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ships between the Hairdressing Business Work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on Job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4, 2017년, pp.1004 - 1015  

우미옥 (창신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박선이 (창신대학교 미용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미용실 직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조직 성과로서 직무 만족에 대한 조직 의사 소통의 효과를 결정하려고 연구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경남의 뷰티 살롱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의 의사 소통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다른 요인에 비해 의사 소통 능력이 직업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40 세 이상과 고졸 이하와 결혼 한 그룹에서 조직 간 의사 전달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 산업에서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는 등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개인의 특성과 조직 의사 소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적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job satisfaction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beauty salon employees as related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empir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beauty salon employees in Gye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성과로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특히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규명을 통하여 헤어미용업의 경영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헤어미용업의 인적자원 관리 즉,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 상태에 초점을 맞추어 효율적인 경영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 연구가설2 :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특성에 따라 다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은 무엇인가? 국내 서비스업의 꾸준한 증가로 인해 차별화된 고객가치와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핵심적인 원동력으로서 인적자원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져가고 있다[1]. 인적자원관리의 일환으로 조직커뮤니케이션은 조직구성원들이 일체감과 소속감을 가지고, 조직업무를 공유하며, 조직분위기를 활력있게 하여 조직응집성을 제고하는 기본적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조직의 구성원들이 원활한 조직생활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며,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높아지면 조직 구성원간의 관계가 원활해지고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며, 조직에 대한 몰입의 정도도 높아진다[2,3].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은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행동지 식을 드러내 보일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함으로 써 능력의 실행관점을 취하고 있다[9].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행동들을 실행하는 능력에 대해서는 효과성으로서의 능력을 상 정한 것이라 볼 수 있다[10].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는 무엇인가? 먼저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다른 요인들과 비교하여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소유자 즉, 분위기나 대화 상대에 따라 대화를 잘 이끌어 가며 자신의 의견을 잘 표현하여 의사소통을 통해 호감을 얻는 종사자가 헤어미용업의 직무만 족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Y. J. Jeon,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f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management on coping strategy and self-efficacy : Media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Seoul, (2012). 

  2. M. D. Crino & M. C. White, Satisfaction in communic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49, pp. 55-68, (1981). 

  3. B. H. Mueller & J. Lee, "Leader-member ex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multiple contexts".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39, No2 pp. 220-244, (2002). 

  4. H. B. Bang & I. S. Lim,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job performance upon the beautician's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hair designer",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6, No.1 133-160, (2005). 

  5. M. K. Lee & J. H. Cho, "Effects of differences in lexical perception of communication for hair cut services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17, No.3 163-174, (2016). 

  6. D. Katz & R. L. Kahn,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New York: Willey, (1996). 

  7. P. K. Tompkins, Functions of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Handbook of Rhetorical and Communication. Allen & Bacon, (1984). 

  8. J. D. Lewis, "Simulating alternative development strategies: Some suggestions from korea's experience",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Melo, Jaime De Robinson, Sherman, No.l, Vol. 3. (1987). 

  9. Luthans, F. Organizational Behavior. McGraw-Hill Inc. (1992). 

  10. Wiemann, J. M. A relational model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n B. Kovacic(Eds.). Emerging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11. C. Argyis, "Exploration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 comparative study of man and women", Communication Monographs, 46, pp. 101-111, (1965). 

  12. D. Y. Ko, The influence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mong employees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ts influences on their behavior after conflic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Seoul, (2008). 

  13. J. C. McCroskey, O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A Reconceptualization. Communication Review and Commentaries, Vol.42, No.3 pp. 136-139, (1982). 

  14. M. S. Cho, A Study o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on job effectiveness in police officers.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Asan, (2013). 

  15. M. Y. Kim,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a hotel organization on role clarity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Seoul, (2013). 

  16. C. W. Downs & M. D. Hazen,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14, No.3 pp. 63-73, (1977). 

  17. S. R. Jung,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shared valu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11). 

  18. E. A. Lock,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IL: Rand McNally, (1976). 

  19. R. N. Osborn, G. H. James, R. J. L. awrence, Organization theory: An integrated approach, N.Y.: John Wiley & Sons, (1980). 

  20. L. J. Williams & S. E.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3 pp. 123-138, (1991). 

  21. H. Y. Kim & S. S. Hwang, A study on the effect of nail service manuals on nailist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nail care shop.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Beauty and Art, Vol.8, No.1 pp. 135-153, (2007). 

  22. J. D. Pincus,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 No.3 pp. 395-419, (1986). 

  23. F. Potvin, Employe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examination of its relationship to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the constru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Vol.95, No.5 603-609. Potvin, T. C. (1991). 

  24. McCroskey, J. C. "O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A reconceptualization", Communication Review and Commentaries, Vol.42, No.3 pp. 136-139, (1982). 

  25. B. H. Spitzberg & W. R. Cupach,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Y: Springer-Verlag, (1989). 

  26. J. K. Lee & Y. J. Cho,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on job satisfac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Vol.15 pp. 716-739, (2015). 

  27. S. J. Park, "A study organizational informal communication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y hotel industry", Tourism Research, Vol.41, No.1 pp. 85-103, (2016). 

  28. Richmond, V. P. & McCroskey, J. C. Management communication style, tolerance for disagreement, and innovativeness as predictors of employee satisfaction. Communication Yearbook, Vol.3 pp. 359-373, (1979). 

  29. R. B. Rubin, P. Palmgreen, and H. E. Sypher, Communication research measures: A source book.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4). 

  30. J. R. Hackman & E. E. Lawler, "Employee reactions to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5, No3 pp. 259-286, (1991). 

  31. S. I. Chae, Social Science Search Methodology, Seoul: Bobmunsa,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