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층간 삽입반응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과정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Adsorption Process of VOCs in the Materials Prepared from the Intercalation Reactio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4, 2017년, pp.799 - 806  

안범수 (대진대학교 생명화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점토를 이용하여 세 종류의 새로운 형태의 변형된 유기물점토를 제조하였다. Cetylpyridinium chloride (CPC)를 점토에 층간 삽입시켜 OC-CPC를 합성하였고, Aluminium 축을 갖는 Al-PILC 만든 후, cetylpyridinium chloride를 Al-PILC에 삽입시켜 IOC-CPC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IR과 TGA를 이용하여 이들 구조를 분석한 결과 층간 삽입반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ay 회절을 이용하여 층간 거리를 조사하였는데 OC-CPC가 제일 큰 값을 보여 주었다. 층간 구조를 갖는 화합물들은 삽입반응을 이용하여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층간거리, 표면적, 공간 크기, 화학적 친화성 같은 여러 물리적 성질들을 바꿀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자연점토를 이용하여 층간 반응을 통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에 쓰일 수 있는 유용한 유기점토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들의 구조를 확인코자 하였다. 벤젠톨루엔의 흡착은 IOC-CPC나 Al-PILC에서 보다 OC-CPC에서 더 잘 이루어졌으며, 자연점토에서는 거의 흡착이 일어나지 않았다. OC-CPC 화합물에서는 친 소수성 성질이 크고 층간 거리도 증가했기 때문에 흡착이 잘 일어났다고 볼 수 있으며, 반면에 친수성이 큰 Al-PILC에서는 벤젠과 톨루엔 같은 휘발성 유기물에 대한 흡착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tential use of modified clays in the adsorption of vapor phase benzene and toluene was investigated. The modified clays OC-CPC, IOC, and Al-PILC were prepared for comparative purposes and were characterized using infrared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X-ray diffraction. It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변형된 구조를 갖는 점토를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인 벤젠과 톨루엔이 흡착하는 문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층간화합물로는 cetylpyridinium chloride (CPC)를 이용하였으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하는 과정을 Infrared spectroscopy, Thermogrvimetric analysis.

가설 설정

  • 제올라이트의 비 가연성, 열적 안정성, 소수성 특징은 흡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물에 낮은 친화성을 띄는데 이는 유용한 물리적 성질로써 물이 존재할 때는 용매/소수성 제올라이트 시스템에서 흡착량이 감소하지만 수증기가 흡착 반응역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탄소흡착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어 기술에서 널리 이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물리적 흡착을 통해 유입가스로부터 탄소의 표면으로 제거된다. 이 시스템은 최대유량과 예상 농도에 따라 규모가 결정되며 비교적 낮은 휘발성 물질의 농도에서도 효율이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무엇인가?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le organic compounds, VOC)은 주요 대기 오염물질 중 하나로 주위 환경에 해로운 작용을 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은 증기압이 높아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일컫는데 생태계, 인류보건, 그리고 대기환경에 모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친다. 대다수의 VOC는 복잡한 광화학 반응을 거처 초기물질 보다 더 큰 독성을 가진 이차 부산물을 발생하기도 하고 온난화의 원인물질도 되므로 국가마다 배출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VOC가 배출되는 공정과 장치의 개조와 같은 일련의 청정기술로의 전환 노력은 무엇인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VOC가 배출되는 공정과 장치의 개조와 같은 일련의 청정기술로의 전환 노력이 있다. 공정에 이용되는 물질중 휘발성 물질의 배출을 유발하는 화합물을 대체 물질로 교체하거나, 발생을 최소화하는 공정 조건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1-3]. 또 다른 방법으로는 VOC 제어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국가마다 VOC 배출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은 증기압이 높아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일컫는데 생태계, 인류보건, 그리고 대기환경에 모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친다. 대다수의 VOC는 복잡한 광화학 반응을 거처 초기물질 보다 더 큰 독성을 가진 이차 부산물을 발생하기도 하고 온난화의 원인물질도 되므로 국가마다 배출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벤젠, 테트라클로르에틸렌과 같은 몇몇 VOC들은 잠재적인 발암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때로는 대기오염 물질인 오존의 전구물질로도 작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H. Lee, J. W. Lim, Y. J. Rhim, and S. K. Ryu, "Design standard of activated carbon vessel for the emmision sourc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J. of Kor. Soc. for Atmophere Environ., vol.23, No.2, pp. 250-257, (2007). 

