 해역에서 나타나는 해저 지형 및 해저면 환경 특성을 파악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특히,해수면 위로 드러난 동도와 서도의 서로 다른 지형·지질 환경과 연관되어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 해역의 해수면 아래에서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해저 지형 및 해저면 환경 특성에 대해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도가 형성된 과정은 무엇인가? 1). 독도는 초기 플라이오세 시기 동안 최초의 화산활동에 의해 원시의 독도 화산체가 형성되었으며, 화산활동이 재개되기까지 약 2백 만년 동안 원시 독도 화산체의 형태 및 크기가 상당 부분 손실된 후, 후기 플라이오세까지 지속된 화산활동에 의해 현재와 같이 해수면 위에 드러난 독도와 함께 해수면 아래로 거대한 독도 화산체가 자리 잡은 형태로 형성되었다(Sohn and Park, 1994; Sohn,1995). 또한 독도는 울릉도, 제주도와 함께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시기에 일어난 요린변동(Yolin Disturbance)과 관련된 알칼리 화산 활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며,울릉도 화산암류와 비슷한 알칼리 현무암, 조면 현무암, 조면 안산암 및 조면암으로 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Kim et al.
동해의 해저지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동해는 울릉분지, 야마토분지, 일본분지 등 후열도 분지들(back-arc basins)로 구성되어 있으며, 울릉분지 내에는 독도 및 울릉도와 해수면 밑으로 발달해 있는 해저 화산체인 안용복해산, 심흥택해산, 이사부해산이 동-서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독도는 섬이 발달하지 않은 동해에서 울릉도와 함께 형성된 알칼리 화산암류의 해양섬 기원 화산체로서 해수면 위로 동도와 서도 두 개의 주 섬과 주변의 89개 부속도서들이 드러나 있다(Hirata et al.
독도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 해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해수면 위로 드러난 독도 연안 해역은 동도와 서도 두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섬 주변으로는 용암이 식으면서 만들어낸 주상절리와 수만 년 동안의 풍화와 해식으로 형성된 해식동굴, 해식대, 해식애와 바다 위로 노출된 크고 작은 부속 도서(89개)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도와 서도에는 인공 구조물들도 개발되어 있는데, 동도 연안은 독도 접안을 위한 선착장과 방파제가 위치하고 있으며, 서도 연안에는 어민숙소 건설 및 유지로 인한 구조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 범위인 수심 약 50 m 이내의 동도와 서도 주변 연안 해역은 섬 육지부의 불규칙하게 형성된 지형 구조가 해수면 아래에서도 연장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독도 연안 해역은 복잡하고 다양한 해저면 지형·지질 환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ugh, S.K., Lee, H.j. and Yoon, S.H. (2000)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Elsevier, New York, p.131. 

  2. Fledermaus Users Guide (2017) QPS 

  3. HIPS and SIPS 10.3 Users Guide (2017) Caris 

  4. Hirata, N., Tokuyama H. and Chung T.W. (1989) An anomalously thick layering of the crust of the Yamato Basin, southeastern Sea of Japan : the final stage of back-arc spreading, Tectonophysics, v.165, n.1, p.303-314. 

  5. Hyun, S.M., Kim, C.H., Jou, H.T., Kim, J.K. and Park, C.H. (2010)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Distribution and Submarine topography around Dokdo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6, n.6, p.647-660. 

  6. Hwang, S.K. and Jeon, Y.G. (2003) Eruption Cycles and Volcanic Form of the Dokdo Volcano,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6, n.6, p.527-536. 

  7. John Perry Fish, Arnold Carr, H., Lee, C.S. (1999) Sound Underwater Images, jipmoon, p.188. 

  8. Kim, C.H. (2006) A Study on Dokdo and Surrounding Seamount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using Geophysics Data,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148. 

  9. Kim, C.H. and Park, C.H. (2007) The Study of Formation for Dokdo Seamounts at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using Gravity and Magnetic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0, n.2, p.153-170. 

  10. Kim, C.H. and Park, C.H. (2010) A Study on the Geophysical Characteristics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3, n.6, p.625-636. 

  11. Kim, H.J., Park, C.H., Hong, J.K., Jou, H.T., Chung, T.W., Zhigulef V. and Anosov G.I. (1994) A Seismic Experiment in the Ulleung Basin (Tsushima Basin), southwestern Japan Sea (East Sea of Korea), Geophysics. Res. Lett., v.21, p.1975-1978. 

  12. Kim, J.Y. (2008) Development of removal technique of the errors in MultiBeam Echo Sounder data, Graduate school of Pukyung National University, p.131. 

  13. Lee, M.H. (2015) Enhancement of Geological Environment Study by Integrated Seafloor Visualization of DokdoI sland the East Sea, Graduate school of Pukyung National University, p.82. 

  14. Park, C., Cheon, D.S., Jung, Y.B., Song, W.K., Sunwoo, C. and Kim, B.C (2008)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s in Dokdo,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18, n.1, p.69-79. 

  15. Park, Y.S. (2004) A Study on Error Analysis and Data Processing for Multibeam Swath Sonar System,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p.217. 

  16. Park, Y.S., Hong, J.P. and Kong, S.K. (2011) Increasing Surveyed Area using Tilted Multi Beam Echo Soun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1, n.5, p.739-747. 

  17. Review of standards and protocols for seabed habitat mapping (2007) 

  18. Shim, S.H., Im, J.H., Jang, Y.D., Choo, C.O., Park, B.J. and Kim, J.H. (2010)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Volcaniclasts within the Massive Tuff Breccia Formation from Dokdo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9, n.2, p.141-156. 

  19. Sohn, Y.K. and Park, K.H. (1994) Geology and Evolution of Tok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0, p.242-261. 

  20. SonarWiz 5, SonarWiz 6 (2017) Chesapeak Technology 

  21. Pandian, P.K., Ruscoe, J.P., Shields, M., Side, J.C., Harris, R.E., Kerr, S.A. and Bullen, C.R. (2009) Seabed Habitat Mapping Techniques : an Overview of the Performance of Various Systems, Mediterranean Marine Science, v.10, p.29-43. 

  22. Woo, K.S., Ji, H.S., Kim, L., Jeon, J.N., Park, J.S., Park, H.S., Kim, D.S. and Park, C.H. (2009) Distribution and Origin of Carbonate Sediments near Dok Island :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3, p.171-1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