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구조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중심성과 중개자 역할을 중심으로
Research Networking in Convergence Relations: A Network Analytic Approach to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2, 2017년, pp.49 - 63  

양창훈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허정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총괄기획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지원과제를 대상으로 연구 분야간 협력적 연계관계 구조와 그 속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제간 연구협력은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개별 연구 분야들이 보유한 지식, 정보, 자원 등을 다른 분야들과 결합하고 공유하는 상호 협력적인 연구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183개 융합과제를 대상으로 98개의 연구 분야를 추출하고 이를 관계형 네트워크 데이터로 구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양한 분야들이 상호 연계되어 군집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협력적 융합연구 활동이 고르게 분포되는 구조적 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외향 및 내향 연결 중심성이 높은 분야들이 전체 년도구간에서 학제적 연구협력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연결자(Liaison)의 중개 역할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이종 지식과 정보의 흐름을 중개하는 연구 분야의 대표적인 특성이라는 점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제간 연구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을 파악하고 융합연구에 있어서 네트워크 방법론의 적용이 가지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is widely seen as a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which is often driven by common agenda or problems in pursuit of a particular common objective. Thus, the purpose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in convergence research is to bring eac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183개 융합과제를 대상으로 총 98개 융합연구 분야에 대한 협력적 연계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계적 속성을 이해하고 연구 분야들간 관계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융합연구 네트워크에서 개별 연구분야가 갖고 있는 중개자 속성이 학제간 협력 활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네트워크 방법론을 활용하여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의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 분야간 협력적 연계관계 구조 및 융합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연계관계를 네트워크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제간 연구협력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일반화의 한계를 가질 수 있다.
  • 따라서 융합연구 네트워크 안에서 나타나는 상호연계와 결합은 다양한 분야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동태성을 나타내주며, 이는 연구협력 체제를 학제적 영역 안에서 수행되는 개별 연구 활동의 단순조합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창발적 속성을 보여주는 것이다[37]. 본 연구에서 네트워크란 개인과 사회가 당면한 주요 문제를 새로운 접근과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협력적 연구 활동을 통해 융합연구를 수행하는 연구 분야들의 집합으로 본다.
  • 네트워크 분석은 여러 개체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표출되는 연계적 속성(relational property)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론적 분석틀이다[10].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183개 융합과제를 대상으로 총 98개 융합연구 분야에 대한 협력적 연계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계적 속성을 이해하고 연구 분야들간 관계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융합연구 네트워크에서 개별 연구분야가 갖고 있는 중개자 속성이 학제간 협력 활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심성 및 중개 역할 분석을 통하여 연구 분야간 융합연구의 협력적 관계구조를 파악하고, 네트워크 구조가 융합연구에 있어서 어떤 유기적 연계속성을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학제간 협력을 통한 융합연구 활동의 유기적 연계 속성을 분석하기 위해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지원과제별 연구책임자의 전공분야와 해당 학문분야 자료를 관계형 네트워크 데이터인 1-mode 행렬로 구축하였다. [표 2]의 a는 수집된 자료의 원시데이터(raw data) 형태로 4개의 지원과제(P1-P4)와 과제별 연구책임자의 전공분야(D1-D4) 그리고 해당 과제의 학문분야(D1-D5)를 나타내고 있다.
  • 제시된 연구 문제에 따라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을 관계형 데이터(relational data)로 변환시켜 융합연구의 유기적 협력관계 속성을 연결망 구조로 구축하였다. 이는 융합연구에서 각 분야들이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가를 단순히 파악하기 보다는 학제간 협력을 통한 융합연구는 어떤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함이다. 즉 학제간 연계구조는 융합연구를 형성하는 학제간 연구협력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낸다.
  • 이 두 세부사업은 상이한 목적과 지원규모를 갖지만 인문사회와 이공계 분야의 융합을 통한 사회문제 진단 및 합리적 해결 방안 제시, 새로운 학문 영역 창출이라는 거시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략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개별 학제의 경계를 넘어 서로 다른 학문의 이질적 특성을 융합하고, 창조적인 연구 성과의 창출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분야의 융합연구 지원과제를 대상으로 연구협력의 연계 속성과 구조적 특성을 집합적이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측정·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학제간 연계 속성이 어떤 구조적 특성(topology)을 지니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네트워크 분석은 여러 개체들 사이의 관계 속에서 표출되는 연계적 속성(relational property)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론적 분석틀이다[10].
  • 따라서 연구 분야의 학제적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네트워크 내에서의 위치 정도만을 측정하는 중심성 지표만을 가지고 융합연구에서 개별 연구 분야들이 갖는 역할과 특성을 규명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개 역할(brokerage role)에 대한 추가 분석을 통해서 융합연구 협력 네트워크에서 학제적 특성에 따른 각 연구 분야의 구체적인 역할을 이해하고자 한다. 융합연구는 다양한 연구 분야와의 지속적인 연계관계를 통해 형성된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각 분야들을 매개하는 중개자 역할은 협력적인 융합연구 활동이 촉진되는데 있어서 각 학문 간의 연구 분야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게 해준다.
  • 학제간 융합연구지원 과제를 대상으로 연구 분야간 협력적 연계관계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융합연구를 위한 학제간 연구협력 네트워크에서 중심성이 높은 융합연구 분야는 무엇인가? 둘째, 학제간 융합연구가 일어나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 분야들은 어떤 구조적 속성을 지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합연구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융합연구란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학제적 경계 안에서 자신이 보유한 정보와 지식 그리고 자원 등을 다른 연구자와 결합하고 공유하는 상호 협력적인 학제간 연구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연구협력의 요인들 중 생산성 측면을 연구한 Porac 외[33]에 따르면, 이러한 학제간 협력은 단일 학제 안(within-discipline)에서 일어나는 협력에 비해 문제해결을 통한 연구생산성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였다.
융합연구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표는 어떻게 구분되며 각각 무엇을 뜻하는가? 융합연구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표는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연결(degree) 중심성은 융합연구에 있어서 특정 연구 분야가 다른 분야와 연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네트워크 안에서 특정 연구 분야가 협력적 연구 활동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 또는 중요성을 의미한다.1) 둘째, 근접(closeness) 중심성이란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연구 분야가 다른 분야에 얼마나 근접해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연구분야들간에 직·간접적으로 연계되는 경로의 거리가 짧을수록 상호 의존도가 높아져 융합연구를 위한 협력 가능성이 증대된다고 볼 수 있다.2) 마지막은 매개(betweenness) 중심성으로 연구 분야간 상호 연계관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특정 분야의 중계자(intermediary) 역할을 나타내는 것이다.3) 이는 네트워크 내에서 직접적인 연계관계가 형성될 수 없는 분야들 ‘사이’에 특정연구 분야가 위치하여 매개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매개성이 높을수록 융합연구나 학제간 협력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지식과 정보의 교환을 제어하거나 조정한다고 볼 수 있다.
학제간 협력을 통한 융합연구가 지니는 특성은 무엇인가? 학제간 협력을 통한 융합연구는 다양한 연구자, 연구기관, 연구 분야 등이 상호 연계되고 결합되는 동태적이고 유기적인 특성을 지니며, 이러한 연계관계를 통해서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는 융합연구에서 일어나는 지식의 흐름과 정보의 교환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게 해준다. 즉 융합연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유형의 학제간 연계관계의 구조는 네트워크의 특성을 의미하며, 이러한 관계를 형성하는 연계적인 속성을 통해서 융합연구를 이해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CLS(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Our cultural commonwealth: The report of the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Commission on Cyberinfrastructure for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ew York: ACLS, 2006. 

