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자 청소년용 가상모델 개발을 위한 체형구분 및 설계방법 연구
An Analysis of Young Girls' Somatotype and the Design for Virtual Fitting Model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6, 2017년, pp.1109 - 1123  

강여선 (덕성여자대학교 예술대학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 somatotype of teenager's that was suitable to improve the reality of a virtual model size. We analyzed 843 teenagers 12-18 years old from the 6th Size Korea data. First, factor analysis was done for abstracting new criteria and dividing the somatotype; subsequently, we selected...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착의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가상착의는 간접 구매환경에서 의복의 특성, 즉 실루엣과 디테일 및 치수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정장이나 교복, 청바지 등 피트성이 요구되는 의복은 호칭이 세분되어 있고 여유량도 비교적 일정한 편이기 때문에 착용하는 치수가 정해져 있을 뿐 아니라 착용상태의 피트도 어느 정도 예상가능한 편이다.
온라인이나 모바일로 의류제품을 쇼핑할 경우 불만족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입니까? 그러나 온라인이나 모바일로 의류제품을 쇼핑할 경우, 맞음새 확인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제품치수와 맞음새 관련 정보도 매우 미흡하고 부정확하기 때문에 적합한 치수나 원하는 피트의 제품을 선택하기 어렵고 이는 교환, 반품, 수선 등 의류제품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어진다(Ha, 2009; Kang, 2014b; Kim et al., 2013).
캐주얼 의류와 루즈핏의류가 피트성이 요구되는 의복보다 가상착의를 통한 피트 확인이 더 필요한 의복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따라서 가상착의를 통해 전체적 맞음새와 어깨, 의복길이 등의 부분적 맞음새 그리고 색상과 디자인 특성을 확인하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캐주얼 의류와 루즈핏(loose fit) 의류는 길이와 품에 대한 소비자 수용범위가 넓은 편이나 개인에 따라 수용기준이 제각각이고 같은 치수라도 디자인에 따라 여유량이 현저히 다르므로 평소 자신에게 적합한 치수를 선택했어도 그 피트와 실루엣을 예상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개인마다 선호하는 여유량도 제각각이기 때문에 원하는 치수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더해지는상황이다. 따라서 피트성이 요구되는 의복보다 가상착의를 통한 피트 확인이 더 필요한 의복이라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Y. L. (2013). Size specification of females aged between 7 and 18 for 3D body model development.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2), 247-255. doi:10.5805/SFTI.2013.15.2.247 

  2. Ha, H. J. (2009). An analysis of the fitting of plus-sized women's formal jackets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2), 203-215. 

  3. Kang, Y. (2014a). A study on the reality of avatar sizes comparing with body sizes of women aged 19 to 5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6), 896-912. doi:10.5850/JKSCT.2014.38.6.896 

  4. Kang, Y. S. (2014b). An analysis of silhouette characteristics of tight skirts based on proportion - Focusing on the online commerce brand skir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4(2), 125-141. 

  5. Kang, Y. S. (2016). An analysis of women's somatotype and virtual fitting model size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fitting models for consu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5), 894-909. doi:10.5850/JKSCT.2016.40.5.894 

  6. Kim, G. A., Kim, C. K., & Kim, M. J. (2013). An analysis of the probl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Korea Society Design Forum, 38, 387-397. 

  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December 18). KS K 9401 Sizing systems for young female's garments.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s. Retrieved March 30, 2017, form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 

  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 [The 6th Size Korea]. Size Korea. Retrieved March 30, 2016, from http://sizekorea.kr/page/data/1_2 

  9. Lee, G. (2016).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Mcommerce users. The e-Business Studies, 17(1), 173-192. doi:10.20462/TEBS.2016.02.17.1.173 

  10. Lee, M., & Sohn, H.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t between CLO 3D avatar sizing and actual body measurement shap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4), 137-151. doi:10.12940/jfb.2012.16.4.137 

  11. Lee, S., Ulrich, P. V., & Connell, L. J. (2007). Tween girls and their mothers: Clothing decision criteria and body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2), 1689-1699. doi:10.5850/JKSCT.2007.31.12.1689 

  12. Lim, J. Y. (2010). A development of 3D virtual twin and analysis of upper-body obese type for middle-aged women.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자연과학, 21(1), 67-81. 

  13. Statistics Korea. (2017, January 2). 2016년 11월 온라인쇼핑 동향 [The tendency of on-line shopping on November 2016]. Statistics Korea, Retrieved January 12, 2017,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8481 

  14. Tselepis, T., & de Klerk, H. M. (2004). Early adolescent girls' expectations about the fit of clothes: A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Family Ecology and Consumer Sciences, 32, 83-93. doi:10.4314/jfecs.v32i1.5286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