  2. E. K. Kang, B. M. Lee, S. G. Oh, and B. M. Lee, "A novel cationic surfactant having two quternary ammonium ions", J. Ind. Eng. Chem., vol.17, pp. 845-850, (2011). 

  3. M. Kosuko and C. M. Nunez, "Destru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catalytic oxidation", J. Air Waste Manage. Assoc. vol.40, pp. 254-259 (1990). 

  4. A. Kaya and Y. Yukaselen, "Zeta potential of soils with surfactants and its relevance to electrokinatic remediation", J. Hazard Mater., vol.81, pp. 119-125, (2005). 

  5. J. S. Ko, J. H. Lee and K. C. Sung, "A study on the powders for makeup cosmetics", J. Kor. Oil Chem. Soc., vol.29, No.2, pp. 286-290, (2012). 

  6. Y. Hayashi, J. J. Rode, and E. J. Corey, "A novel super Lewis acidic catalyst for the enatioselectiv synthesis", J. Am. Chem. Soc., vol.118, pp. 5502-5510, (1996). 

  7. G. Deiiagri and G, Mascolo, "Hydrothermal synthesis of zirconiayttrium solid solutions", J. Euro. Cer. Soc., vol.20, pp. 139-145, (2000). 

  8. J. J. Choi, N. U. Kim, C. Y. Ahn, and K. C. Song, "reparation of hard coating films with high refrective index using organicinorganic hybrid coating solutions", Kor. Chem. Eng. Res., vol.52, No.3, pp. 388-394, (2014). 

  9. S. S. Choi, M. J. Kim. Y. S. Lee, and H. J. Cha, "Enhancement of nitrate removal ability in aqueous phase", J. Indus. and Eng. Chem., vol.26, No.5, pp. 604-610 (2015). 

  10. W. Wang and L Wang, "Properties and gluocoamide based tetrasilicone surfactants", J. Disp. Sci. Tech., vol.33, pp. 654-658 (2012). 

  11. S. B. Kye and S. N. Park, "Morp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rough hydroxyapatie powder surface composite", Appl. Chem. Eng. vol.27, No.3, pp. 299-305, (2016). 

  12. H. Ji, D. H. Kim, H. J. Park, H. M. Lim, and Y. H. Kim, "Preparation of alumina -silica composite coatings by electroplatic deposition", J. Kor. Ceram. Soc., vol.51, No.3, pp. 177-182, (2014). 

  13. J. Y. Song, H. J. Lee, S. B. KIm, and Y. M. Jo, "Catalytic oxidation of toluene over Pd-activated alumina catalysts", J. Kor. Oil Chem. Soc., vol.29, No.2, pp. 339-343, (2012). 

  14. S. I. LiM, N. J. Kim, S. H. Lee, and S. U. Kim, "Development of VOC treatment technology using high efficiency hybrid system", Kor. Soc. of Environmental Eng., vol.31, No.7, pp. 491-498 (2009). 

  15. S. J. Park and S. H. Lee, "A study on the biological treatment of acid picking wastewater containing nitrate nitrogen", J. of Kor. Soc. on Waste Environ., vol.31, No.3, pp. 253-258, (2015). 

  16. G. T. Cheong, S. H. Park, and D. H. Park, "Effect of factors of nitrification process in wastewater treatment", Kor. J. Biotech. and Bioeng., vol.24, pp. 296-299, (2009). 

  17. S. J. Lee, J. H. Kim, and J. Y. Song, "A study on the removal of nitrate nitrogen by redox reaction of zink in acidic atmosphere", J. Kor. Oil Chem. Soc., vol.33, No.3, pp. 441-446, (2016). 

  18. T. Thongten and A. Phuruangrat, "Characterization of nanosaturated zirconium oxide produced by microwave radiation", Ceram. Int., vol.36, pp. 257-261, (2010). 

  19. O. Tundo and M. Selva, "The chemistry of dimethyl cabonate", Acc. Chem. Res., vol.35, pp. 706-710, (2002). 

  20. B. U. Bae, "Application of ion exchange process for removing nitrate from groundwater", J. of Institute of Indus. Tech., vol.11, No.2, pp. 149-153, (2000). 

  21. J. K. Cho, "Characteristics of nitrogen and phosphorous removel by olivine", J. Kor. Soc. Urban Environ., vol.10, No.3, pp. 247-252, (2010). 

  22. C. Lee, S. W. Cha, and T. K. Lee, "Activated carbon photocatalytic hybrid system for the VOC in the exhaust gas", J. Energy Soc., vol.14, No.2, pp. 133-13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