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플랫 라이프>의 모자이크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Mosaic Image of Animation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9, 2017년, pp.465 - 491  

이지현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카툰의 외양적 모습을 충실하게 따르는 애니메이션 <플랫 라이프>를 분석하고, 그 외양의 뒤편에 숨겨진 주제와 서사의 방식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목표로 삼은 연구논문이다. 이 과정에서 모자이크 영상의 내용 전달 방식을 이용해서 <플랫 라이프>가 말하고 있는 주제를 분석한다. 카툰의 서사는 일반적으로 양태적인 부분에서 그 차이점을 논하는 것이 대다수이지만, 이 작품은 나아가 일반 내러티브 영화의 선형적 서사에 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자넷 머레이가 설명하듯, 모자이크적 사고방식(mosaic approach)을 통해 모자이크적 접근방식으로 주제에 다가가는 영상 이미지를 '모자이크 영상'이라 칭한다면, 그들 중 영화(film)의 포맷으로 소개되는 작품을 '모자이크 영화'라고 한정시킬 수 있다. 우선 <플랫 라이프>는 개념적으로 '모자이크 영상'의 특성을 이용하면서, 나아가 '모자이크 영화'의 서사 특징을 활용하는 작품이다. 작품을 분기별로 분석하면, 전반부가 개방된 모자이크 영상 플랫폼의 성향을 한껏 드러내고, 후반부는 영화서사의 선형적 내러티브 방식을 도입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본고는 '멀티 플롯 필름'의 서사 방식을 모자이크 내러티브(mosaic narrative) 영화와, 네트워크 내러티브(network narrative) 영화, 그리고 멀티 드래프트 필름(multi-draft film)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병렬되거나 병치되는 이야기가 함께 엮이는 '네트워크 내러티브 필름'의 서사가 <플랫 라이프>의 결말부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한다. 다시 말해, 초반부가 '앙상블 필름의 확장판'으로서 '모자이크 내러티브' 를 따른다면, 후반부는 충실하게 '네트워크 내러티브'를 따르는 것이다. 주제를 말하는 방식에서도 이 애니메이션 영화는 모자이크 영상의 말하기 방식을 활용한다. 그러므로 카툰의 양태적 성향을 따라서 개방적인 방식으로 '유머' 나 '풍자'의 의미를 도출해낸다고 말할 수 있다. 전반부의 모자이크 내러티브 방식에서 다소 모호한 일상성이 드러난다면, 후반부에서는 선형 서사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인간 이기심의 실체'라는 다소 심도 있는 주제로 나아간다. 이렇듯 풍자화의 외향을 지닌 <플랫라이프>는 실제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어른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사회비판적인 목표를 바라보는 애니메이션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s the short animation film which faithfully follows the external dimension of cartoons, and studies the hidden subject and the way of narrative in the back of the figure. In this process, we analyze the theme of using the analysis method of mosaic image. The narrative of carto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 말해, 본 연구는 ‘모자이크 영상(mosaic image)’이라는 특징을 통해서 요나스 게르네르트(Jonas Geirnaert)의 단편 애니메이션 (FlatLife, 2004)를 들여다보며, 이 작품이 지닌 칸막이식 분할(partition)의 서사 방식이 지향하는 바를 해석하려 한다.
  • 본고는 극영화의 옴니버스 형식을 애니메이션의 모자이크 영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출발해 애니메이션 가지닌 비선형서사의 맥락을 파고들어 분석할 것이다.
  • 본고는 이 과정에서 부각되는 ‘합치되는 이야기’가 무엇인지에 주목하려 한다.
  • 이상에서 본 연구는 의 모자이크 영상 방식을 토대로, 이 작품이 지향하는 모자이크 서사의 방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사만화와 카툰의 서사 방식 차이는 무엇인가? “카툰은 서사만화의 ‘읽는다’ 혹은 ‘본다’는 개념보다, ‘감상한다’ 혹은 ‘생각한다’에 더 가깝다” 2)는 평가는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될 수 있다. 서사만화가 지닌 여러 칸의 이미지가 전달하는 보다 구체적이고 선형적인 서사성과 비교해서 카툰의 서사 방식은 한 칸의 의미를 좀 더 개방적이고 비구조적(nonstructural)으로 밝힘으로써, ‘유머(humor)’나 재치 있는 ‘풍자(satire)’의 의미에 좀 더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상의 카툰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탁월한 카툰(excellent dessin)’은 웃고 생각하게 만드는 작품이라 말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보다 더 나은 ‘최상의 카툰’이 되려면 웃고 생각하고, 거기다 잘못된 것에 대한 창피함(forme de honte)을 느낄 수 있는 장치가 삽입되어야 한다. 대개의 독자들은 심각한 상황에서 웃게 될 때 부끄러운 마음을 갖는다.
<플랫 라이프>가 카툰의 서사 전달 방식과 유사하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4년 칸영화제(Festival de Cannes)의 최우수단편영화(best shot film) 부문 심사위원상(Jury Prize)을 수상한 <플랫 라이프>는, 애니메이션영화로서 보기 드물게 비선형 서사(nonlinear narrative)의 사례를 제시하는 작품이다. 한눈에 보기에도 이 영화는 카툰의 서사 전달 방식과 흡사한 방향성을 취하는데, 이는 영화 전체의 시각적 디자인이 ‘측면도(side view)를 통해 살피는 네 칸 구조’의 사각 틀로 짜여진 탓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네 개의 화면이 동시에 관객들에게 비춰지면서, 각방에서 일어나는 동시다발적 서사진행의 구도를 통해 영화는 일반 애니메이션 필름이 지닌 서사의 선형구조(linear narrative)를 깨트리는 동시에, 다시 재조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성동, 우리 영화 다섯 마당, 글 누림, 2007. 

