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교신도시 완충녹지의 입지와 이용만족도 연구
A Study on Loca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the Green Buffer Zone in Gwanggyo New Tow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6, 2017년, pp.21 - 33  

김주옥 (경기도시공사) ,  최원빈 (단국대학교 대학원) ,  신지훈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basic data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users in the placement and creation of the Green Buffer Zone.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started on the Green Buffer Zone in Gwanggyo new town, which was rebuilt as the zone to 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광교 신도시 완충녹지의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이용행태 및 완충녹지 시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완충녹지 기능의 중요도 및 만족도, 주변 토지이용과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완충녹지 현황 분석 및 이용 특성을 종합한 결과를 토대로 완충녹지 활용방 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완충녹지의 배치 및 조성 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둔다.
  • 첫째, 완충녹지의 법적 설치 기준 및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광교 신도시 완충녹지 현황을 분석하여 이용행태 및 완충녹지의 기능을 분류하고자 한 다. 셋째, 광교 신도시 완충녹지의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이용행태 및 완충녹지 시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완충녹지 기능의 중요도 및 만족도, 주변 토지이용과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완충녹지를 이용을 배제하는 공간으로 계획하였으나, 시대적 변화에 따라 완충녹지 일부를 이용하는 공간을 재 조성한 사례에 주목하여 광교 신도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녹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로는 접근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연구가 많이 나타났고 이용자 만족도 분석 및 평가 방법을 통해 녹지 이용행태를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 조성된 완충녹지의 현황 파악 및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 따라 완충녹지의 기능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 최근 조성된 신도시의 사례를 통해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완충녹지의 기능 및 설치 기준을 재설정하였고 이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안하고 완충녹지의 설계 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는 광교 신도시 완충녹지 일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신도시 또는 기존 도시의 완충녹지 전체를 대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둘째, 광교 신도시 완충녹지 현황을 분석하여 이용행태 및 완충녹지의 기능을 분류하고자 한 다. 셋째, 광교 신도시 완충녹지의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이용행태 및 완충녹지 시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완충녹지 기능의 중요도 및 만족도, 주변 토지이용과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완충녹지 현황 분석 및 이용 특성을 종합한 결과를 토대로 완충녹지 활용방 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넷째, 완충녹지 현황 분석 및 이용 특성을 종합한 결과를 토대로 완충녹지 활용방 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완충녹지의 배치 및 조성 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완충녹지의 법적 설치 기준 및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광교 신도시 완충녹지 현황을 분석하여 이용행태 및 완충녹지의 기능을 분류하고자 한 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녹지 기능적 측면에서 녹지를 구분하면?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녹지는 녹지 기능적 측면에서 녹지를 구분하여 완충녹지, 경관녹지, 연결녹지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현재 조성되는 녹지들은 본래의 기능에 대해서만 충실하게 조성되고 있다.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완충녹지의 기능 및 설치 기준에 따른 활용방안은? 첫째, 계획단계에서 완충녹지 배치 시 이용자 이용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주변 토지이용을 고려해 보행의 단절이 없도록 녹지 주변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하거나 녹지 내 보행자 도로를 중복 지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연결녹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공공시설을 연결하고 소규모 가로공원으로서 기능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인접 단지와 완충녹지 조성시기 차이, 상위 계획 변경 등으로 이용자 특성을 모두 예측해 반영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완충녹지 기능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용도에 맞는 계획 시설을 지정 및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조성 단계에서 완충녹지 기능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이용 특성을 고려한 조경시설을 제한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이용자 요구에 따라 무분별하게 이용시설을 도입할 경우, 녹지의 단절 및 파편화 등으로 녹지 본래의 기능을 충족 시키기 곤란하며, 설문조사 결과 이용자는 완충 기능을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완충녹지 본래의 기능을 충족하는 범위 내 에서 이용 기능을 반영하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녹지를 가로지르는 보행통로를 설치할 경우, 이용자 간 형평성 및 공공성, 불가피성 등 복합적 검토가 필요하며 제한적인 설치가 요구된다. 녹지와 나란히 조성하는 보행통로 또는 산책로를 설치할 경우, 녹화 면적률을 확보 하는 범위 내에서 수목 사이에 배치해 보행의 쾌적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수목을 선정할 경우, 공해 또는 소음 차단 수목뿐만 아니라 녹음수, 사계절 개화 수종 등 휴게 및 경관을 고려한 수종을 선정하고 배식하는 것을 제안한다. 셋째, 조성 이후 단계에서 이용자 요구 및 녹지 훼손 등에 따라 이용 기능을 추가하여 재 조성할 경우에 대상지의 우선순위를 정해 반드시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여 이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조경시설을 제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무분별한 녹지 잠식을 방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완충녹지란? 완충녹지란「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기오염, 소음, 진동, 악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공해와 각종 사고나 자연재해, 그밖에 이에 준하는 재해 등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이다(Table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DA.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 and Utilization of Urban Green Facilities as Lineger Park-Based on first-generation metroploitan new towns,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7-5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Hwang JH. 1999. Space Types and Using Programs of the Urban green bufferery System in Cheongju,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8(2):205-21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Huh KS. 2013. Effects of Changes in Green Buffers on Abutting Buildings : focused on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tersection in Yangjae Residential Development District, Seoul,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in Korean) 

  4. Jang JH. 2015. Analysis of Users'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Designs of Parks in Gwanggyo New Town,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Dankook University, (in Korean) 

  5. Jang YY. 2012. The Study on Activation and Utilization Plan of Commercial Sideroad,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in Kore an) 

  6. Kim YY . Lee KJ . Choi JW and Han BH. 2008. Planting Improvement and Contribution to Greenspace Function by Use of Roadside green buff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3):39-5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Lee JH. 2011. Study on the citizen's evaluation for urban parks and greens in Bu-cheon city,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 Korean)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A Study on the Question and Answer of Urban Parks and Green Space, (in Korean)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Sustainable New City Planning Standards, (in Korean) 

  10. Park HA. 200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Greenery and User's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Spaces in Tae-gu Metropolitan City,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Daegu Catholic University, (in Korean) 

  11. Seong HH. 2010. Study on the citizen's evaluation for urban parks and greens in uijeongbu city,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 Korean) 

  12. Yeom SJ. and Park CI. 2011. Satisfaction Experienced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ir Component and Arrangement-A Case Study on Tama Newtow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5): 12-2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77907 

  13.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3, Landscape design standard: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hecture,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