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퇴적암 유래 농경지 토양에 대한 카테나 해석
Interpretation of Soil Catena for Agricultural Soils derived from Sedimentary Rock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4, 2017년, pp.1 - 14  

손연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동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근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현병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전혜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전상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퇴적암 유래 농경지 토양의 카테나의 정량적, 객관적인 해석을 위해 세부정밀토양도(축적 1:5,000)의 속성자료 중 토양통자료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ArcGIS, ESRI, US)과 R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토양통의 인접한 토양통 길이 산정을 위해 GIS 프로그램의 Buffer 기능을 이용하여 각 토양통에 폭 1m의 buffer을 형성하고 인접한 토양통들의 buffer 면적과 이를 이용하여 길이를 산출하였다. R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토양통별로 인접한 토양통의 면적을 비율로 환산하고, 그 값을 기준으로 입체군집기준(Cubic Clustering Criterion)을 이용해 군집의 개수를 선정하였다. 군집의 수를 선정 후 인접 토양통의 비율을 이용해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퇴적암 유래 농경지 토양들의 유사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퇴적암 지대별로 암석의 종류에 따라 입경분포가 다르게 나타나 사양질 토양은 주로 사암 모재, 식양질 토양은 혈암 모재, 미사식양질 내지 식질의 토양은 석회암 모재로 구별되어, 석회암 < 혈암 < 사암의 순이었다. 한편, 혈암유래 농경지 토양은 적색혈암과 회색혈암으로 구분되고, 적색혈암은 사양질과 식양질, 회색혈암은 식양질과 미사식양질이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연접군에 대한 정량적인 해석을 의미하며, 이러한 분석방법들을 통한 해석으로 토양통들의 입경분포, 특히 점토함량에 따른 연관성 분석을 할 수 있었고, 분포위치와 모암에 대한 연관성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soil series derived from sedimentary rocks are classified into seven soil series of coarse loamy soil such as Dain, Danbug, Dongam, Imdong, Jeomgog, Maryeong, and Yonggog; seventeen soil series of fine loamy soil such as Angye, Anmi, Banho, Bigog, Deoggog, Dogye, Dojeon, Gamgog, Gug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퇴적암 유래 농경지 토양의 카테나에 대한 정량적, 객관적 분석을 위해 세부정밀토양도(축적 1:5,000)의 속성 자료인 토양통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토양통별 인접한 토양통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GIS프로그램(ArcGIS 10.
  • 본 연구에서는 퇴적암 유래 농경지 토양의 카테나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세부정밀토양 도(축적 1:5,000)의 토양통자료를 이용하여 Arc GIS 지리정보프로그램과 R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IS 프로그램의 Buffer 기능을 이용하여 토양통들의 면적과 길이를 산출하였고, R 통계분석프로그램의 입체군집기준 (Cubic Clustering Criterion, CCC)을 이용해 군집의 개수를 선정한 후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퇴적암 유래 농경지 토양들의 유사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il Catena란 무엇인가? Soil Catena(토양연접군)는 동일한 모재에서 유래된 일련의 토양이 미세지형에 따라 연속적 으로 분포되는 것을 말한다. 토양은 크게 경사지와 평탄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경사지는 산악지, 구릉지 및 저구릉지 등에서부터 산록경사 지, 곡간지 및 선상지까지인데 모재를 알게 되면 주변의 토양에 대한 입경분포(particle distribution)의 예측이 가능하며, 주변의 모재가 동일하다면 이러한 경사지에서는 지형의 분포에 따라 어느 정도 이 토양연접군을 따르게 된다 (RDA, 2007).
퇴적암의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퇴적암은 지구 표면의 75%를 차지하는 가장 일반적인 암석으로, 다른 암석에서 기인한 입자가 물에 의해 이동되어 퇴적 후 재결합되어 형성된다. 내륙에서 바다의 방향으로 가장 굵은 입자인 모래와 자갈이 함께 굳어져 역암으로 되며, 그 다음 멀리 석영모래가 바닷물의 칼슘과 철에 의해 사암으로 고결되고, 보다 가는 입자인 미사(Silt)가 퇴적되어 혈암으로 고결되며, 가장 멀리 탄산석회질의 껍데기를 분비하는 생물에 의해 침전 고정되는 석회암이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Brandy, 2013).
퇴적암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퇴적암은 지구 표면의 75%를 차지하는 가장 일반적인 암석으로, 다른 암석에서 기인한 입자가 물에 의해 이동되어 퇴적 후 재결합되어 형성된다. 내륙에서 바다의 방향으로 가장 굵은 입자인 모래와 자갈이 함께 굳어져 역암으로 되며, 그 다음 멀리 석영모래가 바닷물의 칼슘과 철에 의해 사암으로 고결되고, 보다 가는 입자인 미사(Silt)가 퇴적되어 혈암으로 고결되며, 가장 멀리 탄산석회질의 껍데기를 분비하는 생물에 의해 침전 고정되는 석회암이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Brandy,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andy, N.C. 2013. Elements of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 Third edition. Pearson Education International, USA, pp.58-95. 

  2. Brown, D.J., M.K. Clayton, and K. McSweeney. 2004. Potential terrain controls on soil color, texture contrast and grain-size deposition for the original catena landscape in Uganda. Geoderma 122(1):51-72. 

  3. Chae, Y.A., J.O. Guh, H.S. Suh, Y.M. Lee, and S.K. Jong. 2005. Basic biostatistics. Hyangmunsa, Seoul. pp.328-338 (채영암, 구자옥, 서학수, 이영만, 정승근. 2005. 기초생물통계학. 향문사, 서울. 328-338쪽). 

