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석유계 에너지원의 열량 및 탄소배출계수 변화 특성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Calorific Value and Carbon Emission Factor of Domestic Petroleum Energy Sourc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4, 2017년, pp.1046 - 1057  

도진우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 ,  임완규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 ,  강형규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 ,  황인하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 ,  하종한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 ,  나병기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Tier 2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IPCC 기본값 대신 국가 고유의 배출계수가 개발 및 이용되어야 한다. 국가 고유 배출계수는 에너지원 종류, 에너지 공정, 시간 추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각 에너지원별 특성값을 파악하는 것은 정확한 인벤토리 구축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석유계 에너지원의 물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으며, 국내에서 고시되고 있는 에너지원별 열량환산기준 상의 석유계 에너지원에 대한 열량 및 탄소배출계수를 2013년과 2016년에 실제 시료를 수집하여 발열량, 탄소함량 및 탄소배출계수를 산정한 결과값과의 비교분석에서는 대체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유계 에너지원별로 산출된 순발열량과 탄소배출계수는 2006 IPCC Guideline에 나타낸 값들과 비교하였으며, 대부분의 에너지원이 2006 IPCC G/L의 기본값 및 상한, 하한 범위내의 값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untry-specific emission factor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instead of IPCC defaults to improve national GHG inventories to Tier 2 and above. Since the country-specific emission factors depend on the type of energy source, energy process, and time trend, identifying the value of each energy sou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고시되고 있는 에너지원별 열량환산기준 상의 석유계 에너지원에 대한 열량 및 탄소배출계수를 2013년과 2016년에 실제 시료를 수집하여 발열량, 탄소함량 및 탄소배출계수를 산정한 결과값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석유계 에너지원별로 산출된 순발열량과 탄소배출계수는 2006 IPCC Guideline에 나타낸 값들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 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95 % 이상은 CO2 배출량이 차지하는 까닭은? 에너지 분야는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85 %, 이산화탄소(CO2) 배출의 90 % 이상의 기여도를 보이며[1-3], 온실가스 배출인벤토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에너지 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95 % 이상은 CO2 배출량이 차지하는데, 이는 연소과정에서 대부분의 탄소가 CO2로 즉시 배출되기 때문이다.[1][3]
CO2 배출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은? CO2 배출계수는 연료의 탄소 함유량에 의존하며, CO2 배출량은 연료의 종류, 연소된 양, 연료의 배출계수를 기준으로 가장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O2 배출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발열량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게 된다.
CO2 배출계수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열량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또한, CO2 배출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발열량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게 된다. 발열량은 연료가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으로 연소 가스 중의 수증기가 갖는 응축 잠열 및 현열을 포함하는 총발열량(gross calorific value)과 응축 잠열 및 현열을 제외한 순발열량(net calorific value)으로 구분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W. G. Lim, J. W. Doe, H. K. Kang, J. H. Ha and S. S. Lee, "Development of Calorific Values and Carbon Emission Factors for Petroleum Energy in Korea from 2012 to 2013",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30, No.4 pp. 301-310, (2014). 

  2. W. G. Lim, J. W. Doe, H. K. Kang, J. H. Ha and S. S. Lee, "CO2 Emission Characteristics of Bunker C Fuel Oil by Sulfur Cont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31, No.4 pp. 368-377, (2015). 

  3.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Greenhouse Gas Inventory & Research Center of Korea, (2011). 

  4. S. D. Kim, S. H. Na, "Calculation Method of the Emission of Green Hous Gas", The Magazine of the IEEK, Vol.35, No.11 pp. 67-73, (2010). 

  5. T. H. Kim, S. I. Lee, Y. I. Kim, J. H. Rho, "Comparison Study of Generated Greenhouse Gas(GHG) Amount Estimation from Road Transportation", J. of Korean Soc. Civ. Eng., Vol.58, No.9 pp. 67-73, (2010). 

  6. H. K. Kang, J. W. Doe, J. H. Ha and B. K. Na, "A Study on Property and CO2 Emission Factor of Domestic Transportation Fuel",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ol.23, No.3 pp. 72-81, (2014). 

  7. H. S. Eggleston, L. Buendia, K. Miwa, T. Ngara, and K. Tanabe,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1-2, IGES, (2006). 

  8. S. J. Kim, J. W. Lee, S. H. Lee, J. H. Sa, B. S. Choi and E. C. Jeon,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Method for Anthracite and CO2 Emission Factor to Improve the Quality of National GHG Inventory", Climate Change Research, Vol.4, No.1 pp. 27-39, (2013). 

  9. KS M ISO 12185, "Crude petroleum and petroleum products - Determination of density - oscillating U-tube method",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orea, (2013). 

  10. KS M ISO 8754, Petroleum products - Determination of sulfur content -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method,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orea, (2016). 

  11. KS M ISO 12937, Crude petroleum and petroleum products - Determination of water - Coulometric Karl Fischer titration method,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orea, (2013). 

  12. KS M 2057, Crude petroleum and petroleum products - Determination and estimation of heat of combustion,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orea, (2016). 

  13. ASTM D 5291, Standard test methods for instrumental determination of carbon, hydrogen, and nitrogen in petroleum products and lubricant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US, (2016). 

  14. H. K. Kang, J. W. Doe, W. G. Lim, I. H. Hwang, J. H. Ha and B. K. Na, "The analysis of Change on Property and CO2 Emission Factor of Domestic Transportation Fuel from 2012 to 2013", Journal of Korean Oil Chemists' Society, Vol.33, No.4 pp. 853-861, (2016). 

  15. Petroleum and Petroleum Substitute Fuel Business Act, Korea,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