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과 생산기반 정비사업이 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oughts and Public Investments in Irrigation Facilities on Rice Yield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4, 2017년, pp.293 - 303  

성재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채광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대의 (농어촌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가뭄이 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는데 있다. 가뭄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서 우리는 기상변수와 수리답 비율 등이 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패널 회귀분석 모형을 통해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가뭄이 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논면적에서 수리답 면적 비율이 1% 확대될수록 쌀 생산량은 0.025~0.035%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발대비 수리답 면적 비중의 교차항이 쌀 단수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한발대비 수리답이 가뭄 피해를 줄이는 데에는 효과가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추세항과 연도별 더미를 추가하였을 경우, 한발대비 수리답 면적 비중이 쌀 단수에 미치는 영향과 한발대비 수리답의 가뭄 피해 억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수리안전답 조차도 표준강수지수(SPI6)가 -2.5이하로 떨어지는 심각한 가뭄의 피해를 줄이는 데에는 큰 효과가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50년 이상 노후화된 시설이 전체 약 74%에 육박하는 농업용 수리시설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의 빈도와 강도 증가에 더욱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s of droughts and public investments in irrigation facilities on rice production. We estimated the effects of droughts and the fraction of irrigated paddy fields with irrigation facilities on rice yields through a panel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추세항과 기상변수 만으로는 태풍, 병해충, 일조감소 등과 같은 연도별 특징을 통제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세항뿐만 아니라 연도별 더미를 이용하여 결과치의 강건성을 검정하였다. 하지만 한발빈도별(평시, 3년, 5년, 7년, 10년) 수리답면적 비율은 연도별 더미와 추세항과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 (2014)의 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가뭄과 한발대비 수리시설이 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한발빈도별 수리답 면적 비율이 갖는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갖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농업가뭄 대응 체계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우선 가뭄을 자연현상으로서의 기상학적 가뭄(혹은 수문학적 가뭄)과 농업적 가뭄으로 나누고 각각이 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그 중에서도 한발빈도별 수리답 면적 비율이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과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기반 정비사업 중 한발대비 수리시설이 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표준강수지수(SPI6)가 -2.
  • 이 연구의 목적은 가뭄이 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는데 있다. 가뭄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서 우리는 기상변수와 수리답 비율 등이 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패널 회귀분석 모형을 통해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식(1)과 식(2)의 yct는 c 지역의 t 연도 쌀 단수, Wict는 기상 현상 i와 연관된 변수를 나타내며 본 연구에서는 기온, 강수량, 그리고 가뭄변수(Dct)를 포함한다. 기상현상 i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fi와 같은 함수 형태를 따른다고 가정하였다i는 기상변수 i가 쌀 단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우리나라의 노력은 무엇이 있는가? 과거의 가뭄은 강수의 부족이 전적으로 가뭄으로 이어지는 형태였으나 근대적인 수리시설이 발달하면서 가뭄의 대응력도 향상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주곡의 안정적공급을 위하여 해방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농업용수개발과 같은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을 추진해왔다.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수립과 더불어 수리시설의 확충이 급진전되었고 가뭄에 대비한 사전대책이나 응급대책이 체계화됨에 따라 그 피해는 크게 줄어들었다(MAFRA, 2015).
수리답이란? 수리답이란 평년수준의 한발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수리시설을 갖춘 논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발빈도를 어느 수준으로 잡느냐에 따라 내한능력에 큰 차이가 난다.
우리나라 농경지 면적은?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수립과 더불어 수리시설의 확충이 급진전되었고 가뭄에 대비한 사전대책이나 응급대책이 체계화됨에 따라 그 피해는 크게 줄어들었다(MAFRA, 2015). 현재 우리나라 농경지 면적은 2015년 기준 1,679천ha이며, 그 중 논이 908천ha, 밭이 771천ha이다. 논 면적 중 농업용수개발에 의하여 용수공급이 가능한 수리답 면적은 734천ha(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 D. H., J. M. So, and S. H. Kim, 2015: 2015 drought status analysis and counter measures.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17(4), 14-22. 

  2. Cho, H. K., E. B. Cho, O. S. Kwon, and J. S. Roh, 2013: Climate variables and rice productivity: A semi-parametric analysis using panel regional dat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 54(3), 71-9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H. K., and O. S. Kwon, 2014: Climate impacts on rice productivity and variability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 55(3), 115-14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e, J. Y., 2015: Agriculture drought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2), 13-21. 

  5. Dechenes, O., and M. Greenstone, 2007: The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Evidence from agricultural output and random fluctuations in weather. American Economic Review 97(1), 354-385. 

  6. Dell, M., B. F. Jones, and B. A. Olken, 2014: What do we learn from the weather? The new climate-economy literature.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52(3), 749-798. 

  7. Jeong, Y. M., and H. I. Eum, 2015: Application of a statistical interpolation method to correct extreme values in high-resolution gridded climate variables.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6(4), 331-3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M. B., H. S. Kim, and C. H. Kim, 2013: A study of performance analysis and evaluation index for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KREI. (In Korean) 

  9. Kim, Y. T., S. J. Park, and E. S. Hwang, 1999: Efficiency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public investment. KREI. (In Korean) 

  10. Kim, J. H., H. S. Kim, S. D. Park, J. P. Hong, and K. S. Kim, 2011: A study of scale for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KREI. (In Korean) 

  11. KRC, 2012: White paper of drought. (In Korean) 

  12. Kwon, O. S., and C. G. Kim, 2008: Climate change and rice productivity: nonparametric and semiparametric analysi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 49(4), 45-6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AFRA, 2015: 70 years of agriculture.rural community.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