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석탄재 재활용 확대 방안 연구
Studies on Expanding Application for the Recycling of Coal Ash in Domestic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6, 2017년, pp.563 - 573  

조한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맹준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년 화력발전소에서 약 800톤이상 되는 석탄재가 발생되고 있다. 발생되는 석탄재 중 재활용되고 남은 석탄재는 회처리장에 매립되고 있다. 현재 회처리장 용량에는 한계가 있고, 석탄재 매립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우려로 회처리장 신규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다. 환경영향 최소화라는 측면에서 석탄재 재활용 및 유효이용이 향후 장기적 국가적으로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석탄재 재활용 확대를 가로막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친환경적 국토관리와 자원순환사회를 위한 석탄재 재활용 확대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국내 석탄재 재활용 확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석탄재를 재활용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성 예측 평가에 대한 기법과 기준 및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다. 석탄재의 환경 안전성에 대한 연구 및 홍보가 필요하며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및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석탄재 재활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정책방안으로는 석탄재 처리비 지원, 석탄재 공급센터 설치 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al ash is generated from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every year. The remaining quantity of coal ash ends up in the landfills except for the recycled portion, and the existing ash pond capacity is limited almost. Currently, the difficulties are faced in building a new ash treatment plant beca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탄재 재활용 확대를 위해서 국내 석탄재 재활용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 석탄재 재활용 현황, 환경관리 사례, 석탄재로 인한 갈등관리 사례 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국내 석탄재 재활용 제도의 개선방안, 적용 가능한 재활용 확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를 통해 석탄재 유형 및 관리방법으로 인한 침출수의 차이를 평가하고 실질적인 침출수 예측모델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석탄재로 인한 대기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석탄재가 대기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일반 시민보다는 발전소에서 일하는 근로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환경관리를 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탄재 재활용 확대를 위해서 국내 석탄재 재활용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 석탄재 재활용 현황, 환경관리 사례, 석탄재로 인한 갈등관리 사례 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국내 석탄재 재활용 제도의 개선방안, 적용 가능한 재활용 확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석탄재 재활용에 있어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재활용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석탄재 재활용 확대방안으로는 크게 세 가지 법적 확대, 이해관계자간의 인식제고, 제도적 지원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 석탄재 재활용 확대방안으로는 크게 세 가지 법적 확대, 이해관계자간의 인식제고, 제도적 지원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 2006). 연구결과를 통해 석탄재 유형 및 관리방법으로 인한 침출수의 차이를 평가하고 실질적인 침출수 예측모델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석탄재로 인한 대기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국내 석탄재 재활용 현항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석탄재 재활용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첫 번째, 석탄재 재활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법적 활용용도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환경부 고시 제 2016-217호 「철강슬래그 및 석탄회 배출사업자의 재활용 지침」에서 규정하고 있는 석탄회의 활용용도를 확대하는 것이다. 확대 추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용도로는 폐광산 복구재를 예로 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량의 석탄재 처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대량의 석탄재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석탄재의 재활용 확대가 필요하다. 즉, 석탄재 유효이용(Beneficial use) 및 신규 수요처의 발굴이 원활히 이뤄 질 수 있도록 석탄재 재활용에 대한 계획 및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미국, 유럽, 호주에서는 석탄재를 어떻게 재활용하고 있는가? 현재 국내 석탄재 재활용 용도는 소량만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석탄재를 대량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폐광산 채움재 등으로 용도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미국, 유럽, 호주에서는 대량의 석탄재를 광해복구 사업에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석탄재를 광해 복구 사업 등 대량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회처리장의 신규 건설 시행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석탄재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회처리장의 신규 건설이 필요하다. 하지만 회처리장으로 인한 환경영향에 대한 우려와 사회적 수용성으로 인해 그 시행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CAA. 2013. Beneficial Use of Coal Combustion Products_An American Recycling Success Story. 

  2. ADAA. http://www.adaa.asn.au/ 

  3. ECOBA. http://www.ecoba.org/ 

  4. EPRI. 2006. Characterization of Field Leachates at Coal Combustion Management Site. 

  5. EPRI. 2009. Coal Ash: Characteristics,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Issues. 

  6. Hanna Cho, Jun-ho Maeng. 2016. A study on Eco-friendly Use of Coal Ash at Mine Recalamation Sites. J.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33(4): 328-337. [Korean Literature] 

  7.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3. Effective Utilization of Coal ash [Japanese Literature] 

  8. Kojima, 2014. Challenges and Regulation for International Trade in Recyclable Waste, Economic Studies, 63(2):71-84. [Japanese Literature] 

  9. Korea Cement Association. 2014.10.2. Press Release. [Korean Literature] 

  10. Maeng JH, Kim TY, Suh DH. 2014.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in Accordance with the Thermal Power Plant Ash Management(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1. Maeng JH, Kim TY, Cho HN, Kim EY. 2015.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in Accordance with the Thermal Power Plant Ash Management(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2. Mine reclamation Corp. 2013. Research on the coal ash utilization at mine reclamation sites. 3rd year report.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The Guideline to Recycling for Steel Slag and Coal ash Discharger. [Korean Literature] 

  14. Republic of Korea National Assembly. 2014.10.23. Press Release. [Korean Literature] 

  15. Yao, Z. T. et al. 2015. comprehensive review on the applications of coal fly ash. Earth-Science Reviews 141:105-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