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l-gel법을 이용한 백색도가 높은 가시광 응답형 N-doped TiO2 제조 및 특성 평가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sible Light-Sensitive N-doped TiO2 Using a Sol-gel Method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4 no.6, 2017년, pp.477 - 482  

이나리 (한국세라믹기술원 도자세라믹센터) ,  유리 (한국세라믹기술원 엔지니어링세라믹센터) ,  김태관 (나노태) ,  피재환 (한국세라믹기술원 도자세라믹센터) ,  김유진 (한국세라믹기술원 엔지니어링세라믹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ogen-doped titanium dioxide (N-doped $TiO_2$) is attracting continuously increasing attention as a material for environmental photocatalysis. The N-atoms can occupy both interstitial and substitutional positions in the solid, with some evidence of a preference for interstitial si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림 3은 N 이온 도핑 첨가제 양 및 합성 온도에 따른 반사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500℃와 600℃에서 합성한 순수 TiO2의 고유 파장대는 각각 390, 406 nm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N 이온이 도핑되었을 때 단파장 혹은 장파장 영역으로 쉬프트 되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순수 TiO2 대비 N-doped TiO2는 도핑 첨가제 양 및 합성 온도에 따라 파장의 변화를 보였다.
  • N 이온을 도핑시켜 제조한 TiO2의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그림 3은 N 이온 도핑 첨가제 양 및 합성 온도에 따른 반사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 01 g의 준비된 시료를 투입하여 가시광 노출시간에 따른 광촉매의 유기물 분해 특성을 평가하였다. N-doped TiO2 합성된 조건에 따른 결정구조의 분석을 위해 CuKα radiation(λ = 1.54178 Å)의 조건으로 X선 회절(Right D/max 2500v/pc, Rigaku, Japan)을 측정하였다. 또한, N 이온 도핑 첨가제 양 및 합성 온도에 따른 광학적 특성 및 광촉매 특성 거동은 UV-Visible Spectrometer(UV2600, Shimaz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반면에 본 연구는 빛을 광원으로 하는 조명체에 정화 기능이 있는 기능성 조명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써, 백색도와 광촉매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졸겔법을 통해 N 이온을 TiO2 표면에 도핑하고자 하였고, N 이온 도핑 첨가제 종류 등 합성 조건을 변화시켜 고백색의 가시광 응답형 TiO2를 합성하였다.
  • N 이온 도핑 첨가제로는 NH4OH 및 NH4Cl로 이용하였고, 합성 온도는 500~600℃로 변화시켰다. 순수 TiO2 대비 N-doped TiO2의 결정상과 백색도를 비교하고 메틸렌 블루 용액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광분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NH4OH를 첨가하여 600℃에서 제조한 N-doped TiO2는 아나타제-루타일 비율이 40:60인 혼합 결정상으로 백색도가 +97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순수 TiO2에 비해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 데이터

  • 를 대표적인 습식 합성법인 sol-gel법으로 합성하였다. 사용한 시약은 Ti source로 titanium isopropoxide(Ti[OCH(CH3)2]4, 95%, Daejung Chem., Korea)와 반응 용매인 isopropyl alcohol (IPA, 99.5%, Deajung Chem., Korea), 그리고 N 이온 도핑을 위한 source 로 ammonia solution(NH4OH-xH2O, 28% Junsei Chem., Japan)과 ammonium chloride(NH4Cl, 99% Junsei Chem., Japan)을 사용하였으며, 해당 시약은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90 mL의 titanium isopropoxide를 360 mL의 IPA에 용해하였다.

데이터처리

  • 54178 Å)의 조건으로 X선 회절(Right D/max 2500v/pc, Rigaku, Japan)을 측정하였다. 또한, N 이온 도핑 첨가제 양 및 합성 온도에 따른 광학적 특성 및 광촉매 특성 거동은 UV-Visible Spectrometer(UV2600, Shimaz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광광도계를 통한 광학적 특성분석과 더불어 제조된 입자의 색도에 대한 평가를 위해 색차계(Handy color meter, NR-12A, 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이론/모형