  2. 마샬 맥루한, 임상원 역, 구텐베르크 은하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3. 자넷머레이, 한용환 역,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2001. 

  4. 정현욱,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시간의물레, 2012. 

  5. 박경철, 카툰과 만평의 유머와 풍자 비교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1호(2013, 6), pp.91-116. 

  6. 안소라, 카툰의 서사 연구 (S.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 이론의 서사의 전제조건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33호(2013, 12), pp.223-246. 

  7. 김금동, 다중 스토리 영화 연구, 문학과영상, 제9권 1호(2008, 4), pp.7-29. 

  8. 이준의, "디지털 미디어 아트를 위한 실시간 모자이크 영상 작품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4, 12). 

  9. Ansen Dibell, Elements of Fiction Writing - Plot, Writer's Digest Books, 1998. 

  10. Francoise Parfait, Video : un art contemporain, Editions du Regard, 2007. 

  11. Gilles Deleuze, Felix Guattari,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 Tome 2, Mille plateaux, Editions de Minuit, 1980. (글자 크기 9로) 

  12. Peter F. Parshall, Altman and After: Multiple Narratives in Film, The Scarecrow Press, 2012. 

  13. Roland Barthes, Communications Volume 11 ; 'L'effet de reel', Seuil, 1968. 

  14. Google, www.google.com, 검색어: Cartoon, 2017년 8월 10일, https://fr.wikipedia.org/wiki/Dessin_humoristique. 

  15. Google, www.google.com, 검색어: time based media, 2017년 8월 10일, https://www.guggenheim.org/conservation/time-based-media. 

  16. Le Parisien, http://www.leparisien.fr, 편집부, 2017년 8월 1일, "Attentat a > : Tignous, discret mais feroce", http://www.leparisien.fr/charlie-hebdo/attentat-a-charlie-hebdo-tignous-discret-mais-feroce-08-01-2015-4428299.php. 

  17. NAVER, www.naver.com, 검색어: 영화 그랜드 호텔, 2017년 8월 14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840&cid40942&categoryId33098. 

  18. NAVER, www.naver.com, 검색어: 영화 세가지 시대, 2017년 8월 14일,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8879. 

  19. (Flat Life, 2004). 

  20. (Tramagem, 199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