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멸구 저항성 품종벼에서 벼멸구의 생명표 분석
Life Table Analysis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ål (Hemiptera: Delphacidae) on Rice of Resistant Cultivar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4, 2017년, pp.526 - 532  

최낙중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정인홍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권덕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최만영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백채훈 (국립식량과학원 기획조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로 유입되어 벼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인 벼멸구의 감수성 및 항충성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품종별 발육기간, 성충 수명, 산자수, 생명표 등을 조사하였다. 벼 품종별 발육실험에서 난기간은 품종에 상관없이 9일 정도로 조사되었고, 전체 약충기간은 품종별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육단계별 우화율의 경우 Bph1 유전자를 가진 장성벼가 36%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Bph2 유전자를 가진 친농벼의 경우 우화율이 70%로 가장 높았으며 감수성 품종인 동진 1호는 50%의 우화율을 나타냈다.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품종을 섭식한 벼멸구의 경우 발육기간과의 연관성은 낮지만, 탈피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된다. 벼멸구의 생식과 관련하여 품종에 따라 산란전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란기간은 $23.1{\pm}2.88$일로 동진 1호가 가장 길었고 Bph2 유전자를 가진 친농벼와 중모 1045는 각각 $19.3{\pm}2.26$일, $18.9{\pm}2.03$일로 통계적으로 유사하였다. 그에 비해 Bph1 유전자를 가진 청청벼와 장성벼의 산란기간이 짧았으며, 특히 장성벼는 $4.7{\pm}1.46$일로 가장 짧았다. 암컷 수명과 산자수는 산란기간과 동일한 경향으로 조사되어 청청벼와 장성벼에서의 벼멸구의 생식능력이 다른 품종에 비해 낮음을 확인하였다. 생명표 분석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순증가율은 중모 1045 ($64.51{\pm}25.414$), 친농벼($51.61{\pm}28.558$), 동진 1호($43.25{\pm}13.952$), 청청벼($11.02{\pm}7.497$), 장성벼($2.51{\pm}3.620$) 순으로 낮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 중모 1045 ($0.196{\pm}0.0155$), 친농벼($0.181{\pm}0.0246$), 동진 1호($0.172{\pm}0.0179$), 청청벼($0.127{\pm}0.0402$), 장성벼($0.048{\pm}0.0582$) 순이었다. 기간자연증가율은 순증가율과 같은 순서였고, 평균세대기간은 동진 1호, 친농벼, 중모 1045, 장성벼, 청청벼 순이었으며, 배수기간은 장성벼에서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모든 품종에서 유의했다. 종합해 보면 장성벼의 경우 벼멸구가 번식하는 데 있어서 다른 품종에 비해 가장 불리하며, 저항성 유전자가 있지만 친농벼와 중모 1045는 벼멸구의 번식에 있어서 감수성 품종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한 품종 간에서도 벼멸구의 가해능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벼멸구 방제를 위한 저항성 품종 육종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고, 저항성 유전자가 어떠한 기작을 통하여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velopment,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brown planthopper (BPH) Nilaparvata lugens $St{\aa}l$ (Hemiptera: Delphacidae), were studied in laboratory at $25{\pm}2^{\circ}C$, $65{\pm}5%$ RH and a 16L : 8D hours photoperiodism on five rice cultivars of: Dongjin 1ho,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벼 5 품종에 대한 벼멸구의 감수성 및 항충성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이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벼 품종별 벼멸구의 생명표 매개변수를 항충성의 지표로 활용하고 데이터를 토대로 벼멸구의 가해능력을 검정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인 벼멸구의 감수성 및 항충성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국내로 유입되어 벼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인 벼멸구의 감수성 및 항충성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품종별 발육 기간, 성충 수명, 산자수, 생명표 등을 조사하였다. 벼 품종별 발육실험에서 난기간은 품종에 상관없이 9일 정도로 조사되었고, 전체 약충기간은 품종별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육단계별 우화율의 경우 Bph1 유전자를 가진 장성벼가 36%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Bph2 유전자를 가진 친농벼의 경우 우화율이 70%로 가장 높았으며 감수성 품종인 동진 1호는 50%의 우화율을 나타냈다.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품종을 섭식한 벼멸구의 경우 발육기간과의 연관성은 낮지만, 탈피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된다. 벼멸구의 생식과 관련하여 품종에 따라 산란전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란기간은 23.1±2.88일로 동진 1호가 가장 길었고 Bph2 유전자를 가진 친농벼와 중모 1045는 각각 19.3±2.26일, 18.9±2.03일로 통계적으로 유사하였다. 그에 비해 Bph1 유전자를 가진 청청벼와 장성벼의 산란 기간이 짧았으며, 특히 장성벼는 4.7±1.46일로 가장 짧았다. 암컷 수명과 산자수는 산란기간과 동일한 경향으로 조사되어 청청벼와 장성벼에서의 벼멸구의 생식능력이 다른 품종에 비해 낮음을 확인하였다. 생명표 분석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순증가율은 중모 1045 (64.51±25.414), 친농벼(51.61±28.558), 동진 1호 (43.25±13.952), 청청벼 (11.02± 7.497), 장성벼 (2.51±3.620) 순으로 낮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 중모 1045 (0.196±0.0155), 친농벼 (0.181±0.0246), 동진 1호 (0.172±0.0179), 청청벼 (0.127±0.0402), 장성벼 (0.048±0.0582) 순이었다. 기간자연증가율은 순증가율과 같은 순서였고, 평균세대기간은 동진 1호, 친농벼, 중모 1045, 장성벼, 청청벼 순이었으며, 배수기간은 장성벼에서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모든 품종에서 유의했다. 종합해보면 장성벼의 경우 벼멸구가 번식하는 데 있어서 다른 품종에 비해 가장 불리하며, 저항성 유전자가 있지만 친농벼와 중모 1045는 벼멸구의 번식에 있어서 감수성 품종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한 품종 간에서도 벼멸구의 가해능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벼멸구 방제를 위한 저항성 품종 육종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고, 저항성 유전자가 어떠한 기작을 통하여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벼멸구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ål)는 국내를 포함하여 아시아 전역과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남태평양군도 등 벼 재배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Hinckley 1963; Abraham et al. 1975; Fernando 1975; Chen and Cheng 1979), 열대지방에서는 연중 발생하지만 월동이 불가능한 한국과 일본에서는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저기압 기류를 타고 비래하는 벼의 주요한 흡즙성 해충이다(Park et al.
벼멸구는 어떤 해충인가? 벼멸구는 벼를 흡즙하여 직접적인 피해를 주며 (Sogawa and Cheng 1979) 대발생할 경우 “hopperburn”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Bae and Pathak 1970), ragged stunt virus와 grassy stunt virus를 매개하여(Ling 1972; Hibino et al. 1985;Cabauatan et al. 2009) 간접적인 피해를 주는 벼의 주요해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braham CC and MRGK Nair. 1975. The brown planthopper outbreaks in Kerala, India. Rice Entomol. Newsl. 2:36. 

