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가형 드론영상을 이용한 수치지형도 수정·갱신업무 적용 가능성 실험 평가
Experimental Applicability Evaluation for Renewal and Modification Task of Digital Topographic Map by Low-Cost Drone Acquired Image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4, 2017년, pp.115 - 125  

윤부열 (창신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가기본도는 국토 전역에 동일한 축척과 정확도로 제작하여 배포됨으로서 국토개발 GIS,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각종 주제도 및 신속한 공간정보 산업에 의사결정용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공간정보 산업의 전반적인 확대를 위해 많은 연구와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른 일환으로 공간정보의 최신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국을 권역으로 나누어 기본도를 수정했던 것을 2013년부터는 상시 수정으로 정책 변경하여 공간정보의 최신성 확보에 일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은 연구와 다양한 산업에서 각광받고 있는 드론(Drone)을 활용하여 국가기본도의 수정 및 갱신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저가형 드론에서 취득한 정사영상정보와 3차원 점군(Point Clouds)을 수치지형도와 중첩하여 3차원 위치정보를 동시에 취득하여 수정 갱신업무에 적용한 결과 0.2m 정밀도와 0.1m의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국가 기본도(축척: 1/5,000) 제작 작업규정의 오차범위를 준수하고 있어 수치지도 수정 갱신 업무까지도 충분이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urrent, as the release of national base map with an equivalent scale and accuracy for the whole territory areas in South Korea, rapid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such as national land development, GIS, and car navigation are used in a variety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as decision making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정보 및 수치지형도 수정·갱신 작업 분야의 활용을 위한 위치정확도는 지상측량을 통한 성과와 도화에 의한 성과를 비교하여야만 객관적 결과를 도출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5월에 제작된 구형 수치지형도를 아용하여 수정·갱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취득에 대중화와 부분별한 드론 활용으로 공간정보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검토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가형 드론을 활용하여 정사영상, 점군자료 등을 제작하고 수치지형도 수정·갱신 업무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검사점 측량, 도화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항공사진측량 및 영상지도제작에 관한 작업규정과 최근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 제시한 무인항공기의 작업규정(안)을 근거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항공사진측량작업규정과 영상지도제작에 관한 작업규정은 표 1과 같이 제반사항을 규정하고 작업방법, 규격, 정확도 등의 동일을 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기본도는 어디에서 활용되는가? 현재 국가기본도는 국토 전역에 동일한 축척과 정확도로 제작하여 배포됨으로서 국토개발 GIS,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각종 주제도 및 신속한 공간정보 산업에 의사결정용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공간정보 산업의 전반적인 확대를 위해 많은 연구와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른 일환으로 공간정보의 최신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국을 권역으로 나누어 기본도를 수정했던 것을 2013년부터는 상시 수정으로 정책 변경하여 공간정보의 최신성 확보에 일조하고 있다.
검사점 측량, 도화자료 분석 수행 결과는? 첫째, 일반적인 공간정보용 드론에서 취득되는 CCD센서의 경우의 GSD는 4∼5cm급의 영상자료로 취득되나 본 실험에서 사용된 촬영 카메라의 센서는 저가형의 CMOS센서로 추출한 GSD는 8.1cm로 나타내었다. 동일한 고도, 동일한 화소수의 카메라로 일반적인 공간정보로 활용되고 있는 카메라와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검사점 측량에 있어서는 0.2m 정도의 정밀도와 평균 0.1m의 정확도는 1:5,000, 1:1,000 수치지형도 수정·갱신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확인 하였으나 고정밀의 공간정보에 적용을 하는데 있어서는 품질관리에 대한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수치지형도 수정·갱신업무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는 경계추출에 모호한 부분으로 인하여 수평 위치 정확도와 정밀도가 현격히 떨어지는 양상을 보여주는 반면에 수직에 대한 위치정확도와 정밀도는 검사점에 대한 결과보다 양호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는 건 비행고도에 따른 정확도와 정밀도 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저가형 드론일수록 고고도 비행보다 저고도 비행으로 품질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할 때 검토되어야 할 부분이다.
공간정보의 최신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를 위한 방안은? 현재 국가기본도는 국토 전역에 동일한 축척과 정확도로 제작하여 배포됨으로서 국토개발 GIS,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각종 주제도 및 신속한 공간정보 산업에 의사결정용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공간정보 산업의 전반적인 확대를 위해 많은 연구와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른 일환으로 공간정보의 최신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국을 권역으로 나누어 기본도를 수정했던 것을 2013년부터는 상시 수정으로 정책 변경하여 공간정보의 최신성 확보에 일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은 연구와 다양한 산업에서 각광받고 있는 드론(Drone)을 활용하여 국가기본도의 수정 및 갱신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eon, E.I., K.A. Choi, and I.P. Lee. 2014. Development of a low-cost multi-sensor system based on a micro-UAV for rapid mapping.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symposium. pp.229-232 (전의익, 최경아, 이임평. 2014. 긴급 매핑을 위한 초소형 UAV 기반 저가 멀티센서시스템 구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29-32쪽). 

  2. Lee, H.J., H.K. Park, and K.W. Lee. 1998. The evaluation of position accuracy to 1:1,000 and 1:5,000 scale digital.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6(1):117-128 (이현직, 이강원, 박홍기. 1998. 1:1,000 및 1: 5,000 수치지도의 위치정확도 검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6 (1):117-128). 

  3. Lee, J.O., B.Y. Yun, and C.Y. Park. 2015a. Specification of UAV operation for crea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이재원, 윤부열, 박치영. 2015a. 공간정보 기반조성을 위한 무인비행장치 작업규정.표준품셈 작성. 한국국토정보공사). 

  4. Lee, J.O., B.Y. Yun, and J.B. Lee. 2015b. A study on the work regulation for uUAV application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8(1):397-405 (이재원, 윤부열, 이재봉. 2015b. 초경량 무인비행장치(uUAV)의 공간정보 분야 적용을 위한 작업규정(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8(1):171-184). 

  5. Lim, S.B., C.W. Seo, and H.C. Yun. 2015. Digital map updates with UAV photogrammetric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3(5):397-405 (임수봉, 서춘욱, 윤희천. 2015. 무인항공사진측량 방법에 의한 수치지도 갱신. 한국측량학회지 33(5):397-405). 

  6.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9. Available at: www.ngii.go.kr (Accessed October 10, 2017). 

  7. Shin, D.B. and S.C. Yu. 2008.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s-built drawings for updating dgital maps. Journal of The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0(4): 37-45 (신동빈, 유선철. 2008. 수치지도 갱신을 위한 건설공사 준공도면 활용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0(4):37-45). 

  8. Yun, B.Y. and J.O. Lee. 2014.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UAV in Korea for integrated operation with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2(2):3-9 (윤부열, 이재원. 2014. 무인항공기(UAV)의 공간정보 통합운영을 위한 국내적용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2):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