  2. M. C. Roco, W. S. Bainbridge, B. Tonn, and G. Whitesides (des.), Converging Knowledge, technology, and society: Beyond convergence of nano-bio-info-cognitive technologies, New York: Springer, 2013. 

  3. NEH(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Guidelines for 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 http://www.neh.gov/files/grants/), 2014. 

  4. R. A. Nordmann, Converging Technologies-Shaping the Future of European Societies, Brussels, Belgium: European Commission, 2004. 

  5. EC(European Commission), FP7-Tomorrow's answers start today(7th Framework Programme), European Commission, Community Research. 2006. 

  6. EC(European Commission), HORIZON 2020 in brief,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6. 

  7.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융합기술 발전전략(안),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2014. 

  8. 미래창조과학부, 인문학과 과학기술이 함께 푼다. 과학기술로만 풀기 어려운 개인.사회문제에 대한 인간중심 연구개발(R&D) 추진-과학기술.인문 융합 연구사업 '16년도 시범사업 본격 추진, 2016. 

  9. 김보림, "과학기술.인문 융합연구 정책동향 및 사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연구정책센터, 융합 WeeklyTIP, 제32권, 2016. 

  10. R. A. Hanneman and M. Riddle,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methods, Riverside, CA: University of California, 2005. 

  11. N. Rosenberg, "Technologi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1840-1910,"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23, No.4, pp.414-446, 1963. 

  12. F. Kodama, "Technology fusion and the new R&D," Harvard Business Review, Vol.70, No.4, pp.70-78, 1992. 

  13. J. Pennings and P. Puranam, "Market Convergence and Firm Strategy: New Direc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ECIS Conference, Eindhoven, Netherlands, 2001. 