  2. Alam SN and MB Cohen. 1998. Detection and analysis of QTLs for resistance to the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in a doubled-haploid rice population. Theor. Appl. Genet. 97:1370-1379. 

  3. Awmack CS and SR Leather. 2002. Host Plant Quality and Fecundity in Herbivorous Insects. Annu. Rev. Entomol. 47: 817-844. 

  4. Bae SH and MD Pathak. 1970. Life history of Nilaparvata lugens (Homoptera: Delphacidae) and susceptibility of rice cultivars to its attacks. Ann. Entomol. Soc. Am. 63:149-155. 

  5. Bandong JP and JA Litsinger. 2005. Rice crop stage susceptibility to the rice yellow stemborer Scirpophaga incertulas (Walker) (Lepidoptera: Pyralidae). Int. J. Pest Manage. 51: 37-43. 

  6. Cabauatan PQ, RC Cabunagan and IR Choi. 2009. Rice viruses transmitted by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In Planthoppers: New Threats to the Sustainability of Intensive Rice Production Systems in Asia. (Heong KL and B Hardy eds.). Int. Rice Res. Inst., Los Banos, Philippines. pp. 357-368. 

  7. Chen CN and CC Cheng. 1979. Ecological physiology of rice plant attacked by brown planthopper. 1979: Symp. on Rice Productivity. pp. 135-146. 

  8. Cohen MB, SN Alam, EB Medina and CC Bernal. 1997.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resistance in rice cultivar IR64: mechanism and role in successful N. lugens management in Central Luzon, Philippines. Entomol. Exp. Appl. 85:221-229. 

  9. Dikshit AK, SS Misra and L Lal. 1985. Persistence of chlorpyrifos residues in potatoes and the effect of processing. Potato Res. 28:461-468. 

  10. Dyck VA, BC Misra, S Alam, CN Chen, CY Hsien and RS Rejesus. 1979. Brown Planthopper: Ecology of the brown planthopper in the topics. pp. 61-98. 

  11. Fernando HE. 1975. The brown planthopper in Sri Lanka. Rice Entomol. Newsl. 2:34-36. 

  12. Fujita D, A Kohli and F Horgan. 2013. Rice resistance to planthoppers and leafhoppers. Crit. Rev. Plant Sci. 32:162-191. 

  13. Haines CP. 1977. Th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 a bibliography of recent literature and a review of its biology and control on potatoes in the field and in store. Tropical Products Institute. London. United Kingdom. 

  14. Hibino H, T Usugi, T Omura, T Tsuchizaki, K Shohara and M Iwasaki. 1985. Rice grassy stunt virus: a planthopper-borne circular filament. Phytopathology 75:894-899. 