  4. Charrad, M., N. Ghazzali, V. Boiteau, and A. Niknafs. 2014. NbClust: an R package for determining the relevant number of clusters in a data set.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61(6):1-36. 

  5. Grealish, G., R.W. Fitzpatrick, and S.O. Asem. 2015. Assisting non-soil experts to identify soil types for land management to support restoration of arid rangeland native vegetation in Kuwait. Arid Land Research and Management 29(3): 288-305. 

  6. Jung, Y.T., E.H. Park, Y.P. No, and K.T. Um. 1986. Suitability grouping system of paddy soils for multiple cropping part II.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9(3):238-258 (정연태, 박은호, 노영팔, 엄기태. 1986. 다모작을 위한 답토양적성등급 구분 제 2보: 적성등급 구분기준.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9(3):283-289). 

  7. Jung, Y.T., E.S. Yang, and R.K. Park. 1982. Studies on the interpretative classification of paddy soils in Korea I: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sandy paddy soil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5(2):128-140 (정연태, 양의석, 박래경. 1982. 우리나라 답토양의(沓土壤) 실용적분류에 관한 연구 제1 보 사질답(砂質沓) 분류에 관하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5 (2):128-140). 

  8. Jung, Y.T. and E.S. Yun. 1990. Soil fertility capability classificatio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4:21-21 (정연태, 윤을수. 1990. 밭 토양 비옥도(肥沃度) 능력구분.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4:21-21). 

  9. Jung, Y.T., I.S. Son, E.S. Yun, J.K. Kim, S.J. Jung, and G.H. Cho. 199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land suitability grouping for paddy-upland rotation system in Korea. RDA Journal of Agriculture Science 36(2):262-267. 

  10. Kwak, G.H., Y.J. Kim, B.U. Chang, and N.W. Park. 2017. Quantitative comparison of univariate kriging algorithms for radon concentration mapp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1):71-84 (곽근호, 김용재, 장병욱, 박노욱. 2017. 라돈 농도 분포도 작성을 위한 단변량 크리깅 기법의 정량적 비교. 한국지리정 보학회지 20(1):71-84). 

  11. Lee, C.Y., J.H. Jeong, Y.H. Son, J.K. Byun, and C.D. Koo. 2009. Forest soil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2(3):238-258 (이천용, 정진현, 손요환, 변재경, 구창덕. 2009. 산림토양.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2(3):238-258). 

  12. Park, S.J., Y.K. Sonn, S.Y. Hong, C.W. Park, and Y.S. Jang. 2010.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oil types in Korea and an assessment of soil predictability using soil forming factor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45(1):95-118 (박수진, 손연규, 홍석영, 박찬원, 장용선, 2010. 한국 주요 토양유형의 공간적 분포와 토양형성요인을 이용한 예측가능성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45(1): 95-118). 

  13.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07. (For hydrological interpretation) Soil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soil electronic map. pp.73-93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07. (수문해석을 위한) 토양수리특성과 토양전자지도의 활용. 73-93쪽). 

  14. Ruhe, R.V. 1975. Climatic geomorphology and fully developed slopes. Catena 2:309-320. 

  15. Ryan, P.J., N.J. McKenzie, and S. Murphy. 1999. Spatial prediction of soil properties using environmental correlation. Geoderma 89(1-2):67-91. 

  16. SAS Institute Inc. 1983. SAS(R) Technical report A-108: Cubic Clustering Criterion pp.1-29. 

  17. Sonn, Y.K., G.S. Hyeon, M.C. Seo, K.H. Jung, B.K. Hyun, S.J. Jung, and K.C. Song. 2006. A taxonomical consideration based on changes of salinity and profile features of the texturally different two reclaimed tidal soil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9(2):59-64 (손연규, 현근수, 서명철, 정강호, 현병근, 정석재, 송관철, 2006. 간척지 염해답토양의 토성별 제염기간 및 단면특성변화를 기준한 분류학적 고려.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9(2):59-64). 

  18. Sonn, Y.K., H.J. Cho, B.K. Hyun, H.C. Chung, and K.S. Shin. 2015. Analysis of catena on representative soils derived from granite and granite gneis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8(4):255-261 (손연규, 조현준, 현병근, 전현정, 신국식. 2015. 화강암 유래 농경지대표토양의 토양연접군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8(4):255-261). 

  19. Sonn, Y.K., M.C. Seo, C.W. Park, B.K. Hyun, and Y.S. Zhang. 2008. The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Korean soils derived from sedimentary rock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1(6)387-392 (손연규, 서명철, 박찬원, 현병근, 장용선. 2008.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퇴적암 유래토양의 분류 및 해설.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6):387-392). 

  20. Yoo, J.Y., M.H. Choi, and T.W. Kim. 2010. Spatial analysis of drought characteristics in Korea using cluster analysis.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1):15- 24 (유지영, 최민하, 김태웅. 2010. 군집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가뭄특성의 공간적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43(1):15-24). 

  21. Yun, E.S., Y.T. Jung, Y.K. Sonn, S.Y. Hong, B.K. Hyun, G.S. Hyun, C.H. Yoo and K.Y. Jung. 2009. Soil survey.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2(S1): 5-27 (윤을수, 정연태, 손연규, 홍석영, 현병근, 현근수, 류철현, 정기열, 2009. 우리나라의 토양조사.분류 및 해설.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2(S1):5-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