  • 광촉매용 가시광 응답형 N-doped TiO2를 대표적인 습식 합성법인 sol-gel법으로 합성하였다. 사용한 시약은 Ti source로 titanium isopropoxide(Ti[OCH(CH3)2]4, 95%, Daejung Chem.
  • 본 논문에서는 졸겔법을 활용하여 가시광 응답형 Ndoped TiO2를 제조하였다. N 이온 도핑 첨가제로는 NH4OH 및 NH4Cl로 이용하였고, 합성 온도는 500~600℃로 변화시켰다.
  • 합성한 N-doped TiO2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활성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장 잘 알려진 메틸렌 블루 분해 테스트법을 이용하였다[23]. 일반적으로 메틸렌 블루를 수용액으로 제조시 파란색을 띠며 가시광선에서 분해되어 용액색이 투명하게 변화되지만 자외선 영역에서는 거의 분해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 M. Tobaldi, R. C. Pullar, A. F. Gualtieri, G. Otero-Irurueta, M. K. Singh, M. P. Seabra and J. A. Labrincha: J. Solid State Chem., 231 (2015) 87. 

  2. C. Di Valentin, E. Finazzi, G. Pacchioni, A. Selloni, S. Livraghi, M. C. Paganini and E. Giamello: Chem. Phys., 339 (2007) 44. 

  3. D. Bahenemann, D. Bockelmann and R. Goslich: Sol. Energ. Mater., 24 (1991) 564. 

  4. M. C. Yeber, J. Rodrguez, J. Freer, J. Baeza, N. Durn and H. D. Mansilla: Chemosphere, 39 (1999) 1679. 

  5. A. L. Linsebigler, G. Lu and J. T. Yates: Chem. Rev., 95 (1995) 735. 

  6. M. R. Hoffmann, S. T. Martin, W. Choi and D. W. Bahnemann: Chem. Rev., 95 (1995) 69. 

  7. T. L. Thompson and J. T. Yates: Chem. Rev., 106 (2006) 4428. 

  8. J. M. Hermann, C. Duchamp, M. Karkmaz, B. T. Hoai, H. Lachheb, E. Puzenat and C. Guillard : J. Hazard. Mater., 146 (2007) 624. 

  9. M. V. Rao, K. Rajeshwar, V. R. Vernerker and J. Dubow: J. Phys. Chem., 84 (1980) 1987. 

  10. G. K. Boschloo, A. Goossens and J. Schoonman: J. Electroanal. Chem., 428 (1997) 25. 

  11. Y. Ishibai, J. Sato, T. Nishikawa and S. Miyagishi: Appl. Catal. B, 79 (2008) 117. 

  12. W. Choi, A. Termin and M. R. Hoffmann: J. Phys. Chem., 98 (1994) 13669. 

  13. C. H. Huang, I. K. Wang, Y. M. Lin, Y. H. Tseng and C. M. Lu: J. Mol. Catal. A. Chem., 316 (2010) 163. 

  14. S. T. Martin, C. L. Morrison and M. R. Hoffmann: J. Phys. Chem., 98 (1994) 13695. 

  15. L. Palmisano, V. Augugliaro, A. Sclafani and M. Schiavello: J. Phys. Chem., 92 (1988) 6710. 

  16. J. Zhu, W. Zheng, B. He, J. Zhang and M. Anpo: J. Mol. Catal. A. Chem., 216 (2004) 35. 

  17. F. T. G. Vieira, D. S. Melo, S. J. G. Lima, E. Longo, C. A. Paskocimas, W. S. Junior and A. G. Souza: Mater. Res. Bull., 44 (2009) 1086. 

  18. E. M. Samsudin and S. B. A. Hamid: Appl. Surf. Sci., 391 (2017) 326. 

  19. K. Nakata and A. Fujishima: J. Photochem. Photobiol. C Rev., 13 (2012) 169. 

  20. C. D. Valentin, E. Finazzi, G. Pacchioni, A. Selloni, S. Livraghi, M. C. Paganini and E. Giamello: Chem. Phys., 339 (2007) 44. 

  21. S. Y. Lim, T. D. N-Phan and E. W. Shin: Appl. Chem. Eng., 22 (2011) 61. 

  22. J. D. Cunha, D. M. A. Melo, A. E. Martinelli, M. A. F. Melo, I. Maia and S. D. Cunha: Dyes Pigm., 65 (2005) 11. 

  23. S. M. Chin, E. S. Park, M. S. Kim and J. S. Jurng : Powder Technol., 201 (2010) 171. 

  24. G. Munjal, G. Dwivedi and A. N. Bhaskarwar : Int. Proc. Chem. Biol. Environ. Eng., 90 (2015) 82. 

  25. M. Henry, J. P. Jolivet and J. Livage: Chemistry Spectroscopy and Applications of Sol-Gel Glasses, Springer, Berlin, 77 (1992) 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