  15. Hinckley AD. 1963. Ecology and control of rice planthoppers in Fiji. Bull. Entomol. Res. 54:467-481. 

  16. Hu LX, H Chi, J Zhang, Q Zhou and RJ Zhang. 2010. Life-Tabl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Nilaparvata lugens (Hemiptera: Delphacidae) on Two Wild Rice Species. J. Econ. Entomol. 103:1628-1635. 

  17. Hwang IC, JH Kim and YH Song. 2002. Changes in the Fitness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Homoptera: Delphacidae) to Several Resistant Rice Varieties after Multigenerational Selection. Korean J. Entomol. 41:113-121. 

  18. Kim DS and JH Lee. 2002. Egg and Larval Survivorship of Carposina sasakii (Lepidoptera: Carposinidae) in Apple and Peach and Their Effects on Adult Population Dynamics in Orchards. Environ. Entomol. 31:686-692. 

  19. Kim YH, JO Lee, HC Park and MS Kim. 1985. Plant Damages and Yields of the Different Rice Cultivars to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 in Fields. Korean. J. Plant Prot. 24:79-83. 

  20. Kiritani K. 1979. Pest-management in rice. Ann. Rev. Entomol. 24:279-312. 

  21. Ling KC. 1972. Rice Virus Diseases. Int. Rice Res. Inst., Manila, Philippines. 

  22. Liu Z, D Li, P Gong and K Wu. 2004. Life Table Studies of the Cotton Bollworm, Helicoverpa armigera (Hubner) (Lepidoptera: Noctuidae), on Different Host Plants. Environ. Entomol. 33:1570-1576. 

  23. Llanderal-Cazares C, A Lagunes-Tejada, JL Carrillo-Sanchez, C Sosa-Moss, J Vera-Graziano and H Bravo-ojica. 1996. Susceptibility of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to insecticides. J. Entomol. Sci. 31:420-426. 

  24. Morgan D, KFA Walters and JN Aegerter. 2001. Effect of Temperature and Cultivar on Pea Aphid, Acyrthosiphon pisum (Hemiptera: Aphididae) Life History. Bull. Entomol. Res. 91:47-52. 

  25. Mou BQ and YB Liu. 2004. Host plant resistance to leafminers in lettuce. J. Am. Soc. Hortic. Sci. 129:383-388. 

  26. Naimov S, S Dukiandjiev and R de Maagd. 2003. Ahybrid Bacillus thuringiensis delta-endotoxin gives resistance against a coleopteran and a lepidopteran pest in transgenic potato. Plant Biotechnol. J. 1:51-57. 

  27. Park JS and JO Lee. 1976. Studies on rice damage due to time migration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in Korea. Rice Entomol. Newsl. 4:17. 

  28. Park JS, KT Park, KR Choi and JC Paik. 1975. Studies on the investigating method on migratory insects. Ann. Rept. Inst. Agric. Sci. 2:85-91. 

  29. Park YD and YH Song. 1988. Preference, Development and Fecundity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Biotypes Fed on Different Cultivars of Rice with Various Resistance Gene. Korean J. Appl. Entomol. 27:87-93. 

  30. Saxena RC and AA Barrion. 1985. Biotypes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and Strategies in Deployment of Host Plant Resistance. Insect Sci. Applic. 6:271-289. 

  31. Shelton AM, JA Wyman and AJ Mayor. 1981. Effects of commonly used insecticides on the potato tuberworm and its associated parasites and predators in potatoes. J. Econ. Entomol. 74:303-308. 

  32. Simmons AT, HI Nicol and GM Gurr. 2006. Resistance of wild Lycopersicon species to the potato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idae). Aust. J. Entomol. 45:81-86. 

  33. Sogawa K and CH Cheng. 1979. Economic thresholds, nature of damage and losses caused by the brown planthopper. IRRI. pp. 125-142. 

  34. Tingey WM. 1986. Techniques for evaluating plant resistance to insects. pp. 251-284. In Insect-plant interactions, vol. 9. (Miller JR, TA Miller and M Berenbaum eds.). Springer. New York. 

  35. Tsai JH and JJ Wang. 2001. Effects of Host Plants on Biology and Life Table Parameters of Aphid spiraecola (Homoptera: Aphididae). Environ. Entomol. 30:45-50. 

  36. Van Lanteren JC and LPJJ Noldus. 1990. Whitefly Plant Relationships, Behavioural and Ecological Aspects. pp. 47-89. In White Flies: Their Bionomics, Pest Status and Management.(Gerling D, Andover and Hamshire eds.). England. 

  37. Yacsar B and MA Gungor. 2005. Determination of Life Table and Biology of Colorado Potato Beetle, Leptinotarsa decemlineata Say (Coleoptera: Chrysomelidae), Feeding on Five Different Potato Varieties in Turkey. Appl. Entomol. Zool. 40:589-5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