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부검시료에서 중독사 관련 사용물질 현황(2014-2016)
Analysis of Death Due to Poison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2014-2016) 원문보기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v.15 no.2, 2017년, pp.101 - 106  

박미정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 법독성화학과) ,  박종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 법독성화학과) ,  이상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 법독성화학과) ,  인상환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독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drugs, poisons, and chemicals detected in autopsy samples performed in the Seoul Institute and other regional forensic offices of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NFS) between 2014 and 2016. Methods: The investigation carried out using the laboratory info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난 3년(2014-2016) 동안 서울과학수사연구소 및 가톨릭대학교, 고려대학교 및 서울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지역 법의관사무소에서 시행된 부검건수는 9,674건이었으며, 이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 발생된 변사사건에 해당한다. 부검시료에 대한 법독성화학적 분석은 서울과학수사연구소에서 실시되었으며, 본 보고에서는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도권에서 시행된 부검사례 중 급성중독으로 사망한 건에서 약독물 및 화학물질의 종류 및 분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독사의 경우 대부분이 자살이었으며, 사고사 및 타살의 경우는 매우 낮은 확률이었고, 사망의 종류는 부검 및 기타 수사결과를 종합하여 수사기관 및 사법기관에서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검안이란? 우리나라에서 변사자 또는 변사의 의심이 있는 시체가 있을 때 수사기관에 신고가 되어 검시가 수행되며, 의사는 시체를 검사하여 사인, 사망 시각, 사망의 상황, 이상 유무 등을 조사하게 된다. 이 때 주검을 훼손하지 않고 의학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검안이라 하며, 검안한 결과 사인 등이 분명하지 않거나 범죄와 관련된 정황이 발견되면 수사기관의 청구에 의하여 법원으로부터 영장을 발부 받아 부검을 시행하게 된다. 법의학적 관점에서 사망의 종류는 자연사(병사) 및 외인사로 분류되며, 외인사는 자살, 타살, 사고사로 세분되고 분류되지 않는 것은 불상(undetermined)으로 분류된다.
법의학적 관점에서 사망의 종류는? 이 때 주검을 훼손하지 않고 의학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검안이라 하며, 검안한 결과 사인 등이 분명하지 않거나 범죄와 관련된 정황이 발견되면 수사기관의 청구에 의하여 법원으로부터 영장을 발부 받아 부검을 시행하게 된다. 법의학적 관점에서 사망의 종류는 자연사(병사) 및 외인사로 분류되며, 외인사는 자살, 타살, 사고사로 세분되고 분류되지 않는 것은 불상(undetermined)으로 분류된다. 변사란 법률적인 용어로 외인사와 같은 의미로 쓰지만, 외인사 가운데 천재지변이나 단순한 본인 과실로 인한 죽음 등은 배제하며, 범죄가 관련되었는지에 기준을 두어 수사가 필요한 죽음을 의미한다.
글리포세이트 및 글루포시네이트를 음독시 증상은? 글리포세이트 및 글루포시네이트는 수용성 제초제로서 유기용제를 넣어 제조하는 다른 농약과는 달리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 들 농약은 그 자체로는 저독성 농약으로 분류되나 음독시 주로 용제 및 계면활성제에 의한 독성으로 위장관 부식, 저혈압, 폐부종, 백혈구 증가증, 대사성 산증 등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10-12). 국가마다 중독사에 사용하는 약독물의 종류는 상이하며, 그 이유는 환경, 문화, 풍습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Yang KM, Lee BW, Park JW, Lee SK, Yun WJ, Park SH, et al. The predictive ratios of intoxicated deaths by police's death scene investigation and doctor's death certificates in South Korea. Korean J Leg Med 2016;40:65-71. 

  2. Yoo YC. Forensic Science and Investigation. Seoul: HyunAm-Sa;2002. P.160-74. 

  3. Maresova V, Chadt J, Novakova E. Screening and semiquantitative analysis of drugs and drugs of abuse in human serum sample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Neuro Endocrinol Lett 2008;29(5):749-54. 

  4. Peters FT. Recent advances of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in clinical and forensic toxicology. Clin Biochem 2011;44(1):54-65. 

  5. Rosano TG, Wood M, Swift TA. Postmortem drug screening by non-targeted and targeted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technology. J Anal Toxicol 2011;35(7):411-23. 

  6. Molina DK. Handbook of Forensic Toxicology for Medical Examiners. New York:CRC Press;2010. 

  7. Baselt RC. Disposition of toxic drugs and chemicals in Man. Calofornia:Biomedical Publications; 2011. 

  8. Kim JY, Kim MS, Kim YR, Choi KH, Lee KU. High prevalence of psychotropics overdose among suicide attempters in Korea.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2015;13(3):302-7. 

  9. Myung W, Lee GH, Won HH, Fava M, Mischoulon D, Nyer M, et al. Paraquat prohibition and change in the suicide rate and methods in South Korea. PLoS One 2015;10:e0128980. 

  10. Bradberry SM, Proudfoot AT, Vale JA. Glyphosate poisoning. Toxicol Rev 2004;23:159-67. 

  11. Thakur DS, Khot R, Joshi PP, Pandharipande M, Nagpure K. Glyphosate poisoning with acute pulmonary edema. Toxicol Int 2014;21:328-30. 

  12. Kim YH, Lee JH, Hong CK, Cho KW, Park YH, Kim YW, et al. Heart rate-corrected QT interval predicts mortality in glyphosate-surfactant herbicide-poisoned patients. Am J Emerg Med 2014;32:203-7. 

  13. Choi WY, Kim HJ, Na JY, Lee SJ, Lee YJ, Park JT, et al. Analysis of death due to poisoning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as. Korean J Leg Med 2016;40: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