  14. N. Corrocher, F. Malerba, and F. Montobbio,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the ICT Field: Main Actors,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Knowledge Sources," Economic Quantitative Methods, Vol.37, pp.1-30, 2003. 

  15. A. G. Nystrom and F. Hacklin, "Operator Value-Creation through Technological Convergence: The Case of VoIP," 16th European Regional Conferenc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Society, Porto, Portugal, 2005. 

  16. 허정은, 양창훈,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융합연구 구조 분석: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4호, pp.883-912, 2013. 

  17. B. S. Tether, "Who Cooperates for innovation, and why: an Empirical analysis," Research Policy, Vol.31, pp.947-967, 2002. 

  18. R. Amir, "Modelling imperfectly appropriable R&D via spill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18, No.7, pp.1013-1032, 2000. 

  19. R. De Bondt, "Spillovers and innovative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15, No.1, pp.1-28, 1997. 

  20. J. Hagedoorn and J. Schakenraad, "A comparison of private and subsidized R&D partnerships in the Europea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Journal of Common Market Studies, Vol.31, No.3, pp.373-390, 1993. 

  21. Z. Griliches, "The search for R&D spillovers,"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Vol.94, pp.29-47, 1992. 

  22. M. L. Katz and J. A. Ordover, "R&D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Microeconomics, pp.137-203, 1990. 

  23. Y. Katsoulakos and D. Ulph, "Endogenous spillovers and the performance of research joint venture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46, pp.333-354, 1998. 

  24. D. J. Teece, "Profiting from technological innovation: Implication for integration, collaboration, licensing and public policy," Research Policy, Vol.15, No.6, pp.285-305, 1986. 

  25. D. J. Teece, "Competition, cooperation and innovation: Organizational arrangements for regimes of rapid technological progress,"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Vol.18, pp.1-25, 1992. 

  26. D. K. Sinha and M. A. Cusumano, "Complementary resources and cooperative research: A model of research joint ventures among competitors," Management Science, Vol.37, No.9, pp.1091-1106, 1991. 

  27. J. Mata and M. Woerter, "Risky innovation: the impact of internal and external R&D strategies upon the distribution of returns," Research Policy, Vol.42, No.2, pp.495-501, 2013. 

  28. C. Ciborra, "Alliances as learning experiences: Cooperation, competition and change in the high-tech industries," In L. K. Mytelka (ed.), Strategic partnerships and the world economy, London: Pinter, pp.51-77, 1991. 

  29. 정보권, 이학연, "융합 학문으로서의 산업공학: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업공학의 학문적 융합 구조 탐색," 대한산업공학회지, 제42권, 제3호, pp.182-197, 2016. 

  30. 김홍영, 정선양, "출연연구기관 융합기술 연구네트워크 구조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8권, 제4호, pp.693-718, 2015. 

  31. 한경주, 정명진,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보건의료 융합연구과제의 특성분석 및 융합연구 분야별 주요 키워드 도출,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32. 이중만, 최민석,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415-428, 2010. 

  33. J. F. Porac, J. B. Wade, H. M. Fischer, J. Brown, A. Kanfer, and G. Bowker, "Human capital heterogeneity,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nd publication patterns in a multidisciplinary scientific alliance: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wo scientific teams," Research Policy, Vol.33, No.4, pp.661-678, 2004. 

  34. M. A. Somerville and D. J. Rapport, Transdisciplinarity: recreating integrated knowledge, Oxford, UK: EOLSS Publishers Co. Ltd, 2000. 

  35. S. Rowland, The enquiring university: compliance and contestation in higher education, Maidenhead, Berkshire, UK: The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Open University Press, 2006. 

  36. C. H. Yang, H. W. Han, and J. Heo, "A network analysi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relationships: the Korean government's R&D grant program," Scientometrics, Vol.83, pp.77-92, 2010. 

  37. S. A. Kauffman, At home in the universe: The search for the laws of self-organization and complex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38. L. C. Freedman,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s," Social Network, Vol.1, pp.215-239, 1979. 

  39. D. Knoke and J. H. Kuklinski, Network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1982. 

  40. J. Scott,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London: Sage, 1991. 

  41. R. V. Gould and R. M Fernandez, "Structures of mediation: a formal approach to brokerage in transaction networks," Sociological Methodology, Vol.19, pp.89-126, 1989. 

  42. B. Leadbeater, "The fickle fates of push and pull in the dissemination of mental health programs for children," Canadian Psychology, Vol.51, pp.221-230,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